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nervous System

검색결과 1,448건 처리시간 0.032초

스쿠지카섬모충에 중감염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ngerling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ith severe scuticociliatosis)

  • 이남실;박정희;한규식;허민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160
    • /
    • 1994
  • 스쿠지카섬모충(Scuticociliatid) 감염에 따르는 어체조직의 조직학적 손상유형과 심부조직으로의 이행 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감염된 빈사상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 18 마리를 대상으로 전 장기 및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및 하부의 골격근조직은 다수의 스쿠지카충의 침입에 기인하여 심한 변성 또는 괴사소견과 함께 대식구의 침윤이 현저하였다. 비교적 초기병변에서는 치밀결합조직인 진피나 골격근섬유의 변성보다 이들을 지지하는 소성결합조직성분이 더욱 심한 변성소견을 보였다. 이들 병변부내 또는 병변부와 격리된 소성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공간내에 수개의 충체가 확인되었다. 신경다발과 신경절내 또는 주위 소성결합조직내에 다수의 충체침입이 확인되었으나 실질의 조직학적 이상은 비교적 경미하였다. 뇌 및 척수의 경막하강에 다수의 충체밀집과 함께 신경실질을 포함한 인접조직은 경도 내지 심한 괴사소견을 보였으며 충체의 침입부위는 피질역에 주로 한정되어 있었다. 각종 아가미관련조직에서 섬모충의 기생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소성결합조직은 다수의 충체침입으로 심한 변성소견을 수반하였으며, 특히 새궁 및 일차새변의 혈관내에서 충체가 인정되었다. 본 병리학적 검사결과에서 넙치치어에서의 스쿠지카섬모충은 어체내 침입 후 실질조직보다 소성 결합조직을 우선적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관으로 쉽게 이행하여 단시간내에 심부조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선천성 보흐다레크 횡격막 탈장 - 대한소아외과학회 회원 대상 전국 조사 - (Congenital Posterolateral Diaphragmatic Hernia in Korea - A Survey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김재천;김대연;김상윤;김성철;김인구;김재억;김해영;김현영;박귀원;박우현;박진영;백홍규;서정민;송영택;오수명;이남혁;이두선;이명덕;이석구;이성철;정상영;정성은;정연준;정을삼;정풍만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1호
    • /
    • pp.53-69
    • /
    • 2006
  • This is a survey on congenital posterolateral diaphragmatic hernia, conduct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KAPS). A registration form for each patient during the 5-year-period between 1998 and 2002 and a questionaire were sent to each member. Twenty-ninemembers in 22 institutions returned completed form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per surgeon was 1.4 cases a year.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64: 1, and annual incidencewas 1/14,522 live births. In this review,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in congenital posterolateral diaphragmatic hernia were age at admission, birth weight, time of antenatal diagnosis, birth place, Apgar score, onset time of symptoms and signs, preoperativ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ociated anomalies of themusculoskeletal system, central nervous system, or chromosomes, preoperative stabilization, levels of preoperative $FiO_2$, pH, and $AaDO_2$, perioperative complications, bilaterality of defect, size of the defect, and presence or absence of hernia sac.

  • PDF

농약 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 시스템 연구 및 그 응용 (Biosensor System for the Detection of Agrichemicals and Its Applications)

  • 박태정;양민호;이상엽;김수현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227-238
    • /
    • 2009
  • 현재까지의 농약 검출용 바이오센서는 화학 센서, immunoassay, 화학 테스트 킷과 같은 다른 잘 알려진 분석 방법들과 경쟁적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바이오센서가 농약을 증명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chromatography 방법들을 대체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정량적 분석 방법이 아직도 미비하다. 안정하고 강력한 바이오센서의 발전을 위해서 유전자 조작을 이용한 효소 개량을 통해 좀 더 민감하고 반응속도가 빠른 생촉매와 특이성이 높은 항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바이오센서의 안정성 개선과 transducer 표면으로부터의 빠른 신호 전달을 위해 새로운 고정화 방법이 탐구되어져야 한다. 비록 약간의 방법들이 시료의 전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지라도 센서의 안정성은 또 다른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래서 현장 적용을 위해, 보다 간편한 시료의 전처리과정 혹은 직접적인 분석 방식이 동일시되어 개선되어야 한다. 향상된 fabrication 기술을 이용한 소형화 센서 혹은 일회용 킷의 개발은 개인용 및 산업용, 의약용 등의 여러 분야에서 실시간으로 분석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실제 샘플의 빠르고 자동화 및 소형화된 분석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장차 매우 선택적인 다중 검출 바이오센서의 설계에 더 많은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앞으로 잔류농약 검출을 위한 휴대형 바이오센서의 개발과 상용화를 위해서, 무엇보다 현재의 GC, LC (혹은 GC/MS, LC/MS) 분석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샘플 전처리 방법의 경우, 다량의 샘플로부터 유기용매 등을 이용한 추출방법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샘플 전처리를 간소화하고 간단한 측정방법으로 전체의 측정결과를 대변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고 잔류농약의 법적 허용기준과 적용이 가능한 방법을 찾아내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The Critical Roles of Zinc: Beyond Impact on Myocardial Signaling

  • Lee, Sung Ryul;Noh, Su Jin;Pronto, Julius Ryan;Jeong, Yu Jeong;Kim, Hyoung Kyu;Song, In Sung;Xu, Zhelong;Kwon, Hyog Young;Kang, Se Chan;Sohn, Eun-Hwa;Ko, Kyung Soo;Rhee, Byoung Doo;Kim, Nari;Han, 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5호
    • /
    • pp.389-399
    • /
    • 2015
  • Zinc has been considered as a vital constituent of proteins, including enzymes. Mobile reactive zinc ($Zn^{2+}$) is the key form of zinc involved in signal transductions, which are mainly driven by its binding to proteins or the release of zinc from proteins, possibly via a redox switch. There has been growing evidence of zinc's critical role in cell signaling, due to its flexible coordination geometry and rapid shifts in protein conformation to perform biological reactions. The importance and complexity of $Zn^{2+}$ activity has been presumed to parallel the degree of calcium's participation in cellular processes. Whole body and cellular $Zn^{2+}$ levels are largely regulated by metallothioneins (MTs), $Zn^{2+}$ importers (ZIPs), and $Zn^{2+}$ transporters (ZnTs). Numerous proteins involved in signaling pathways, mitochondrial metabolism, and ion channels that play a pivotal role in controlling cardiac contractility are common targets of $Zn^{2+}$. However, these regulatory actions of $Zn^{2+}$ are not limited to the function of the heart, but also extend to numerous other organ systems, such as the central nervous system, immune system, cardiovascular tissue, and secretory glands, such as the pancreas, prostate, and mammary glands. In this review, the regulation of cellular $Zn^{2+}$ levels, $Zn^{2+}$-mediated signal transduction, impacts of $Zn^{2+}$ on ion channels and mitochondrial metabolism, an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Zn^{2+}$ in health and disease development were outlined to help wide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versatile and complex roles of $Zn^{2+}$.

폐와 중추신경계를 침범한 효모균증(Cryptococcosis) 1예 (A Case of Cryptococcosis involving Lung and CNS without Underlying Disease)

  • 이민수;박상선;고영일;장안수;임성철;양주열;박형관;나현주;김영철;최인선;박경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4호
    • /
    • pp.618-623
    • /
    • 1995
  • 저자들은 내원 3개월 전부터 발생한 두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검사결과 폐와 중추신경계를 동시에 침범한 효모균증으로 진단된 56세 여자환자에서 amphotericin B로 6주간 치료한 후 fluconazole 200mg/day로 전환하여 3개월간 경구 투여하여, 증상 및 흉부 방사선 소견의 호전과 함께 뇌척수액 추적 검사상 호전되고 두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특이 소견은 발견하지 못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에 보고한다.

  • PDF

약침이 반복적인 코카인 투여로 인한 행동적 민감화 현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erbal-Acupuncture on Repeated Cocaine-induced Behavioral Sensitization in the Rat)

  • 이봄비;양재하;함대현;이혜정;심인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3-61
    • /
    • 2004
  • Substantial evidence suggests that behavioral and reinforcing effects of cocaine can be mediated by the mesolimbic dopaminergic system. It has been shown that repeated injections of cocaine produce increase in locomotor activity, expression of the immediate-early gene, c-fos in the nucleus accumbens (NAc), which was one of the main dopaminergic terminal areas. Herbal-acupuncture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many functional disorders such as drug abuse. Coptidis Rhizoma (CR) and its main component, berberine (BER) were selected as herbal medicine of herbal-acupuncture. Both medicines have been known to have the therapeutic effe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 and BER herbalacupuncture at shenmen (HT7) point (CR/H and BER/H) on the cocaine-induced behavioral sensitization, the influence of CR/H and BER/H on repeated cocaine-induced locomotor activity, the change of c-Fos expression in the brain by immunohistochemistry were examined. Male SD rats were given CR/H (0.4mg/kg) and BER/H (0.1mg/kg) 30 min before daily injections of cocaine hydrochloride (15mg/kg. i.p.) 10 days. After 3 days withdrawal, rats received a challenge injection of cocaine (15mg/kg, i.p.). Systemic challenge with cocaine produced much larger increased locomotor activity, accumbal Fos-like immunoreactivity in the NAc. Pretreatment with CR/H and BER/H significantly inhibited cocaine-induced locomotor activity, the change of c-Fos expression in the rats. Our data demonstrated that the inhibitory effects of cocaine-induced behavioral sensitization by CR/H and BER/H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of presynaptic dopamine release in the NA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H and BER/H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ocaine addiction.

ICT를 이용한 이중과제 기반의 스마트 스태킹 콘의 시제품 개발 및 사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Usability Test of the Prototype of the "Smart Stacking Cone" Based on Dual-task Using ICT)

  • 임승주;원경아;김대겸;김영;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2호
    • /
    • pp.95-108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상지기능과 이중과제 수행능력의 평가 및 훈련을 위해 개발 중인 스마트 스태킹 콘을 시제품 단계까지 개발하여, 사용성을 파악하고 수정 및 보완점을 점검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ICT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스태킹 콘'의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평가 및 훈련으로부터 생성되는 피험자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회로 및 소프트웨어 기능을 설계하였다. 또한, 피험자의 수행을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체화된 측정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일과제 평가모드', '이중과제 평가모드', '단일과제 훈련모드', '이중과제 훈련모드'로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제품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과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사용성 평가 결과 개발된 시제품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특히, '콘텐츠 적절성' 영역은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응답된 영역이자 부적절 수준이 가장 저조하게 나타난 영역으로 확인되었고, '전반적 만족도' 영역은 매우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임과 동시에 부적절 수준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으로, 기기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기를 수정하여 완성한 후 실제 환자군에게 적용해봄으로써, 기기의 임상적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1,2-Dichloropropane (1,2-DCP)-Induced Angiogenesis in Dermatitis

  • Jin, Meiying;Hong, Youngeun;Lee, Hyunji;Tran, Quangdon;Cho, Hyeonjeong;Kim, Minhee;Kwon, So Hee;Kang, Nak Heon;Park, Jisoo;Park, Jongs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361-369
    • /
    • 2019
  • 1,2-Dichloropropane (1,2-DCP) has been used as an industrial solvent and a chemical intermediate, as well as in soil fumigants. Human exposure may occur during its production and industrial use. The target organs of 1,2-DCP are the eyes, respiratory system, liver, kidneys, central nervous system, and skin. Repeated or prolonged contact may cause skin sensitization. In this study, 1,2-DCP was dissolved in corn oil at 0, 2.73, 5.75, and 8.75 mL/kg. The skin of mice treated with 1,2-DCP was investigated using western blotting,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stry. 1,2-DCP was applied to the dorsal skin and both ears of C57BL/6J mice. The thickness of ears and the epidermis increased significantly following treatment, and the appearance of blood vessels was observed in the dorsal skin. Additionally,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which is tightly associated with neovasculariz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protein kinase-B (PKB), phosphorylated PKB,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and phosphorylated mTOR, all of which are key components of the phosphoinositide 3-kinase/PKB/mTOR signaling pathway, were also enhanced. Taken together, 1,2-DCP induced angiogenesis in dermatitis through the PI3K/PKB/mTOR pathway in the skin.

NLRP3 인플라마좀 작용 기전 및 신경 질환에서의 역할 (NLRP3 Inflammasome in Neuroinflammatory Disorders)

  • 김지희;김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7-247
    • /
    • 2021
  • 신경염증(neuroinflammation)은 여러 신경 질환의 원인 인자로 확인되고있다. 중추 신경계에 발현되는 단백질 복합체인 NLRP3 인플라마좀은 미생물, 응집되고 잘못 접힌 단백질, ATP와 같은 광범위한 외인성 및 내인성 자극에 의해 감지되고 캐스페이즈-1(capase-1)을 활성화할 수 있다. 활성을 띠는 캐스페이즈-1은 IL-1b와 IL-18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활성화시키고 급속한 세포사멸(파이롭토시스, pyroptosis)를 야기한다. IL-1b와 IL-18, 그리고 파이롭토시스를 통해 분비된 DAMPs은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신경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신경 손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NLRP3 인플라마좀은 신경염증으로 인한 여러 가지 신경질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리뷰 에서는 NLRP3 인플라마좀의 구조와 활성화에 대해 간략히 알아 보고 다양한 형태의 신경 질환에서 NLRP3 인플라마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근골격계 질환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 (Opioids and Antidepressants for Pain Control in Musculoskeletal Disease)

  • 박세진;김우섭;장태동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
    • /
    • 2020
  • 고령화의 진행 및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로 인해 여러 가지 수술적 치료 방법을 포함한 침습적인 치료 방법이 증가되고 있으나 수술적 치료 시행 전 보존적 치료는 충분히 시행되어야 한다. 보존적 치료 중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는 오래 전부터 보존적 치료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여전히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스테로이드(steroid), 마약성 진통제(opioid),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등이 있으며 저자는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으로 인해 말초 부위에 있는 통각 수용체에 자극이 전달되면 통증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는 상향성 경로(ascending pathway)를 거쳐 대뇌에 전달되고 대뇌는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하향성 조절 경로(descending pathway)를 통해 엔도르핀(endorphin)과 같은 내인성 마약성 진통제를 분비하게 된다. 마약성 진통제라는 것은 마약성 진통제 수용체(receptor)에 작용하는 물질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로 마약성 진통제는 세 가지의 수용체가 존재하며 조직이나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서 각각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달라진다. 이와는 달리 항우울제는 중추신경계의 시냅스에 작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상향성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주된 기전으로 만성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적이며 이는 마약성 진통제 계열과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종설에서는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와 항우울제의 효과적인 사용 방법, 사용 시 유의점 및 부작용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