• 제목/요약/키워드: Cephalometric radiograph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10대 하악과두흡수 환자의 임상적 평가 및 악안면 골격형태에 대한 연구 (Clinical Assessment and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ondylar Resorption in Teenagers)

  • 전용현;허윤경;정재광;채종문;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1호
    • /
    • pp.61-73
    • /
    • 2010
  • 2006년 한 해 동안 경북대학교 구강내과에 내원한 하악과두의 형태적 변이가 관찰된 10대 과두흡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검사와 악안면 골격형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적 평가 1) 10대 과두흡수 환자는 59명으로 여자는 47명, 남자는 12명으로 여자에서 월등히 많이 유발되었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12세가 2명, 14세가 9명, 15세가 4명, 16세가 8명, 17세가 12명, 18세가 12명, 그리고 19세가 12명으로 나타났다. 2) 과두의 편평화나 침식, 과두형태의 변형이 초래된 Grade II를 많이 나타냈다. 3) Class I 교합자가 27명으로 가장 많았고, 개교합이 동반된 경우는 20명, 평균 overjet은 3.58mm, overbite는 0.97mm를 보였다. 4) 과두흡수 부위의 통증을 호소한 경우는 41명, 통증을 호소하지 않은 경우가 18명이었다. 5) 이갈이 습관을 26명, 이악물기 습관은 24명이 보고하였다. 6) 환자의 치료기간은 1개월 미만이 23명, 보조요법으로 치료한 경우가 28명이었다. 2. 악안면 골격 형태 평가 1) 16세 여자환자에서 SNA, SNB는 유의한 작은 값을 나타냈고 articular angle은 유의한 큰 값을 보였다. 2) 17세 여자환자에서 SN, SAr, TPFH와 ramus height가 유의한 작은 값을, SN-GoMe, FMA 그리고 articular angle은 유의한 큰 값을 나타냈다. 3) 18세 이상 여자 환자에서는 SN, SNB, TPFH, ramus height은 유의한 작은 값을, ANB, FMA, SN-GoMe, LAFH, articular angle, gonial angle은 유의성 있는 큰 값을 보였다. 4) 18세 이상 남자 환자에서는 SN, TPFH, ramus height은 유의한 작은 값을 FMA, SN-GoMe, LAFH, articular angle, gonial angle은 유의성 있는 큰 값을 보였다. 5) mandibular body length는 10대 과두흡수 환자에서 정상인과 차이가 없었다. 10대 과두흡수의 특징은 임상적으로 통증호소는 심하지 않으나 골소실이 빠르게 일어나서 이환측 과두에서 후방지지의 갑작스런 상실이 초래되는 특발성 과두흡수의 형태를 많이 나타내며 개교합 발생 비율도 높았다. 근골격계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10대에 특히 수직적 악안면 골격형태로 인한 부하의 집중과 이상기능활동에 의해 하악과두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면 과두흡수가 더욱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결국 악골의 성장을 저해하고 안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쇄골두개 이형성증 환아의 치아발육이상 (THE ANOMALIES OF PERMANENT DENTITION IN CLEIDOCRANIAL DYSPLASIA)

  • 신은영;최병재;이제호;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0-184
    • /
    • 2001
  • 쇄골두개 이형성증(Cleidocranial Dysplasia)은 autosomal dominant skeletal dysplasia로 쇄골의 부재 두개골 봉합지연 및 치아이상의 특징을 갖는 질환이다. 치아이상 중에 유치열 발달은 정상인데 반해 영구치 맹출 실패가 가장 특징적인 소견이며 다수의 과잉치의 존재, 치아형태이상과 치근형태이상 등이 존재한다. 영구치의 지연 혹은 맹출 부전의 원인으로 (1) 다수의 과잉치 존재, (2) cellular cementum이 없는 기형적 치근형태, (3) 악골의 높은 골밀도, (4) 유치와 골의 비정상적 흡수를 들 수 있으며 저하된 골대사가주원인이며 두번째로 다수의 과잉치의 존재를 들 수 있다. 이의 치료방법은 더 많은 치아 맹출의 환경조성을 위한 교정치료, 외과적 처치 및 보철적 수복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쇄골두개 이형성증으로 진단받은 7세 10개월 여 환아로 영구치 미맹출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임상구강 검사에서 유치의 만기잔존, 악궁의 협착, 전치부 반대교합과 다수의 치아우식증이 관찰되었으며 악골의 방사선사진에서 유치의 만기잔존 및 상하악에 다수의 과잉치가 관찰되었고 두부방사선사진에서 미폐쇄된 봉합과 봉간골(wormian bone)이 관찰되었으며 흥부방사선사진에서 쇄골의 부재가 보였다. 이 환아의 성장에 따른 치열 발달을 이해하고 시기에 따른 적절한 치과적 처치에 대해서 본 증례에서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중안모 계측과 상악골 절단술에의 응용 (MIDFACIAL MEASUREMENT USING OCCLUSAL MAXILLARY CT AND SURGICAL IMPLICATIONS OF MAXILLARY OSTEOTOMIES)

  • 정필훈;유충규;이은경;서제덕;정일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3호
    • /
    • pp.222-228
    • /
    • 2006
  • 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in the past to indirectly analyze the craniofacial region. Among these, the lateral and posterior-anterior cephalometircs a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dentofacial deformities. However, cephalometircs create inaccuracies because of the inherent enlargement and distortion of the image. The interpretation of cephalometric films is also problematic: the number of anatomic landmarks that can be identified accurately is limited, and the overlap of structures on a radiograph making locating these landmarks difficult. To overcome these problems, computed tomography(CT) has been recommended as an useful modality in the diagnosis, surgical planning, and follow-up of craniofacial anomalies. There is no significant enlargement or distortion of the image, overlap of structure, or tracing error. And the number of anatomic landmarks is v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bit and midfacial region using Occlusal Maxillary CT, consisted of slices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Based on these CT scan, we provide the data that could be applied to monitor an individual patient's skeletal pattern and the guide to the maxillary osteotomy.

측사위경두개방사선사진(Oblique Transcranial Radiograph)을 이용한 하악전돌증환자의 하악지 시상골절단술후 하악과두위치변화 분석 (OBLIQUE TRANSCRANIAL RADIOGRAPHIC ANALYSIS OF CHANGES IN CONDYLE POSITION FOLLOWING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 MANDIBULAR PROGNATHISM)

  • 권대근;장현중;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32-45
    • /
    • 1995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condyle position and the relationship of condyle position change and post surgical relapse following the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or mandible setback in 25 patients by pair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used oblique transcranial and cephalometric radiographs taken before operation, immediate after operation, and at least 6 months post operatively. 1. In oblique transcranial view, posterior joint space was decreased immediate after operation and increased 6 months after operation. To compare the measurement before and 6 months after oper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over all joint spaces(P>0.05). 2. The joint spaces changed under the 0.2mm were 30%, 0.2mm to 1.0mm were 60.7%, above 1.0mm were 9.3%. This result reveals that condyle position was relatively reproduced to pre-operative state. 3. Statistically, the amount of mandible set back didn't influence the post operative relapse(P>0.05). 4. Statistically, the amount of mandible set back didn't influence the condylar displacement(P>0.05), and the amount of joint space change didn't influence the post operative relapse.(P>0.05) The changes in joint space is in the standard tracing error or within the adaptive capacity of the individual, it was too small to influence the stability of surgery.

  • PDF

악관절규격촬영시 적절한 입사각의 결정 및 재현성의 평가 (DECISION OF PROPER PROJECTION ANGLE AND EVALUATION OF REPRODUCIBILITY IN TRANSCRANIAL RADIOGRAPH)

  • 류정수;최순철;이상한
    • 치과방사선
    • /
    • 제21권1호
    • /
    • pp.99-107
    • /
    • 1991
  • 저자는 두부규격방사선사진 촬영기에서 건조 두개골 10개의 basal view와 lateral view상에서 측두골의 추체와 접형골의 후상상돌기가 악관절부위에 중첩되지 않는 수평면과 수직면에서의 입사각을 구하였고 Denar사의 Accurad-100의 형태대로 제작하고 고정장치와 cephalostat를 사용하여 촬영된 방사선사진의 재현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중심방사선의 입사각은 수직면에서는 24.5±4.1°, 수평면에서는 3.0±5.7°였으며 재현성을 검정하기 위해 건조두개골의 악관절부위에 임의의 3점을 계측하였든 바 Accurad-100의 형태대로 제작한 고정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는 AB간의 거리 24.60±0.25㎜, AC간의 거리 16.76±0.27㎜, BC간의 거리 8.79±0.18㎜이었고 cephalostat를 이용한 경우에는 AB간의 거리 29.03±0.14㎜, AC간의 거리 19.95±0.24㎜, BC간의 거리 10.08±0.07㎜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은 상당히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cephalostat를 이용한 경우 더욱 재현성이 좋았다.

  • PDF

Unilateral maxillary central incisor root resorp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for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ith significant maxillary midline deviation: A possible correlation with root proximity to the incisive canal

  • Imamura, Toshihiro;Uesugi, Shunsuke;Ono, Takash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6-226
    • /
    • 2020
  • Root resorption can be caus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contact with the cortical bone. Here we report a case involving a 21-year-old female with Angle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who exhibited significant root resorption in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after orthodontic treatment. The patient presented with significant left-sided deviation of the maxillary incisors due to lingual dislocation of the left lateral incisor and a Class II molar relationship. Cephalometric analysis demonstrated a Class I skeletal relationship (A point-nasion-B point, 2.5°) and proclined maxillary anterior teeth (upper incisor to sella-nasion plane angle, 113.4°). The primary treatment objectives were the achievement of stable occlusion with midline agreement betwee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itions and appropriate maxillary anterior tooth axes and molar relationship. A panoramic radiograph obtained after active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root resorption in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therefore, we performe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which confirmed root resorption along the cortical bone around the incisive canal. The findings from this case, where different degrees of root resorption were observed despite comparable degrees of orthodontic movement in the bilateral maxillary central incisors, suggest that the incisive canal could be an inducing factor for root resorption.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confirm this assumption.

상악 분절골 후퇴술 후의 상순위치 변화 연구 (A STUDY OF UPPER LIP PROFILE CHANGE AFTER ANTERIOR SEGMENTAL SETBACK OSTEOTOMY)

  • 노광섭;홍종락;김창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3호
    • /
    • pp.274-278
    • /
    • 2005
  • Purpose : Prediction for soft tissue change after orthognathic surgery is very important for the final esthetics.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get the amount of upper lip movement relative to bony segment movement afte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by cephalmetric analysis to predict final upper lip position after surgery. Material and Methods : 20 patients was studied on whom anterior segmental osteotmy as performed by Cupar method during the years 2002 to 2003. Cephalometric radiograph were taken at 1month before surgery and 6 month after surgery. Change of upper lip was measured on landmark Ls and Sto relative to hard tissue (landmark Ia) setback on these X-rays and analyzed. Results : 1. Upper lip setback movement. Setback of upper lip showed proportional relation to the hard tissue setback and the ratio was about 84%(p=0.001). 2. Upper lip downward movement. Downward movement of upper lip showed no proportional relation to hard tissue setback And the amount was mean 1.38 mm and SD 1.21mm (p=0.922). Conclusion : The posterior movement of upper lip is affected by hard tissue movement and shows good proportional change whereas downward movement is not so much influenced by hard tissue movement. And we think slight downward movement shown in this study could be explained by the V-Y closure performed during surgery.

두부축방향방사선규격사진에 있어서 하악과두의 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GRAPHIC CEPHALOMETRIC STUDY OF CONDYLAR HEAD ON THE SUBMENTOVERTEX CEPHALOGRAM)

  • 백홍우;유영규
    • 치과방사선
    • /
    • 제12권1호
    • /
    • pp.49-56
    • /
    • 198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anatomic variation of condylar head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ndylar head and other anatomic structures of head by means of cephalometry using the submentovertex cephalogram from each person in centric occlusion for producing a good quality of temporomandibular joint radiograph. The 100 submentovertex cephalograms of 100 Korean adults consisted of 50 females ranged from 20 to 24 years age and 50 males ranged from 22 to 30 years age, were studi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horizontal angulation of condylar head to the transmeatal line (EE-LA) was 18.5° (S.D. 7.9°), and all measurements that indicate the horizontal angulation of condylar head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2. In the comparison of male vs. female in the measurem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ajority of measurement items, and with exception of R-LA and LA-LA, the rest of these measurements were larger in male than in female. 3. In the comparison of left vs. right in the measurem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ajority of measurement items, and with exception of PC-CC, the rest of these measurements were larger in right than in left. As above, because the majority of measurements that involve the horizontal angulation of condylar head varied among individuals, between male and female, and between left and right, the condition of various temporomandibular joint radiography should be determined by means of cephalometry using the submentovertex cephalogram for producing the accurate radiographic image of temporomandibular joint.

  • PDF

하악과두흡수 환자의 임상적 평가 및 악안면 골격형태에 대한 연구 (Clinical Assessment and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Condylar Resorption)

  • 구선주;김균요;허윤경;채종문;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91-102
    • /
    • 2009
  • 2006년 한 해 동안 경북대학교 구강내과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전체 환자 중에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인정될만한 하악과두흡수가 관찰된 환자를 대상으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측두하악장애의 임상적 평가와 악안면 골격형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적 평가 1)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총 환자 수는 2419명 이었고 그중 224명 약 9.3%가 과두흡수를 나타내었다. 과두흡수가 있는 환자군 중 여자는 183명(81.7%)이고 남자는 41명(18.3%)으로 여자에서 월등히 많이 유발되었다. 환자의 연령은 12세에서 70세에 걸쳐 분포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30.6세였다. 연령분포는 10대가 26.3%(59명), 20대가 34.8%(78명), 30대가 13.8%(31명), 40대가 11.2%(25명), 50대가 7.1%(16명), 60대가 6.3%(14명), 그리고 70대가 0.4%(1명)로 나타났다. 2) 과두흡수 부위의 통증을 호소한 경우는 145명, 통증을 호소하지 않은 경우가 79명이었다. 3) 과두흡수 환자 중 이갈이 습관을 53명, 이깨물기 습관은 80명이 호소하였으며, 다른 기타 습관들을 보고한 경우가 204명이었다. 4) 과두흡수 부위의 통증을 호소한 환자의 치료기간은 1개월 미만이 81명으로 전체적으로 치료기간이 짧게 나타났다. 2. 악안면 골격 형태 평가 전체 과두흡수 환자 224명중 18세 이상의 186명(여자 155명, 남자 31명)만이 한국 성인 정상교합자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1) SNA, SNB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작은 값을 나타냈고, ANB항목에서는 남자는 평균 3.57 여자는 5.05으로 여자 환자에서 큰 값을 보여 남자에 비해 하악이 더 후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남녀 모두 SN-GoMe, FMA의 각도가 과두흡수 환자에서 유의하게 상당히 커져 있음을 보였다. FMA는 남자는 평균 30.44, 여자는 31.69로 여자에서 수직적 성장이 더 크게 나타났다. 3) 총후안면고경(posterior facial height)이 과두흡수 군에서 모두 작은 것이 특징으로 보였으며, 총전안면고경(Anterior facial height)은 과두흡수 환자군에서 남녀 모두 정상군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저자의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에 의해 하악과두흡수는 정형외과적으로 퇴행성관절염과는 달리 젊은 여성에서 유병률이 높았으며 이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수직적 골격 성장 양상으로 인해 하악과두 전방부의 압축응력을 증가시키는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에서 발현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그리고 노년층보다는 젊은 사람에서 이상기능활동으로 인한 부하의 증가 때문이라 생각한다. 하악과두흡수를 보이는 환자들의 치료기간이 대체적으로 짧으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내원하는 환자수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 질환이 자기한정적임을 알 수 있고, 생리적 내성 범위 이상의 부하가 가해져 발생한 하악과두의 재형성 과정으로 생각한다.

밀집치열인의 두개안면골의 형태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MORPHOLOGY IN ADULT WITH CROWDED DENTITION)

  • 전준영;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21-433
    • /
    • 1988
  • 정상치열을 가진 성인 84명 (남자 44명, 여자 40명)과 밀집 치열을 가진 성인 61명 (남자 33명, 여자 28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상에서 정상치열인과 밀집치 열인간의 두개 안면골의 형태학적 차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정상군과 밀집군에서 남녀별 각 계측항목의 평균치, 표준편차 및 Facial polygon들을 얻었다. 정상군에 비해 밀집군에서 두개기저골에 대해 구개평면, 교합평면 및 하악하연이 하방으로 경사되었고 구개평면에 대해 하악하연도 하방으로 경사되었으며 하악우각도 크게 나타났다. 정상군에 비해 밀집군에서 상하악골이 두개기저골에 대해 후방위치하였다. 정상군에 비해 밀집군에서 상악전치는 순측으로 경사되 었으며 하악전치는 설측으로 경사되었다. 정상군의 남자에 비해 밀집군의 남자에서 후안면고경과 하악지길이가 더 짧으며 정상군의 여자에 비해 밀집군의 여자에서 후안면 고경, 하악골체장 및 후두개저 장경이 더 짧으며 전안면고경은 더 길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