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sus output area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중소도시의 물리적 쇠퇴등급 분류 연구 - 집계구 단위의 건축물 DB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Physical Decline in Small and Medium Citie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building DB in the unit of Census Output Area -)

  • 한다혁;이민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41-4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nage the physical sectors systematically, needed for the selection and direction of declining areas, such as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projects, by grading the density of decline indicators of buildings in small and medium cities. In fiv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Jeollanam-do, the data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density, according to the use, structure, and age of the building. Rating by element of Census Output Area, detailed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declining area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required, rather than setting the scope of declining are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It is also necessary to manage cities through complex and intra-element phasing rather than single elements in defining physical decline. The analysis based on the complex factors and boundary of the Census Output Area is meaningful in order to maintain and manage such cities in a more detailed and precise manner according to such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소도시 지역맞춤형 도시재생·유지관리 연구 - 주거지역 집계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ly Customized Urban Regeneration and Maintenance of Small and Medium Cities Using Spatial Big-Data - Focused on the Residential Census Output Area -)

  • 한다혁;이민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9-1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intain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the city by utilizing the physical decline status and floating population in small and medium cities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it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lexible urban regeneration and maintenance by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A total of three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Building data, floating population data, and census output area data were used. Building data and floating population data were classified into five classes. The graded data were joined to the census output area data and analyzed by overlapping the two data. As a result of analysis of 17 residential areas in 5 small and medium cities in Jeollanam-do, 4 types, 2 management models, and 4 indicators could be presented by grad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plan regionally customized urban regeneration/maintenance management plans and projects through the typology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ich is an important step in the bottom-up form.

소음지도를 이용한 소음노출인구 산정방법별 비교 (A Comparison of Estimation Method for Population Exposed to Noise Using Noise Map)

  • 최성규;이병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802-80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icient methods for estimating population exposed to noises by analyzing differences of population exposed to noises estimated by each method through comparing exposed population estimated by utilizing existing methods and those estimated by using census output areas reflecting the actual population information of each address. For population exposed to noises, the error of exposed population estimated by using the per capita living space turned out to be the biggest, and other estimation method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population exposed to excess noises, as a result of analyzing population estimated by each method based on census output areas, the error of the method using a grid noise map turned out to be the biggest. For the method to estimate population exposed to noises by using a noise map, the estimation methods using census output areas and total ground area are considered to be more rational than the grid noise map estimation method or the method to estimate the living space per capita.

농촌계획 수립에 적합한 공간단위 설정을 위한 공간 단위에 따른 인구 비교 분석 (Analysis of Population Depending on Spatial Unit for Setting Suitable Spatial Unit to Rural Planning)

  • 이지민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1-9
    • /
    • 2019
  • Population is important as a fundamental element of local industry and economy, and census data is essential to regional planning and policy making.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population and regional planning, there are few studies on population considering spatial unit. In this study, the population of three spatial scales wer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the spatial unit suitable for the rural planning. The study area is Gangwon, Chungcheong-Nam, Chungcheong-Buk, Jeolla-Nam, Jeolla-Buk, Gyeonsang-Nam, Gyeonsang-Buk and Jeju province. Population were compared using statistical data analysis, GIS visualization, and spatial statistics. The mean, maximum, minimum, and variance of population were calculated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ccording to spatial unit was compared. The mean, maximum, minimum, and variance of population were calculated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ccording to spatial unit was compared. As the results, the census output area unit is difficult to interpret spatial analysis results.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has the limit that includes areas where the population does not live. The grid unit is well suited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ut has many disadvantages of the grid with small popu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limits of the Eup and Myeon-dong administrative district through the grid unit data.

Change Pattern of Residential Areas in Seoul: Based on Detached Houses Case Studies between 2000 and 2010

  • Jang, Ji Hyuk;Kwon, Young Sang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35-43
    • /
    • 2017
  • In South Korea, problems such as low fertility, aging population, and income polarization have recently become more serious. In this time of social chang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urrent changes occurring to residences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and health of residenti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residential areas that occurred between 2000 and 2010 based on detached house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residential areas in Seoul. Changes in residential areas can be observed by examining changes in the type of hous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Since the type of hous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change in the same area, it is necessary to study them together, not as individual elements. Census data is suitable for this purpose, because it can show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to the housing type and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within the neighborhood unit. Among the census output areas identified as residential areas based on detached houses, six sites were selected as the case study area based on the rate of change of detached houses. From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using the census data, the study area was categorized into three regional types: (i) an urban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area; (ii) an area with a concentration or increasing number of detached houses; (iii) an area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multi-family houses based on detached houses.

1인가구의 시공간적 분포 분석 - 부산시를 사례로 -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alysis of One-Person Household - The Case of Busan City -)

  • 유창주;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9-71
    • /
    • 2014
  • 현재 우리나라는 총 인구 감소 속에서도 1인가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는 사회적, 제도적인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1인가구의 증가로 인하여 주택수요의 변화뿐만이 아니라 사회적 약자, 독거노인가구 등 생활 취약계층을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사회 경제적 대응을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1인가구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1인가구의 증가지역, 고밀지역, 다수지역 등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2000년, 2005년, 2010년 각 년도별 시계열적 변화에 따른 공간적 분포에 초점을 두어 주택특성을 고려한 1인가구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대상지를 선정하고 정책적 효율성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밀집지역 선정을 위하여 부산의 6066개의 집계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젊은층의 1인가구는 대학가, 오피스시설, 역세권 주변에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중장년층의 1인가구는 부산의 원도심 지역과 산복도로 상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들을 종합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산의 1인가구 밀집지는 4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1인가구의 주택수요 증가 대응방안이나 소형주택공급정책 측면의 업무를 지원하는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센서스 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인구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for the Distribution of Elderly Population by Utilizing the Census Data)

  • 남광우;권일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64-469
    • /
    • 2013
  • 부산광역시는 2000년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이후, 2011년 기준 고령화율이 7대 도시중 가장 높은 11.8%에 이르고 있다. 또한 전체인구 및 평균세대원수가 감소하는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2020년 이후 고령화율이 20%를 상회하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그 동안의 고령층의 주거 관련분석이 동단위로 이루어져 보다 미시적인 분석의 필요성 증가에 따라 2000년부터 2010년 사이에 조사된 센서스 집계 구단위의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고령인구의 밀집지역, 급증지역, 고밀지역등과 같은 관심지역을 1차 추출하여 미시적인 위치와 공간상의 분포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인구는 도심과 그 인접지역인 고지대에 밀집해 있었으며, 특정 집계구의 경우 10년간 증가속도가 30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의 국지적 수준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부산시 원도심에 고령인구의 편중이 심화되고 있고,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부산의 전반적 분포 패턴에서는 고령인구가 점점 분산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이전의 관련연구 결과와 대치되는 결과로 향후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경감과 고령층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공간적 차원의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미세먼지(PM10)의 지역적 대푯값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Estimation of Representative Area-Level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PM10) in Seoul, Korea)

  • 송인상;김선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8-129
    • /
    • 2016
  • 미세먼지($PM_{10}$)의 건강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정부의 대기오염 측정자료를 이용해서 악영향을 보고했다. 정부 대기오염 측정자료가 제한된 수의 측정소에서 생산되는 반면, 사망률이나 유병률과 같은 정부생산 건강결과 자료는 지역별로 집계되어 공개된다. 따라서 정부에서 생산하는 건강통계자료를 이용해서 건강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PM_{10}$ 농도의 지역적인 대푯값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이전 연구에서 개발된 점 사상에 대한 $PM_{10}$ 농도 예측 모형을 이용하여 구별 대푯값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종류의 위치들을 대상으로 지점들을 생성한 후, 그 지점들에 예측한 $PM_{10}$ 농도의 구별 평균으로 구별 대푯값을 구했다. 세 가지 위치는 16,230개 집계구 내 가장 넓은 주거지역의 중심점, 424개 동 주민센터, 610개 1km 격자의 중심점이었다. 위치별 구별 대푯값들을 비교하기 위하여 측정치와의 관련성 및 추정치 간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측정치와의 비교 결과, 측정치와 세 가지 구별 대푯값 추정치들 간의 관련성은 위치의 인구 대표성이 높아짐에 따라 향상되었고($R^2=0.06-0.59$), 상호비교에서는 격자 중심점을 이용한 추정치가 다른 추정치들과의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0.35-0.47). 본 연구는 $PM_{10}$의 지역별 평균 농도를 추정함으로써 향후 정부 통계에 기반한 전국 규모의 지역 단위 건강영향분석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폭우 취약성 지표를 활용한 재해취약지구 분석 (Analysis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using Heavy Rainfall Vulnerability Index)

  • 박종영;이정식;이진덕;이원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22
    • /
    • 2018
  • 기후변화에 대한 재해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 재해에 대한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이 제시되어 있으나, 공간단위, 재해취약성 등급 그리고 기후적 요소의 조건에 따라 재해취약성 분석 결과는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 중 폭우재해만을 대상으로 하여 집계구 이외의 읍 면 동단위의 공간단위와의 상대적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4등급 단계로 획일화되어 있는 자연적 분류법을 2등급 단계, 4등급 단계, 6등급 단계로 점차 확대해감으로써 분류단계에 따른 취약지구의 상대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가지로 한정되어 있는 강우특성에 대하여 기왕최대강우량(10분, 60분, 24시간)을 추가하여 강우특성에 따른 지표별 재해취약지구의 상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폭우 취약성 지표에 따른 상대적 평가 결과 공간단위에 따라서 재해취약지구의 면적비는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상관분석 결과 집계구와 읍 면 동단위의 공간분석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해취약성 등급단계, 강우특성의 지표에 따른 재해취약지구의 면적비가 상대적으로 차이를 많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분석 지표에 따른 재해취약지구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분석지표 설정 시 세밀한 지표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Performance Analysis of Cost Effective Portable Solar Photovoltaic Water Pumping System

  • Parmar, Richa;Banerjee, Chandan;Tripathi, Arun K.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51-58
    • /
    • 2021
  • Solar water pumping system (SWPS) is reliable and beneficial for Indian farmers in irrigation and crop production without accessing utility. The capability of easy installation and deployment, makes it an attractive option in remote areas without grid access. The selection of portable solar based pumps is pertaining to its longer life and economic viability due to lower running cost. The work presented in this manuscript intends to demonstrate performance analysis of portable systems. Consequent investigation reveals PSWS as the emerging option for rural household and marginal farmer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a considerable portion (around 45.7%) of the country's land is farmland and irrigation options are yet to reach farmers who entirely rely on rain water at present for harvesting of the crops. According to census 2010-2011 tube wells are the main source for irrigation amongst all other sources followed by canals. Out of the total 64.57-million-hectare net irrigation area, 48.16% is accounted by small and marginal holdings, 43.77% by semi-medium and medium holdings, and 8.07% by large holdings. As per 2015-16 census data, nearly 100 million farming households would struggle to make ends meet. The work included in this manuscript, presents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commercial brands and different technologies of DC surface solar water micro pumping systems have been studied (specifically, the centrifugal and reciprocating type pumps have been considered for analysis). The performance of the pumping systems has been analyzed and data is evaluated in terms of quantity of water impelled for specific head. The reciprocating pump has been observed to deliver the best system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