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self-efficacy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31초

전공만족과 무도만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경호전공과 무도전공 중심으로 - (Causal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f major and martial arts education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ecurity Service Major and Martial Arts Major -)

  • 김영현;김우진;민왕식;양영모;곽한병
    • 시큐리티연구
    • /
    • 제36호
    • /
    • pp.57-92
    • /
    • 2013
  • 본 연구는 경호 및 무도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진로준비행동이 취해지는 매커니즘(mechanism)을 확인하고,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준비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경호전공과 무도전공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 하였다. 이에 따른 표집방법은 비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방법이며, 총 434부가 자료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과 무도수련만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각각 매개변수와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무도수련만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만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공 집단별 잠재평균분석 결과, 전공만족, 무도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경기도 클러스터 교육과정 참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변화: 보건과목 중심 (Changes in Career Choice Commit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Gyeonggi-do Cluster Curriculum: Focusing on Health)

  • 양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63-169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도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교육과정 참여 전 후 진로결정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전후 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3개 고등학교의 보건 클러스터에 참여한 2학년 고등학생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21년 3월 8일부터 2021년 12월 29일까지 진행되었고,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참여 전 보다 참여 후에 진로결정몰입(t=-9.01,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t=-8.45, p<.001), 진로성숙도(t=-3.63, p=.0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의 표준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job-seeking 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이혜경;김남송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27-334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esteem and job-seeking effica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career guidance, counseling and the development of employment programs by colleges, as self-esteem seemed to be one of integral variables to affect job-seeking efficacy.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ree different colleges in South and North Jeolla Provinces. After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562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Results : 1. The students investigated got a mean of 2.43 in self-esteem, which was not a high score. The sophomores had a better self-esteem than the freshmen and juniors, and the gaps among the respondents in each subfactor of self-esteem were significant($p^*$ <0.01, $p^{**}$ <0.05). 2. The students got a mean of 3.12 in overall job-seeking efficac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in each subfactor of job-seeking efficacy($p^*$ <0.01). 3. The freshmen were ahead of the sophomores and juniors in job-seeking efficacy, and the gap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were significant($p^*$ <0.01). 4.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perceived self-esteem and job-seeking efficacy of the students. A higher self-esteem led to a better job-seeking efficacy(p<0.01). Conclusions :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a higher self-estee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job-seeking efficac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geared toward boosting the self-esteem of dental hygiene students is required,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quality self-esteem programs for students to plan and prepare for their future, to make the right career choice, to improve their vocational adjustment, to keep pursuing self-development and to build the right values.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위험감수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er Self-Efficacy on Risk Taking Level in University Students)

  • 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54-1060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이 위험감수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진로에 관련하여 능동적 직업탐색의 근본이 되어주는 진로자기효능감을 자기평가, 목표설정, 직업정보, 문제해결의 4개 항목으로 설정하였으며, 위험감수수준은 직업선택, 금전관리, 인간관계의 3가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1. 11. 26.~12. 17. 까지 3주간에 걸쳐 서울과 수도권 그리고 지방에 있는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4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 중 유효한 4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진로자기효능감 중에서 자기평가 항목은 금전관리위험감수수준이 높은 군이 가장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문제해결 항목은 직업선택위험감수수준과 인간관계위험감수수준이 높은 군에서 가장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직업정보는 위험감수수준 전 항목에서 부(-)의 영향력을 끼치며 위험감수 수준이 낮은 연구대상일수록 직업정보에 더욱 적극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취업을 앞둔 대학생에게 직업유형에 따른 위험감수수준이라는 개인의 직무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 직업탐색에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새로운 검증이라는 데에 의미가 있다.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 자기효능감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 김규림;황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615-6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경험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공동체의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eumboltz의 사회학습이론과 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한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근거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충청북도 소재 4년제 3개 대학의 사회복지전공 학생 260명을 할당표집하여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공동체의식은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 향상을 위한 개입과 후속연구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lateau, Self-efficacy,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 김유미;강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078-5090
    • /
    • 2013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5개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17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8월 5일부터 8월 20일까지였으며,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07점 이었으며,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이직의도는 경력정체(r=.284)와는 정적관계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r=-.165)과 직무배태성(r=-.432)과는 부적관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무배태성이었으며, 현 병원 근무경력, 경력정체, 근무부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관리 방안으로 직무배태성을 높이는 간호사 유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융복합 시대에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아리활동만족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Career Decision-making of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Extracurricular Clubactivity Satisfaction)

  • 김경숙;장인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43-251
    • /
    • 2018
  •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동아리활동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충청남도와 경기도 및 서울에 소재한 7개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271부 수집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량분석과 상관분석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첫째, 완벽주의가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가 대학생의 동아리활동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아리활동만족도는 완벽주의가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함의와 기초자료로 제시한다.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 성공 귀인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Attribution of Career Success on the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이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84-9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 성공에 대한 귀인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직업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적 성공에 대해 노력 귀인을 할 때 직장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서도 노력 귀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운 귀인을 할 때 직장만족도, 업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나 직업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업적 성공에 대한 귀인과 직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입사원이 자신의 노력에 따라 직업적 성공이 좌우된다고 인지할수록 직무를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고 믿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더 많은 노력과 인내심을 가지고 적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서 신입사원에게 직업적 성공에 대한 노력 귀인을 습득할 수 있도록 내재적 및 외재적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직업적응도를 높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진로 탐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on Career Exploration)

  • 김영란;이상직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2호
    • /
    • pp.159-172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은 사회인지진로모형(SCCT)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도출하였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였다. 이에 대한 선행 변수로 성취경험, 언어적 격려,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를 채택하였다. 실증분석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획득한 217부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구조방정식으로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취경험,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언어적 격려와 긍정적 정서는 결과기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언어적 격려는 자기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경험과 대리학습은 결과기대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모두 진로 탐색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 관계에 있어서는 결과기대가 자기효능감보다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교사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 (The Self-Efficacy,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eachers in Korea)

  • 김순례;이규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7-5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ed with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eachers to provide the data for efficient health management of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9 teachers, who were chosen in Choong-Bu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written questionnaires by mail and visiting from September 1 to 30, 1997.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using SPSS/PC(v.4.01)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2.53 on the average, self-actualization 2.97, nutrition 2.90, interpersonal relationship 2.52, stress management 2.33, exercise 1.91, health responsibility 1.82.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 age, marital status, career, teaching load, monthly income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2. Income was the factors affect with self-actualization, age, marital status, teaching load, number of children, career, education, income were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with Nutrition. Sex, marital status were the factors affect with stress management, sex, age, career were the factors affect with exercise, and sex, age, marital status, career, teaching load, income,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were the factors affect with health responsibility. 3. Marital status, sex, age, income, number of children, living with family were the factors significantly affect with Family Function. 4. Sex affected with Self Efficacy.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e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Self-Efficacy, Family Function to improve Health Promoting Lifestyl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and to determine factor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eac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