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Recognition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8초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 주관적 규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관계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Work Value, Subject Nor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in Agricultural Science Fields)

  • 박혜진;유병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4권3호
    • /
    • pp.211-22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griculture on the career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 by measuring the job value and the subjective norm of agriculture.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orm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career adaptability of agriculture major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belief that one can plan and practice career goals and the affirmation of career plans and decisions in the vicinity are important factors in career adaptability. Second, Self-Realization and social recogni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judged that social recognition such as honor and honor of others in a career choi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ich is self-esteem in career selection. Lastly, An important variable for the subjective norms of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was social recognition. This can be sai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people is very important as the value of social recognition is more important.

진로인식을 위한 미술과 진로 융합 수업 -동네직업지도 그리기를 통하여- (Art and Career Convergence Class for Career Recognition - Through drawing a Neighborhood Job Map -)

  • 김지현;허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33-442
    • /
    • 2019
  • 진로교육과 미술교육을 융합하여 동네직업지도 그리기를 활용한 진로교육 수업지도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학생들의 진로인식을 확장하고 하고자 하였다. 수업은 초등학생 5~6 학년 16명을 대상으로 3차시로 진행되었으며 사전, 사후 질문 및 학생 작품과 인터뷰를 통해 직업인식의 하위 개념인 직업가치관과 직업편견, 자기이해와 진로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동네직업지도를 제작 수업을 통해 직업인식이 확장되었다. 직업의 필요성과 그 가치, 목적 등을 파악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모든 직업은 가치가 있다는 직업가치관의 변화와 직업 편견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새롭게 이해하고 그 역할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태도가 변화하였다. 그리하여 본인의 의지보다는 사회가 요구하는 진로를 결정하는 상황에서 동네직업지도 그리기 수업이 학습자들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전반적인 진로인식에 효과적이었다.

대학생의 진로인식에 따른 진로 교육 요구도 차이 분석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areer Recognition of the Undergraduates)

  • 김현순;김지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51-65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인식이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진로인식 여부가 교육요구도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교 학생 362명에게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육요구도는 경력개발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직업정보탐색, 경력전환기술,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진로계획 수립, 효과적 대인관계 형성 순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인식 여부는 역량 보유도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역량 필요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두 집단의 교육요구도의 순위는 1위에서 3위까지는 동일했으나 4위부터 6위까지는 달랐다. 즉, 두 집단 모두 교육요구도 1위는 경력개발, 2위는 직업정보탐색, 3위는 경력전환기술로 동일하였으나, 그 뒤 순위는 진로인식 집단은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효과적 대인관계 형성, 경력전환기술 순임에 반해 진로 미인식 집단은 진로계획수립,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효과적 대인관계 형성 순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진로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제에 따른 진로인식, 간호사자질인식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Recognition of Future Career and Nurse'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Nursing School System)

  • 배두이;은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7-218
    • /
    • 2014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cognition of future career and nurse'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nursing school system. This study was based on cross sectional descriptive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t-test, and ANOVA using PASW WIN 18.0 program. The data represented that students who were doing associated degrees or bachelor degrees, showed the similar level recognition of future career and nurse's characteristics. However they showed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career where they could create and new things(t=2.933, p=.004) and working part time(t=2.328, p=.021). In regards to recognition of nurse's characteristics bachelor degrees students had higher professional ethics($4.59{\pm}.44$). This study propos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ould be used for improving methodology of nursing educat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ollege students -

  • Lee, Sookja;Kweon, Seong-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125-13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 decision self - efficac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ack of self - clarification, lack of job information, and lack of recognition of need were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barriers. Third, as a result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 making self - 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goal setting and job information, which are sub - 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were analyzed. Fourth,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level of career barrier,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should be lowered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should be increased.

남자대학생의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Career Barrier Recogn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Mandatory military service Planning Level among Male College Students)

  • 홍혜영;강혜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18-239
    • /
    • 2013
  •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군 의무복무계획과 진로장벽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 충남지역 남자 대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군 의무복무계획, 진로장벽인식,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군 의무복무계획과 진로장벽인식 정도,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에 따른 진로장벽인식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자대학생의 79.2%가 군 의무복무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군 의무복무계획의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계획을 세우기 위한 실제적 행동적 노력을 행하는 남자대학생들은 비교적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자대학생의 73.9%가 진로에 있어 군 의무복무를 장벽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최대 집단(16.9%)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문항별 응답분포를 통해 군 의무복무 시기의 문제, 시간에 대한 기회비용과 남들보다 뒤쳐질 수 있다는 어려움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군 의무복무계획 상 하위 집단 간 진로장벽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인 중요성의 경우 상 하위 집단 간 진로장벽인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남자대학생에게 군 의무복무라는 장벽은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과 상관없이 자신들의 진로과정에 있어 방해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군 의무복무계획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군 의무복무를 더 큰 장벽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군 의무복무계획의 상 하위 집단 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군 의무복무계획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진로준비행동을 보였다는 것은 군 의무복무계획의 필요성을 시사해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남자대학생과 진로상담자에게 군 의무복무계획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군 의무복무 전 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에서 한국적 진로발달과정의 독특한 특성인 '군 의무복무'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축적하는데 의의가 있다.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Leadership Program on Career Awareness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70-8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인식 하위 영역가운데 자기이해,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진로목표 설정과 전략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에 대한 태도 및 가치관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과제난이도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더욱더 활발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부모 지지와 고등학생 진로발달과의 관계 연구 - 일반계, 산업정보계, 실업계의 비교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 이광자;김순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1-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For this study, the data was gathered from 1,468 students in 15 classes(different divisions) at 9 high schools (3 Academic high schools, 3 Industrial technology schools, 3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career development by gender. 2. As for the division factor, the recognition level of parental supports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and the average of their career development level was also higher. 3. As for the division factor, the recognition level of parental supports was most highest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other groups and the average of their career development level was also the highest.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parental suppor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va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5 As for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on th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er than other va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The $R^2$ value was weak but still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uccess Perception and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 Park, Soo-Auk;Cho, Young-Sik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7
    • /
    • 2021
  • Background: Career success is the psychological achievement associated with an individual's work.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is the behavior of managing individual careers in order to achieve individual career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areer success of dental hygienists as perceiv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uccess and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Methods: Nationwide convenience sampl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ere obtained; 354 people were surveyed online, and the data of 350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The perception of career success of dental hygienists was assessed using a multiple response method. T-test, ANOVA, and χ2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career succ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Career success was recogniz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as "income", "work proficiency", "patient consultation", "self-satisfaction", and "recognition by superiors" in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0.05). Higher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common in those higher in age, in married participants, in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 those with a higher career, better position, and more job change experience (p<0.05). Among the variables of career success perceiv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 profici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p<0.05). "Work proficiency" and "recognition by superiors" were significant in "protean technological development behavior," and they also influenced actual behavior (p<0.05).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ygienists' career success and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clarified. Dental hygienists performed career management behaviors to develop work ability and skill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long-term employment was confirmed.

일 전문대학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진로만족 영향요인 (Affecting Factors of Career Satisfaction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 김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39-349
    • /
    • 2013
  • 본 연구는 일 전문대학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진로만족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진로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3년제 일 간호대학의 3학년 학생 131명이며 자료분석방법은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만족의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진로만족은 전공관련 진로인식, 전공관련 학습선호, 전공관련 활동참여, 전공학업 수행, 전공학업 집중, 내적동기, 문제해결력, 교내실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진로만족의 영향요인은 전공관련 진로인식, 전공관련 학습선호, 전공관련 활동참여, 전공학업 집중, 교내실습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이들 개념은 진로만족을 63.0% 설명하였다. 특히 전공관련 진로인식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기에 간호대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간호전문직의 가치를 전달하고 간호철학 정립을 돕기 위한 교수자의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