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Decision Making Efficacy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4초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27-2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대학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신입생과 재학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reshman and Undergraduate Students)

  • 성행남;김은정;이태원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189-208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서비스품질(교수자서비스품질, 교육과정서비스품질)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최종 유효 설문지 426부에 대해 타당성 검정 후, 측정모형분석(CFA)과 구조모형분석(SEM) 그리고 다중집단 분석(MCFA와 MSE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교수자서비스품질, 교육과정서비스품질)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신입생과 재학생의 차이는 교육서비스품질(교수자서비스품질, 교육과정서비스품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에 있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제공함으로써 대학 진로 교육 개선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 김남석;고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211-21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자료는 2019년 10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3,4학년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3.55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3.52점, 진로정체감은 2.64점이었다. 진로정체감과 셀프리더십(r=.40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65 p<.001)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66 p<.001)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1.3%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Dance Commitmen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Dance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 Min, Yun-M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172-18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nd dance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dance achievement through the medium of dance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as constructed with perfectionism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dance commit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ance achievement as endogenous variables. The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data were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SPSS 23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search tools. In addition, AMOS 21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a result of data processing on the research model. First, the sub-dimensions of perfectionism tendency 'worry about mistakes', 'personal standard', and 'doubt about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commitment. Second, the sub-dimensions of perfectionism 'worry about mistakes', 'personal standard', and 'doubt about behavi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dance commitmen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bu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스트레스,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Stress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 신은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85-896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스트레스 및 전공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에 소재하는 두개 종합대학교의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298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4월 24일부터 5월 9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과 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전공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이었고, 설명력은 44.8%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은 간호대학생이 간호학과를 선택한 경우 전공에 만족하고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래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진로탐색 및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치기공과 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연관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 강월;김웅철;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7-25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job seeking stres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Method: For this, the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daegu and daejeon and wonkwang university selected at May 2016. A question investigation was used in a entry method of self-estimation. Furthermore a total of 151 person was used as final analysis data. Sta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22.0. An analysis of frequency, two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Results: Firstly, personal expense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Job Seeking Stress(p<.05). Secondly, sex, Score, Major satisfaction, personal expense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p<.05). Thirdly,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in the Job Seeking Stress affected beneficially statistically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hoice target). Conclusion: The study fou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when increased to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in Job Seeking Stress,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decreased. So the study proved that when helping students facing difficulties due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is important to decreased their university environment and academic stress.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Career Plann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 이수분;이정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51-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직업교육과 상담에 참여하고 있고, 취업의사가 있는 경력단절 여성 27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방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경력계획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경력계획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이후 경력단절 여성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상담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실습 불안과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 및 진로결정 수준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ractical Training Anxie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Language Rehabilitation in College)

  • 이명순;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69-179
    • /
    • 2016
  •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실습불안,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평가하여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자료들은 18.0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성적, 실습시간에 따라 Mann-Whitney test와 kruskal-wallis test 등 비모수 검정과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과 학생들은 학년에 따라 실습불안의 실습내용 및 운영과 실습평가와 진로결정수준의 확신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언어재활과 학생들은 성적과 실습시간에 따라 실습불안,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의 대부분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앞으로 다양한 분석과 표집을 통한 차후 연구로 전문대학교 언어재활과 학생들의 진로 지도 지원에 대한 토대를 이룩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Effects of College Students' Career Goal Orientation on Career Identify : According to Life Styl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um)

  • 이현숙;양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05-21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목표지향성이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J도에 위치한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331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SPSS win 24.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은 각각의 변수 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결과 진로목표지향성은 대학생활 적응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진로목표지향성, 대학생활 적응,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조리·외식 전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 및 학습지속의향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Schoo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

  • 주인숙;손춘영;홍완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3-180
    • /
    • 2020
  • This study evaluated methods of improving sustained learning participation by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support consisting of professor support, friend-senior suppor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were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by female students than by male students. Second, schoo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but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learning persistence. Instead, school support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directly by the medium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nd indirectly influenced learning persistence by the medium of school satisfaction. Lastly, school satisfaction directly influenced the learning persistence, implying that school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learning persist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 These results show that, because school members and environmental support cannot exclusively make learning persistence, diverse systems and programs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chool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 and food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