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Path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1초

특 1급 호텔 조리종사원이 인지하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Deluxe Hotel Culinary Staff's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taff Careers)

  • 홍윤주;김영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87-2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특 1급 호텔 조리종사원이 인지하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280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4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334.152$(p<0.001), df=162, CMIN/DF=2.063, GFI=.893, AGFI=.861, NFI=.919, CFI=.956, RMSEA=.062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심리적 계약위반의 하위차원인 관계적 계약위반(${\beta}=-.236$)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직무만족도(${\beta}=-.269$)는 이직 의도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심리적 계약위반의 하위 차원 중 관계적 계약위반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심리적 계약위반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경력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등학교 남녀 학생의 수학 능력에 대한 담론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s Related to Mathematical Aptitude in High School Students)

  • 권오남;박경미;임형;허라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351-367
    • /
    • 1999
  •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discourses influencing high school students' concept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to examine how gender differences concerning mathematical aptitude are creat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two studies which suggested that mathematical competence differs not only according to gender, region and school year, but also even within the same gender. For this study, 12 students ranking in the top 10% at two co-ed high schools were interviewed to find out 1) what discourses are related to gender and mathematics, 2) in what way these discourses are formulated and gain currency, and 3) how they have affected students in general. Common notions concerning mathematic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1) Most of the students believe that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al aptitude results because biologically men tend to be strong in mathematics and analytical skills while women tend to have better linguistic ability. This concept can help male students' studying to have a greater learning toward mathematics. 2) A large number of the students believe that male students' studying method is based on comprehension whereas female students' method is based on retention, and hence the former group tends to be better at applying their learning than the latter group. This notion seres to encourage male students and discourage female students from tackling difficult mathematical problems. 3) Many students believe that, although female students may surpass their male counterparts in middle school 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they will eventually fall behind by the 3rd year. Despite research which shows that these common beliefs are not grounded in scientific proof, high-school girls, who may be strong in mathematics, lose self-confidence and feel a sense of crisis. The mechanisms which produce and reinforce such concepts as those mentioned abov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egarding the choice of majors and future career paths, parents show different attitudes toward sons and daughters, and this tends to influence high-school girls and hinders them from entering mathematics-related fields. 2) Teachers with value systems based on stereo-typed gender roles affect students a great deal, and give different advice according to gender of their students, for selecting their major fields - for instance, whether to study the natural sciences as opposed to humanities. 3) This study indicates that peer-group behavior, of either support or exclusion, also reinforces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notions of gender difference related to mathematical aptitude. 4) The gender-based notion that men are naturally more inclined to have better mathematical ability has caused male students to choose the natural science subjects and female students to turn to the humanities. The discourses discussed above, propagated in schools and homes, and in the mass media, are continually reinforced along with general gender inequalities in the society at large.

  • PDF

IT 인적자원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체계 프레임워크 및 프로세스 도출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ducation Framework and Process for IT Human Resource Competency Development)

  • 이재범;장윤희;박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131-145
    • /
    • 2010
  •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변화는 IT 인력에게 계속적인 역량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그로 인해 IT 인력의 역량개발이 기술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다면 IT 조직은 도태될 수밖에 없으며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여타 다른 인력에 비해 큰 지장을 받게 된다. 많은 기업들이 이런 이유로 IT조직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으며, IT 직무체계를 기술기반에서 정립하여 관리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IT 인력의 교육이 여타 다른 인력의 교육체계와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IT 인력의 교육체계수립에 대해 이런 특성을 반영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IT 인력의 교육체계를 수립하고 그 운영방안을 제도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그 프레임워크에 따르는 개별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그것을 사례 연구를 통하여 비교해 보고자 한다. 제시된 프레임워크와 프로세스의 특정은 IT 인력 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IT 인력 교육체계를 수립한 A사를 사례 기업으로 선정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프레임워크와 프로세스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IT 인력의 교육을 위해서는 IT 직무체계의 합리적 수립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직무기술서가 IT 직무에 적합하게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IT 인력의 경력경로를 전문인력경로와 관리인력경로로 나누고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구성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IT 교육훈련체계를 효과적으로 계속해서 운영하기 위해서 IT 인력 교육 담당자는 교육훈련대상자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하고, IT 직무별 역량과 스킬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기술적 지식을 가지고 항상 신기술 변화와 도입을 주시하고 있어야 한다.

  • PDF

일부 여자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절망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Hopelessnes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조은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93-603
    • /
    • 2020
  • 본 연구는 일부 여자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절망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학생 334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8년 8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절망감 수준의 분포는 「정상범위군」 61.6%, 「경도 절망감군」 23.1%, 「중등도 절망감군」 12.9%, 「중증 절망감군」 2.4%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절망감은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71, p<0.01).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절망감이 나타날 위험비는 학업스트레스 총점이 낮은 군에 비해 높은 군에서 9.27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절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부모와의 대화여부, 규칙적 식사 여부,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및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여자고등학생들의 절망감은 학업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학업스트레스 요인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예능인에 관한 인상학적 특징 분석 -2020년 미스터트롯 결승진출자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Entertainers -The 2020 Mr. Trotting Finalists-)

  • 윤정혜;김기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1호
    • /
    • pp.63-77
    • /
    • 2021
  • 본 연구는 2020년 TV 조선 미스터트롯 경연에서 최종 결승에 올라간 7인들이 인상을 통해 예능인으로 성공할 수 있음을 얼굴의 어느 부분에서 기인하는지 인상학적 특징과 공통점을 찾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기준은 고전 『마의상법』과 인상학 학술 논문을 참고하여 기준을 세웠다. 그리고 연구대상자 7인의 얼굴 사진은 인터넷과 언론자료에서 수집하였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점이 확인 되었다. 첫째, 이마의 발달보다는 이마 양쪽으로 잔 머리카락이 발달되어 있었다. 이는 공부보다는 예체능에 적합하다. 둘째, 대부분 눈썹 뼈[미능 골]가 솟아 있었고 귀 안쪽 연골이 튀어나와 있었다. 이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며 노력을 통하여 성공을 이루어내는 유형이다. 셋째, 입이 크고 입술 선이 반듯하며 목이 굵은 편이었다. 이 또한 예체능의 기질과 재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나이별로 해당하는 부분에서 크게 발전하였다. 결론적으로,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얼굴모양의 특징이 운명론적인 모든 것을 증명해 줄 수는 없지만, 일정한 재능의 특징적 요소는 분명히 나타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이 연예계에서 두각을 보이며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을 뛰어넘는 자기 노력의 결과물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측면으로 자신의 재능이나 진로를 결정하는 데에 참고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 및 집행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CAMPUS Asia Pilot Project: Outcomes and Limitations of its Implementation Process)

  • 변기용;전재은;홍세영;박예진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353-38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간 시행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와 집행과정을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사업의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실천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책집행 분석을 위한 통합적 접근방식을 사용하였고, 시범사업 기간 동안 수집한 문헌자료, 설문 및 면담조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CAMPUS Asia 시범사업은 참여 학생의 발달 측면 그리고 정부 및 대학 차원의 교류 협력 기반 조성 측면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둔 반면, 여러 한계점도 드러낸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CAMPUS Asia 시범사업의 성과 및 한계에 영향을 미친 맥락적 요인을 정부 차원, 참여 사업단 차원,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CAMPUS Asia 본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 예를 들어, 사업의 궁극적 목표에 대한 명확한 설정, 정부 차원의 국가별 학사제도 차이 및 학점인정 문제 해결, 사업의 차별성 확립, 사업단별 교육과정 강화, 공동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특화된 진로모델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데이터 마이닝 기반 대학입시를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분석시스템 (Analysis System of School Life Records Based on Data Mining for College Entrance)

  • 양진우;김동현;임종태;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2021
  • 대한민국 교육과정과 입시제도는 수많은 변화들을 통해 진화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진학률이 약 70%에 육박하고 있고, OECD회원국 중 가장 높다. 이러한 환경 속에 대학진학에 관심이 높고 또한 우리나라 교육제도에서 가장 비율이 높은 수시전형 중 학생부종합전형에 필요한 학교생활기록부의 중요성을 높아져가고 있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지만 적극적인 학교생활을 통해 나의 미래와 행복을 동시에 찾을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 분석시스템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흥미와 진로를 찾을 수 있고, 가고자하는 대학, 학과에 맞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보완하여 성공적인 진학에 한발 더 나아갈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각 항목을 3가지로 분리시켜 필요 단어와 불필요한 단어들을 구분해 분석한다. 분석한 데이터를 시각화&수치화 하여 학교생활에서 보완할 수 있는 분석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존 선행연구로 단어빈도와 유사도 분석을 이용한 다중주제 회의록 요약시스템을 응용하여 다른 요소의 문장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단어를 추출함으로써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분석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도서 방향성 도출을 위한 델파이 연구 (A Delphi Study for Deriving Directions for Futur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 채동현;신정윤;김은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68
    • /
    • 2021
  • 이 연구는 과학교육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 도서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8명의 전문가 명의 패널을 구성해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의 각 문항에 대한 평균, 중앙값, CVR 값을 분석하여 미래 사회를 위한 과학교육의 변화의 우선순위와 각 항목별 구현방법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를 종합하여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 도서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델파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 도서의 방향을 종합하면, 미래 초등 과학 교과용도서는 '즐겁고 재미있는 과학 공부'를 할 수 있고 '탐구 수행 중심 학습'이 가능하며 '어른이 되어서도 즐기고 참여하는 과학 문화'를 준비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실생활 속 소재를 활용하여야 하며 접근성이 높은 소재와 준비물을 활용한 쉽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실험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이 실생활과 연계성이 높은 학문이며 이는 앞으로의 진로와도 연관성이 있음을 학습할 수 있는 교과용도서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특성화고 인공지능학과 개편에 따른 인공지능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Investigating the Restructur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in Specialized High Schools Following AI Department Reorganization)

  • 구은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1_spc호
    • /
    • pp.41-49
    • /
    • 2024
  • 세계적으로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삶이 크게 변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는 AI를 적극 활용하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는 창의적 융합형 인재 양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초, 중, 고, 대학, 대학원 교육에서도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인공지능 선도학교와 특성화 고교는 학생들의 인공지능 소양을 키우는 데 힘쓰고, 대학에서는 소프트웨어 과목에 인공지능을 통합하거나 새로운 인공지능 학과를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인공지능 융합 교육 대학원에서는 다양한 교과목의 선생님들을 교육시켜 인공지능 기술을 교과에 적용하려는 국가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성화 고교도 학생들의 특성과 진로에 맞춰 인공지능에 대한 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학과를 개편하고 있다. 현재 교육 과정은 주로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과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선도 학교, 인공지능 융합 고등학교, 인공지능 고교, 대학의 인공지능 학과, 그리고 인공지능 융합 교육 대학원의 필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실시할 때 필요한 교육과정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조금 더 발전된 특성화고 인공지능과의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해사대학 여학생 특화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 목포해양대학교를 중심으로 (Basic Research for Designing a Specialized Curriculum for Women Students at the Maritime College - Focusing on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김승연;박준모;정대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6-352
    • /
    • 2020
  • 국내 여성 해기사 양성을 위하여 목포해양대학교와 한국해양대학교의 해사대학에 여학생이 입학한지 약 30년이 되었다. 해사대학 여학생은 승선근무예비역제도와 관련없이 해사대학을 선택하고 있으므로, 여학생의 입학 동기, 승선 선호도, 희망 진로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다른 대학과 해사대학의 차별화 및 비전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목포해양대학교 해사대학에 재학 중인 여학생 93명을 대상으로 해사대학 입학 동기 및 만족도, 전반적인 승선 인식과 선호도 및 그 이유, 여성의 승선에 대한 주위 인식과 영향, 졸업 후 희망 진로와 학부 교육과정 만족도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사대학 입학 이유로는 응답자의 35.5 %가 해양 관련 공무원 및 전문직에 종사하기 위해, 30.1 %는 해기사가 되기 위하여 입학하였다고 응답하여 현재의 해기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 더불어 해양 전문가 양성을 위한 추가적인 교과목 편성이 요구된다. 여학생의 승선에 대한 인식으로는 응답자의 88.2 %가 여성의 승선이 보통 이상으로 힘들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학교 및 선사에서 직무 외 여성 해기사의 승선 생활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학생의 승선 선호도는 응답자의 69.6 %가 졸업 후에 해기사로 승선을 보통 이상 희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학생의 졸업 후 희망 진로는 응답자의 32.3 %가 항해사 또는 기관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해양 관련 공무원·공기업 전문직 24.7 %, 해양경찰 18.3 % 등으로 83.9 %가 해양 관련 분야의 진로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해기 과목 이외의 여학생의 입학 동기 및 선호 직업군에 따른 교과목 편성 및 심화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