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Resilience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초

Holland 6각형 프로파일을 통한 진로몰입 사례분석 (The Case Analysis of Career Commitment using Holland's Hexagonal Model Profiles)

  • 노양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39-455
    • /
    • 2018
  • 본 연구는 Holland 6각형 모형에서 계측성 상관계수가 .16으로서 둘 간 상관이 매우 낮은 탐구형(I)과 진취형(E)이 결합할 때 나타나는 진로몰입과 관련한 행동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탐구형(I)과 진취형(E)이 각각 높은 점수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값을 가진 개인과 각각 낮은 점수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인은 진로몰입에 대해 다르게 행동하는가?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 행동 특성을 나타내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두 코드값 18점 이상자 3명과 18점 미만자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형(I)과 진취형(E) 코드값이 동시에 높은 연구대상자들은 높은 진로몰입을 보였는데 목표지향성이 매우 강하고 긴 미래시간전망을 가지고 발전을 추구하며 스스로 동기부여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높은 진로기대감과 진로탄력성을 가지고 진취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계획하며 일정한 희생도 감수했다. 독립성을 중시하고 타인이나 외부환경의 영향에 민감하지 않으며 독자적인 진로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탐구형(I)과 진취형(E) 코드값이 동시에 낮은 연구대상자들은 진로몰입의 중요성을 잘 알고 의지도 있으며 스스로 몰입하고 있다고 생각하기도 하나 실상은 주변 사람이나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몰입도가 낮아지는 모순을 나타냈다. 이들은 미래 진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자신의 논리에 근거한 일관성이나 계획보다는 주변의 평가나 관계, 외부환경의 끌리는 자극에 민감히 반응하여 결정이나 계획이 움직이는 경향을 보였다. 이 때 진로몰입의 수준과 특성을 결정하는 것은 사회형(S) 코드값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심층적 진로상담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는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 경험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Ego Resilience and involvement with the Experience of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in Nursing students)

  • 이윤경;김현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53-1962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불안, 주관적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K시 일개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3년 9월 9일에서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526부 중 최종적으로 500부가 분석되었다.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에 의해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이에 따른 자아탄력성, 불안, 주관적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고 세 변수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의 자아 탄력성 평균점수는 3.36(0.50)점, 불안은 2.26(0.70)점, 스트레스는 2.55(0.55)점이었으며, 자아탄력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24세 이상 군에서 23세 이하의 군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자아탄력성은 불안 (r=- .383, p=0.000) 및 지각된 스트레스와 (r=- .454, p=0.000)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r= .688, p=0.000)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아탄력성이 갖는 긍정적 측면을 인식하고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교과과정의 개발을 제언하는 바이다.

임상간호사의 인성, 회복탄력성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Personality and Resilience on Happiness Index)

  • 김성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57-365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인성, 회복탄력성, 행복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일반적 특성과 인성, 회복탄력성 정도가 간호사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2019년 5월 1일부터 15일까지 P-광역시와 K-지역에 위치한 10개 병원의 임상 간호사 307명에게 자기보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인성정도는 3.67, 회복탄력성 3.28점, 행복지수 3.28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지수 정도는 실무경력이 높을수록, 근무형태, 여가활동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행복지수는 인성과 회복탄력성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행복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무경력 '1-5년 미만'(${\beta}=-.41$), '10년 이상'(${\beta}=-.39$) '5-10년 미만'(${\beta}=-.34$), 회복탄력성(${\beta}=.35$), 인성(${\beta}=.29$), 교대근무(${\beta}=.12$), 여가활동(${\beta}=.10$) 순이었고, 설명력은 41%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행복지수를 올리기 위해 간호사 경력관리 및 근무형태관리, 인성함량 교육,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과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머신러닝을 활용한 서울시 중학생 진로성숙도 예측 요인 탐색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areer Maturity in Seoul City Middle School: A Machine Learning)

  • 박정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5-17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예측 요인을 찾기 위해 머신러닝 기법(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을 서울교육종단연구 4~6차년도 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적용에 따라 도출된 세 가지 머신러닝 모형의 변수 중요도와 각 지표별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XGBoostExplainer 패키지를 활용하여 모형을 해석하였으며, 데이터 전처리와 분석 모두 R과 R Studio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각 모형별로 변수 중요도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성취목표', '창의성', '자아개념', '부모자녀와의 관계', '회복탄력성'이 높은 순위를 보였다. 또한 XGBoostExplainer를 활용하여 패널별 진로성숙도에 정적·부적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였고, '성취목표'가 진로성숙도 예측 최우선 요인임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머신러닝 및 변수선택 방법의 비교연구와 서울교육종단연구 코호트별 비교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초보간호사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Self Efficac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 in Early stage nurses)

  • 문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46-653
    • /
    • 2016
  • 본 연구는 초보간호사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초보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대상자 자료 수집은2015년 6월 1일부터 7월 7일까지 일 광역시 소재 3개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경력 3년 이하의 초보간호사 14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 하도록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를 구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탄력성은 3.13점(${\pm}0.46$), 자기효능감은 3.64점(${\pm}0.64$),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2.95점(${\pm}0.50$)이었다. 초보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이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유무가 자아탄력성에, 임상경력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외 항목은 유의하지 않았다. 자아탄력성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정적인 상관관계 있었으며(r=.305, p<.001), 자기효능감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r=.279, p=.001)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초보간호사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병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여 간호사의 직업 만족감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Resilience on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

  • 박종원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1호
    • /
    • pp.39-50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및 근무환경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경기도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요양병원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180부가 최종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분석과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 중에는 나이, 결혼유무, 경력, 직위가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업무성과의 정도는 평균 91.25(±12.46)점, 감정노동은 평균 41.25(±4.21)점, 회복탄력성은 평균 52.89(±6.37)점, 근무환경은 평균 78.93(±15.3)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근로자의 업무성과는 감정노동(r=.326, p<.001), 근무환경(r=.384,p=.005), 회복탄력성 .417(p<.001)의 변수 모두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업무성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근무환경이었으며 두 번째로는 회복탄력성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48.2%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8.249, p<.001).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수성이 있기는 하지만 이상의 결과에서 요양병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무환경을 좀 더 세심하게 개선하고 근로자들이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청소년 활동정책 개선방안: 프로그램, 설비·시설, 지도자를 중심으로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youth activity policie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focusing on programs, equipment and facility operation and leaders)

  • 이경상;이창호;김민
    • 정보화정책
    • /
    • 제26권4호
    • /
    • pp.62-84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지능정보사회에 적합한 청소년 역량함양을 위해 청소년 활동시설의 프로그램, 설비·시설, 지도자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청소년 활동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능정보사회에서의 사회변화 전망에 따른 청소년 활동정책의 변화방향에 대한 문헌연구, 청소년 활동시설의 대응실태 파악 및 활동정책의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17개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다. 먼저 프로그램분야에는 1) 지능정보기술 관련 프로그램의 확대, 2) 진로체험교육프로그램에서 진로탄력성관련 내용의 강화, 3) 스팀·메이커관련 프로그램의 체계적 도입 및 확산 등 9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설비·시설분야에는 1) 지능정보기술 관련 외부기관과의 협력네트워크 강화, 2) 활동프로그램 개발·개선·운영에서 AR·VR 기술의 적용 확대, 3) 청소년활동 분야의 빅데이터 구축 등 5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도자분야에는 1) 활동시설 지도자 대상 지능정보사회관련 정보제공 확대, 2) 청소년 지도자 대상 지능정보사회관련 직무모형 개발 및 직무연수 실시 등 3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국내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관련변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김신향;백민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09-419
    • /
    • 2019
  • Purpose: Factors related to the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and quantitatively synthesized. Methods: Meta-analysis was conducted upon 47 articles in Korean master and doctorate degree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Meta-analysis of major satisfaction-related variables was conduct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2.0 program. The effect size of the related variables was analyzed by converting the statistic r value to Fisher's Z. Result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major satisfaction was the largest effect size (ES=.49), followed by cognitive factors (ES=.58), affective factors (ES=.45), and psychomotor factors (ES=.31). The cognitive factors were in the order nursing professionalism(ES=.70), nurse's image (ES=.65),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ES=.36). The affective factors were self-esteem (ES=.59), emotional intelligence (ES=.55), career identity (ES=.49), self-efficacy (ES=.48), college adjustment (ES=.45), practice satisfaction (ES=.45), resilience (ES=.42), (ES=.40), grit (ES=.34), and stress (ES=.26). The psychomotor factors wer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ES=.38) and career search behavior (ES=.3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aluable when giving consideration to the variables related to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for developing a strategic model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후방 공군 병사의 의사소통, 회복탄력성, 정신건강이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Resilience, Mental health on Military Adjustment of Soldiers in the Rear Air Force)

  • 안효자;배영주;조명숙;김은하;김영옥;이영례;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94-703
    • /
    • 2016
  • 본 연구는 후방지역 공군 병사의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N 지역의 병사 160명이었다. 자료는 2015년 11월 16일부터 12월 11일에 수집되었고, 연구 도구는 군 적응, 의사소통, 회복 탄력성, 정신 건강이었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군 적응 평균 점수는 1.25점, 회복탄력성 평균 점수는 3.69점, 정신적 웰빙의 평균 점수는 2.98점, 정신장애의 평균 점수는 1.24이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나이,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 진로에 대한 생각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병사들의 군 적응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상 하 인간관계와 주 상담원은 군내에서 동기가 많았다. 군 적응과 의사소통, 정신 장애는 유의하게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회복 탄력성, 정신적 웰빙은 유의하게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정신 장애와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은 군 적응의 설명력 41%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병사들의 정신 장애와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이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 장애와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 관리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되어야 한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t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Family)

  • 김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89-197
    • /
    • 2018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 중 우울과 사회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건강증진 프로그램개발 및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11명의 다문화 가정 청소년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 방법으로 수집되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 프로그램에 의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스트레스, 진로성숙도와 부모의 권위주의적 양육태도가 우울에 중요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회적 부적응에는 스트레스, 권위주의적인 양육태도가 부정적 영향을, 탄력성, 진로성숙도와 문화다양성 태도, 개방적 의사소통과 부모의 지지가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우울과 사회부적응 등 정신건강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