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Polarit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57초

Water-Soluble Distyrylbenzene Fluorophore and Fluorescence Behavior in a Polymeric Vesicle

  • ;우한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13-519
    • /
    • 2007
  • 수용액에서 vesicle을 형성하는 고분자, poly(sodium acrylamidoundecanoate)(PSAU)와 수용성 형광다이, TPADSB-C를 합성하고 흡수 및 형광 분광기를 이용하여 광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N-phenyl naphthylamine을 형광 probe로 사용하여 PSAU의 농도가 0.01 g/L 이상에서 고분자들의 응집에 의해 vesicle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수용성 형광다이의 형광 특성을 vesicle의 존재유무에 따라 조사함으로써 형광다이 주위의 미세환경의 변화에 따른 광학적 특성 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형광다이를 고분자 vesicle안에 침투시킬 경우 형광체 주변의 미세 환경(극성 등)의 변화에 따라 수용액 대비 발광 파장은 blue-shift하였고 형광 효율도 90%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형광다이를 함유하고 있는 고분 자 vesicle이 바이오이메징 응용에 있어 효과적이고 안정적이면서 biocompatible한 레이블용 테그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방사선조사가 백서구치법랑질발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RADIATION EFFECTS ON THE ENAMEL DEVELOPMENT OF THE RAT MOLAR)

  • 조효석;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5권2호
    • /
    • pp.483-499
    • /
    • 1995
  • Mandibular first molars of the rats were undertaken to observe the radiosensitivity of amelogenesis. Twenty four Sprague-Dawley rats received 396cGy radiation with the MK Cell irradiator using Cs-137, and twenty four rats served as control. They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which received radiation at the 14th day after gestation and group 2 which received radiation at the 19th day after gestation. Light Microscopy and Transmitted Electron Microscopy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in the group 1 at the 15th, 18th, 20th, 22nd(2 days after birth), and 25th day(5 days after birth) after gestation, and in the group 2 at the 21th(birth day), 22nd(2 days after birth), and 25th(5 days after birth) day after gestation. The following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obtained. 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showed a delayed formation of enamel and dentin due to slow rate of differentiation of undifferentiated mesenchymal cells. 2.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enamel epithelium was irregular and there were many vacuoles in the cytoplasm. There were dilated rER and mitochondria, increase of the intercellular space, and loss of the cellular polarity. 3. In the group 1, early enamel without Tomes' process, and early organic matrix was observed at the 25th day after gestation. 4. In the group 2, histopathologic chang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group 1, but the degree of changes was more severe than that of the group 1.

  • PDF

칠피(漆皮) 부탄올 분획물이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tanol extract from Rhois Vernicifluae Cortex (RVC) in lipopolysaccharides-induced macrophage RAW 264.7 cells)

  • 송생엽;심성용;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1호통권32호
    • /
    • pp.1-15
    • /
    • 2007
  • Objectives : RVC has long been used for a useful natural agent ameliorating inflammation related symptoms in the folk medicine recip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RVC on the inflammation and oxidation in RAW 264.7 cells. Methods : The RVC was extracted with 80% ethanol and sequentially partitioned with solvents in order to increase polarity. With the various fractions, we determined the activities on the inflammation and oxidation in RAW 264.7 cells. Results : 1. Among the various solvent extracts of RVC, the butanol fraction showed the most powerful inhibitory ability against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s without affecting cell viability. 2. Butanol fraction showed a oxidation inhibition effect by decreasing the DPPH and OH radicals. 3. Butanol fraction exhibited the inhibitory avilities against iNOS and COX-2. 4.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m blotting analysis revealed that the BuOH fraction provided a primary inhibitor of the iNOS protein and mRNA expression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mong the up-regulater molecules of iNOS and COX-2, the BuOh fraction of RVC was shown the inhibitory activity of phoshporylation of c-Jun N-terminal kinase (JNK) 1/2 and threonine protein kinase (AKT), the one of the MAPKs pathway. Conclusion : Thu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response of a component of the BuOH fraction to NO generation via iNOS expression provide a important clue to elucidat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on mechanism of RVC.

  • PDF

A case of TBC1D32-related ciliopathy with novel compound heterozygous variants

  • Ahn, Ji Ye;Kim, Soo Yeon;Lim, Byung Chan;Kim, Ki Joong;Chae, Jong H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64-69
    • /
    • 2021
  • Primary cilium has a signal transduction function that is essential for brain development, and also determines cell polarity and acts as a mediator for important signaling systems, especially the Sonic Hedgehog (SHH) pathway. TBC1D32 is a ciliary protein, implicated in SHH signaling. Biallelic mutations in the TBC1D32 gene causes a kind of ciliopathy, heterogeneous developmental or degenerative disorders that affect multiple organs, including the brain. Here we report a boy who carried compound heterozygous variants in TBC1D32. The patient showed hypotonia, respiratory difficulty, and multiple anomalies at his birth. He was diagnosed with congenital hypopituitarism and treated with T4, hydrocortisone, and growth hormone. Despite the hormonal replacement, the patient needed long-term respiratory support with tracheostomy and nutritional support with a feeding tube. His developmental milestones were severely retarded. Hydrocephalus and strabismus developed and both required surgery, during the outpatient follow-up. Whole-exome sequencing indicated compound heterozygous variants, c.2200C>T (p.Arg734*) and c.156-1G>T, in TBC1D32 gene. This is the first Korean case of TBC1D32-related ciliopathy and we reported detailed and sequential clinical features. This case demonstrated the utility of whole-exome sequencing and provided valuable clinical data on ultra-rare disease.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염생식물 Atriplex gmelinii의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Crude Extract and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of the Halophyte Atriplex gmelinii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이정임;오정환;공창숙;서영완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77
    • /
    • 2023
  • Objectives: Atriplex gmelinii C. A. Meyer is a halophyte belonging to the Chenopodiaceae family, and its young leaves and stems are used as fodder for livestock.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gmelinii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n lipid accumulation during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Methods: The samples of A. gmelinii were separately extracted using methylene chloride and methanol. Subsequently, they were combined to formulate the initial extract, which was then partitioned based on polarity to prepare solvent fractions. Oil Red O staining was employed to measure lipid accumulation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o verify cytotoxicity in 3T3-L1 cells, MTT assays were conducted. The expression levels of transcription factors in 3T3-L1 preadipocytes were measured through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ults: At 50 ㎍/mL, treatment of A. gmelinii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significantly diminished lipid accumulation with no noteworthy cytotoxicity on cell viability. Additionally, when investigating the biochemical pathways that underlie the prevention of lipid accumulation using solvent fractions, it was found that the n-BuOH and n-hexane frac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key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the generation of fat,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α (C/EBPα),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gmelinii can effectively reduce the accumulation of fat in 3T3-L1 adipocytes, making it a potentially valuable material for mitigating and preventing obesity.

수초화 슈반세포 autotypic 세포연접의 PDZ 도메인 보유 단백질 (PDZ Domain-containing Proteins at Autotypic Junctions in Myelinating Schwann Cells)

  • 한성존;박형빈;홍수민;이동현;최마로;조정목;엄상화;장원희;석대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1-112
    • /
    • 2015
  • 자가밀착연접 단백질들은 세포, 특히 수초화된 신경교세포막의 층상구조 사이에 존재하는 밀착연접에 존재한다. 그들 중 일부는 다른 단백질의 C-말단의 PDZ 결합 모티프에 붙는 postsynaptic density-95/Disks large/Zonula occludens-1 (PDZ) 도메인을 가진다. PDZ domain은 박테리아, 식물, 세균, 후생동물, Drosophila에 존재하여 거대한 단백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단백복합체들은 세포 내 신호전달, 단백질 표적화, 그리고 세포막 극화 작용을 한다. ZO-1, ZO-2, AF-6, PATJ, MUPP1, PAR-3는 자가밀착연접에 존재한다고 확인되었다. PAR-3는 atypical protein kinase C와 PAR-6와 반응하여 세포의 극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3차원 단백질복합체를 형성하는데 이는 Caenorhabditis elegans와 Drosophila 종에서 척추동물에까지 보존되었다. MAGI2는 흥분성 시냅스에서 ${\alpha}$-amino-3-hydroxyl-5-methyl-4-isoxazole propionate (AMPA) 수용체와 반응한다. PATJ는 claudin-1과 함께 마디곁 루프에서 발견되는 반면, MUPP1은 claudin-5와 함께 축삭사이막과 Schmidt-Lanterman 절흔에서 찾을 수 있다. ZO-1, ZO-2 그리고 PAR-3의 경우에는 세 장소 모두에서 발견된다. PDZ 도메인을 보유한 단백질들의 서로 다른 분포는 자가밀착연접의 발생에 영향을 준다. 이 총설에서는 수초화된 슈반 세포의 자가밀착연접에 존재하는 PDZ 도메인을 가진 단백질들과 그들의 기능을 알아볼 것이다.

흑마늘 추출물이 인체위암세포의 tight junction 투과성 조절과 세포 침윤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Tight Junction Permeability and Cell Invasion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 신동역;윤무경;최영환;권오천;김정인;최태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8-53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흑마늘 열수 추출물(ABG)의 암세포 전이억제 효능을 검정하였다. AGS AGS 인체위암세포의 이동성과 침윤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TER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ABG에 의한 AGS 위암세포의 침윤성 억제는 TIMPs 발현 증가에 의한 MMPs의 발현 및 활성 저하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AGS 위암세포에서 과발현을 나타내는 TJ 단백질인 claudins의 발현 저하 등이 ABG의 항전이 효과에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흑마늘 열수 추출물이 단순한 암세포의 증식억제를 통한 암예방 및 항암활성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전이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와 연관된 보다 구체적인 분자세포생물학적 접근 및 in vivo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인체 간암세포에서 β-lapachone 처리에 의한 Tight Junction 관련 유전자의 변화 ((β-lapachone Regulates Tight Junction Proteins, Claudin-3 and -4,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 김성옥;권재임;김기영;김남득;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98-1302
    • /
    • 2007
  • ${\beta}-lapachone$은 남미지역에서 자생하는 Tabebuia avellanedae라는 나무의 수피에서 동정된 quinone계 물질로서 다양한 인체암세포에서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beta}-lapachone$의 암 전이 억제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HepG2 및 Hep3B 인체 간암 세포의 전이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beta}-lapacho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TT assay 및 세포형태변화 관찰 결과에서 ${\beta}-lapachone$ 처리에 따라 HepG2와 Hep3B 세포들은 ${\beta}-lapachone$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그 형태적 변형도 동반하였다. ${\beta}-lapachone$처리에 의한 암 전이 지표가 되는 IGF-lR, Tjs (ZO-1, claudin-3,-4) 및 Tj 조절인자(${\beta}-catenin$)의 발현을 RT-PCR과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beta}-lapachone$ 처리가 IGF-1R의 발현 억제와 Tj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유도함으로써 ${\beta}-lapachone$이 Tj를 강화하여 암세포의 전이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인체 간암세포에서 ${\beta}-lapachone$의 항전이 작용의 이해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섬쑥부쟁이(Aster glehni Fr. Schm.)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Fractions from Aster glehni Fr. Schm.)

  • 김한혁;박근혜;박강수;이진영;안봉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4-441
    • /
    • 2010
  • 최근 연구에서 폴리페놀을 함유한 천연물은 질병의 위험과 노화의 원인인 ROS와 RNS를 감소시키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산화와 염증에 대한 저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섬쑥부쟁이 70% 메탄올 추출물은 헥산층, 에틸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 물층을 극성별로 분획하였다. 섬쑥부쟁이로부터 분획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부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50\;{\mu}g/mL$에서 각각 58.0%, 46.4%를 나타냈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50\;{\mu}g/mL$에서 64.65%를 나타냈고, 부탄올 추출물은 $50\;{\mu}g/mL$의 농도에서 35.6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염증 효과와 관련된 hyaluronidase와 lipoxygenase의 저해 활성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효과는 $5\;{\mu}g/mL$의 농도에서 각각 24.37%, 29.5%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nitric oxide 생성 억제에서도 유의했으며, Raw 264.7 cell 내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단백질에서 $50\;{\mu}g/mL$의 EtOAc 추출물을 처리시 81.5%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암세포주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from Styela clava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 정은실;김주영;박은주;박해룡;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823-827
    • /
    • 2006
  • 신선한 미더덕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들어 water, MeOH, EtOH 및 acetone의 용매로 추출하여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대장암 세포주 HT-29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암세포증식 억제효과는 ethanol 추출물이 $500\;{\mu}g/mL$ 농도에서 45.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대조구와 다른 추출물에 비교하여 크게 세포의 응축과 세포수의 감소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용매별 추출물 중 가장 강력한 항암활성을 가지는 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정제수율을 높여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n-hexane, diethyl ether, ethyl acetate 및 water 순으로 극성을 높여 분획한 결과 diethyl ether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iethyl ether 분획물을 인간대장암 유래의 세포주 SW620, 자궁경부암 세포 HeLa 및 유방암 세포 MCF-7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암활성이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농도 $500\;{\mu}g/mL$ 처리 시 모두 10%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지금까지는 한약재를 비롯한 농산물 유래의 추출물이 항암효과를 보이는 연구가 보고된바 있으나 해양생물 유래의 추출물에서 항암효과를 보이는 결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결과는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함에 있어서 해양생물이 중요한 천연자원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