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6498/kbigdt.2020.5.2.155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areer Maturity in Seoul City Middle School: A Machine Learning  

Park, Jung (흥도초등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Bigdata / v.5, no.2, 2020 , pp. 155-17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 to data from the 4th~6th year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o find the factors predicting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city. In order to evaluate the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according to the indicators was checked. In addition, the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XGBoostExplainer package, and R and R Studio tools were us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ranking of variable importance by each model, but the rankings were high in 'Achievement goal awareness', 'Creativity', 'Self-concept',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children', and 'Resilience'. In addition, using the XGBoostExplainer package,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protect and deteriorate career maturity by panel and 'Achievement goal awareness' is the top priority factor for predicting career matu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a comparative study of machine learning and variable selection methods and a comparative study of each cohort of the Seoul Education Termination Study should be conducted.
Keywords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Machine learning;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Cupples, L. A., Bailey, J. N., Cartier, K. C., Falk, C. T., Liu, K.-Y., Ye, Y., Yu, R., Zhang, H., and Zhao, H., "Data mining", Genetic Epidemiology, Vol.29, No.S1, pp.103-109, 2005.
2 박나영, 김장일, 정용규, "Naive Bayes 분석기법을 이용한 유방암 진단", 서비스연구, 제3권, 1호, pp.87-93, 2013.
3 Kuhn, M., and Johnson, K.(권정민 옮김), "실천예측 분석 모델링", 서울:에이콘, 2018.
4 황혜진, 김수현, 송규원, "XGBoost 모델 해석을 통한 노인의 인지능력 개선.악화 요인 탐구",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제14권, 3호, pp.16-24, 2018.
5 Chen, T., and Guestrin, C., "Xgboost: A scalable tree boosting system", Proceedings of the 22nd ACM Sigkd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ACM, pp.785-794, 2016.
6 서울교육연구정보원, "데이터 기반 서울교육정책 설계: 서울교육종단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2010.
7 유진은, 노민정, "Elastic net 을 통한 학생의 창의성 예측 모형 연구",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제27권, 3호, pp.185-205, 2018.
8 조철호,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모형 논문 통계분석", 서울: 청람, 2015.
9 정충영, 최이규, "SPSSWIN 을 이용한 통계분석", 서울:무역경영사, 2011.
10 Kass, G., "An Exploratory technique for investigating large quantities of categorical data", Applied Statistics, Vol.29, No.2, pp.119-129, 2018.   DOI
11 Viera, A.J., and Garrett, J. M., "Understanding inter observer agreement: the kappa statistic", Fam med, Vol.37, No.5, pp.360-363, 2005.
12 성춘향, 박용한, "청소년기 생애목표지향의 종단적 변화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6권, 4호, pp.97-122, 2018.
13 박혜숙, 전명남, "서울시 교육종단자료에 나타난 초.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2권, 2호, pp.59-83, 2014.
14 이현미, 정제영,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경기교육종단연구 (GEPS)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4권, 2호, pp.117-139, 2017.
15 정경화, 김기승, "중학생들의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9권, 10호, pp.475-482, 2018.
16 차정원, 이형실, "청소년의 가족환경 및 또래환경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6권, 3호, pp.53-67, 2014.
17 백승원, 윤채영,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교육혁신연구, 제30권, 3호, pp.175-199, 2020.   DOI
18 임현정,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인, 가정, 학교의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4권, 4호, pp.265-285, 2016.
19 박지현,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연구자아존중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제11권, 3호, pp.329-344, 2020.
20 전현정, 정혜원,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교특성 변인 및 학생 특성 변인과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29권, 3호, pp. 213-240, 2018.
21 임언, 정윤경, 상경아, "진로성숙도 검사개발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22 박정, 조완섭, "교육종단연구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및 적용", 한국빅데이터학회지, 제5권, 1호, pp.11-27, 2020.   DOI
23 하아영, 조한익, "중학생의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 공동체의식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국어, 영어, 수학교과 자기효능감의 조전된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제27권, 3호, pp.109-135, 2020.
24 김영식, 김훈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사교육 참여 예측 모형 탐색",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8권, 3호, pp.29-52, 2019.
25 정윤경, 이상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관련 변인: 개인, 가정, 학교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259-305, 2005.
26 이유나, "Cost-Sensitive Learning을 활용한 심뇌혈관 질환 발생 예측 모형 개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9.
27 David, F., "NEW R Package: The XGBoost Explainer -Applied Data Science-", Medium, 2017.
28 이형실,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7권, 4호, pp.109-119, 2015.   DOI
29 오석영, "중학생의 관계형성 및 자기효능감이 진로경험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진학희망계열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제25권, 3호, pp.77-94, 2012.
30 이종범, 정철영,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18권, 2호, pp.79-105, 2005.
31 Han, J., Kamber, M., and Pei, J.(정사범, 송용근 옮김), "데이터 마이닝: 개념과 기법", 서울:에이콘, 2016.
32 김성식, 김준엽, 곽한석, 최유림, 박미희, 차미선, 곽나람, "서울교육종단연구 8차년도 기초 분석 보고서",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7.
33 길혜지, 윤지윤, "진로성숙도가 높은 학생과학교 특성 분석", 제1회 경기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pp.143-162, 2014.
34 Alpaydin, E., "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MIT press, 2020.
35 나종화, "R 데이터마이닝", 경기:자유아카데미, 2017.
36 서민구, "R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분석 실무", 서울:길벗, 2014.
37 Trifonova, O. P., Lokhov, P. G., and Archakov, A. I., "Metabolic profiling of human blood", Biochemistry Supplement Series B: Biomedical Chemistry, Vol.7, No.3, pp.179-186, 2013.
38 이시연,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6호, pp.622-631, 2017.   DOI
39 전화숙, 임혜정, 이기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분석: 학교 효과를 중심으로",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1-28, 2016.
40 진성미, "서울시 초.중.고교생의 진로성숙도 관련 변인별 집단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제29권, 2호, pp.133-156, 2011.
41 김보람, 김봉환, "진로탐색집단상담프로그램이 학업중단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8권, 2호, pp.1-22, 2015.
42 이종범, I. H. Lee, "초등학생 진로발달 유형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3권, 1호, pp.65-81, 2020.
43 허균,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과 성별, 자아존중감 및 부모애착 시간효과의 구조관계", 직업교육연구, 제31권, 2호, pp.193-209, 2012.
44 박정, "교육종단연구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연구 개발 및 응용",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45 Yarkoni, T., and Westfall, J., "Choosing prediction over explanation in psychology: Lessons from machine learning",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Vol.12, No.6, pp.1100-1122, 2017.   DOI
46 강혜정, 강성현, 임은미,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동기와 진로동기 수준에 따른 집단분류 가능성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제17권, 2호, pp.151-175, 2016.
47 윤현,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8권, pp.97-124, 2011.
48 이병임,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도덕지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 인격교육, 제13권, 3호, pp.143-155, 2019.
49 박상희, 이지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학습된 무기력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4권, 4호, pp.129-150, 2020.
50 이희주, 이해영, 강경자,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교수-학생상호작용, 진로성숙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2권, 1호, pp.425-437, 2017.
51 어윤경,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한 진로체험 활동의 창의성 함양 효과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제21권, 2호, pp.197-219, 2015.
52 최인희,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변화와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육, 제46권, 1호, pp. 161-186, 2019.
53 이호현, "캡스톤디자인 항공모의비행 교과목 수강 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결정수준의 변화연구 : 서울 소재 2년제 대학 항공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진로연구, 제10권, 2호, pp.1-23, 2020.   DOI
54 김지선, 원새연, 이원재, "경기도 중.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건강및 의식, 교사사기, 진로의식 간의 관계 분석", 제1회 경기교육종단 연구학술대회논문집, pp.77-102, 2014.
55 성낙훈, "체육전공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의식성숙도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3권, 4호, pp.69-8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