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Choice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6초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융복합적 간호대학 진로선택 요인 분석 (Convergence analysis of nursing choice factors i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한수정;김미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09-1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3학년 학생이 간호학 전공을 선택하는 요인을 알고자 함이다. 2016년 7월 2일부터 8월 2일까지 대전 충청지역 소재 6개 고등학교 3학년 총 145명이 자기기입식 설문을 작성한 조사연구이다. 설문은 교사와의 관계, 보건교사와의 관계, 간호관련 학교경험, 경험적 요인, 사회적 요인, 부모와의 관계, 진로선택과 가정에서의 진로지도 경험을 포함한다.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보건교사와 관계가 긍정적이고, 학교 안팎에서 간호 관련 진로활동이나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학교 진로 관련 수업, 전문가 상담 및 교육 경험이 있었던 경우에 간호대학 지원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을 지원하는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 및 인재유치를 위한 홍보 방안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Effects of Social welfare Student's Major Choice Motive on the Job Choice in the Local University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ing activities -

  • Kang, Gil-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33-140
    • /
    • 2015
  • In this paper, I propose some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ing activity i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welfare major choice and their job choice. For the purpose of the goal of this study, I surveyed 242 university students in 2~4 grades majoring social welfare in Gwangju and South and North Jeolla Provinc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ersonal motive on choosing a major affects the occupational aptitude & interests and economic feasibility of career when they choose their jobs. However, the social motive didn't affect the occupational aptitude & interests and economic feasibility of career. It means that they didn't choose their majors considering their aptitude & interests, but chose them by following the advice of the surrounding people. Also,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volunteering period and schedules are too short and tend to be operated as a mere formality.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y implications so that they have the correct major selection and career op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의과대학생들의 진로선택과 진로지도 (Medical Student Career Choice and Career Planning)

  • 김상현;윤유상;전우택;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9권2호
    • /
    • pp.29-4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analysed the intention of medical students career choice, educational programmes, and mentoring and counseling system for career planning at Yonsei medical school in Korea.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four separate graduation questionnaires at Yonsei medical school in the years of 2005, 2006, 2007, and 2008. The number of the survey was 130 in 2005, 130 in 2006, 153 in 2007, and that of the latest was 120 in 2008. We analysed the career intention on medical specialties and activities, and perceptions of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medical specialty. Results : The results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are these: firstly. students had more intention for choosing clinical medicine as university faculty than any other activities. While male students preferred to major in surgery, neurosurgery, orthopedic surgery, urology, otorhinolaryngology, female students in internal medicine, neurology,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diagnostic radiology, laboratory medicine. Secondly, students perceiv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can influence on choosing a medical specialty was individual factor such as one's interests and concerns, values, and aptitudes. In stead, they relatively less perceived mentor and role model's effects on choosing a medical specialty compared to thos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ird, the career planning at Yonsei medical school was evaluated well, especially educational programmes for career planning such as self assessment programme, elective(specialized) courses, and conversation with a senior programme. Conclusions: Unexpectedly, there are high demands for career planning by medical students. Therefore, we will reorganize systematic devices for career planning such as mentoring and counseling system at medical school.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 (Factors of Students' Career Choice Related to Science)

  • 윤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06-92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조사하여 학년별, 성별 및 과학 관련 분야별로 그 비율을 파악한 다음, 요인분석으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을 규명하여 이들 요인들에 대한 응답의 집단별 차이를 비교하고 요인들간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여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의 학년별 변화 과정과 성별 차이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요인 분석을 통하여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관련 활동에의 참여,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등 세 요인을 선정하였는데 이들은 각각 3, 4개의 하위요인들을 가졌다. 이들 세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일원 변량 분석으로 진로 희망의 과학 관련 유무와 학년 및 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고, 이들 요인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등 전체 947명인데, 학년별, 남녀별, 비율이 거의 같도록 구성되었다. 문헌연구 및 예비검사를 통하여 개발한 지필형 설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이 설문지는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과 배경 자료 수집을 위한 부분과,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 전체 학생 중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의 비율은 26%로 높지 않았으며, 학년별 비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학생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 비율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 < 0.001).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가진 학생 239명의 구체적인 과학 관련 희망 분야를 조사한 결과, 정보전산 과학자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의사, 순수과학자, 그리고 공학자임을 볼 수가 있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순수과학자를 희망하는 비율은 줄어들었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의 세 가지 주요 요인을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과학 관련 활동 참여 등으로 선정하였을 때, 이들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및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은 학년별,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 희망을 갖게 하려면,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고, 다양한 과학 관련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받을 수 있다. 학년별로 성별로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에서 차이가 나는 점들을 파악한 결과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을 도울 수 있는 과학 관련 진로 교육의 자료를 구성할 것이 요청된다. 더 나아가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서 나타난 남녀 학생들 간의 차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초중고 각 단계별로 바람직한 과학 관련 진로교육의 자료를 구성하고 실제로 학생들에게 투입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경기도 클러스터 교육과정 참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변화: 보건과목 중심 (Changes in Career Choice Commit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Gyeonggi-do Cluster Curriculum: Focusing on Health)

  • 양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63-169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도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교육과정 참여 전 후 진로결정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전후 설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3개 고등학교의 보건 클러스터에 참여한 2학년 고등학생 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21년 3월 8일부터 2021년 12월 29일까지 진행되었고,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참여 전 보다 참여 후에 진로결정몰입(t=-9.01,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t=-8.45, p<.001), 진로성숙도(t=-3.63, p=.0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보건 클러스터 교육과정의 표준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진로결정몰입과 전공만족의 관계에서 개인작인신념의 효과 (Effect of the Personal Agency Belief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

  • 김윤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55-164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진로결정몰입에 있어 개인작인신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청, 경상 지역에 소재한 4년제 국 공립 대학교 재학생 총 6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WIN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측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 조절적 중다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공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몰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몰입의 관계에 있어 개인작인신념이 부분매개 또는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경비원의 직업선택동기가 직업선택평가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Choice Motives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on Job evaluation and Job Attitude)

  • 김상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6_2호
    • /
    • pp.73-82
    • /
    • 2016
  • 이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직업선택동기가 직업선택평가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도권에 분포되어 있는 8개의 업체에 직접 방문하여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통하여 2015년 5월 1일 부터 10월 10일까지 총 5개월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4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22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1.0, AMOS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분석 기법은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분석 등이 사용되었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선택동기는 직업선택평가와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직업선택평가는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직업선택평가는 직업선택동기와 직무태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술$\cdot$가정 9학년"진로의 선택과직업윤리"단원에서 학생활동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 Activity Centered Career Explor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Level in the Unit "The Choice of Career and Job Morals" of the 9th Grade Technology and Borne Economics)

  • 이영미;김행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2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9학년 기술 $\cdot$ 가정 교과서에 있는 $\ulcorner$진로 탐색과 직업윤리$\lrcorner$ 단원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하여 학생활동 중심의 진로 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그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그 프로그램의 내용은 진로탐색 시기에 있는 중학생들이 스스로 뚜렷한 삶의 목표를 정하고,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진로 탐색 과정을 거친 후에 비로소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의 중학교 3학년 4개 학급 13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천학급 2학급과 통제학급 2학급으로 구분하였다. 연구절차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4회의 진로탐색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기술 가정 9학년 교과서의$\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 단원에 적용한 학생활동 중심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태도 영역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를 사후 검사하고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이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한 학생활동 중심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능력 영역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사후 검사를 하고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역시 실험집단이 직업에 대한 지식. 정보탐색, 자기이해 요인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한 학생 활동 중심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의 독립성과 능력영역의 의사결정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진로탐색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본다. 다만 진로탐색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 검사의 독립 표본 t-검정 결과 독립성 요인과 의사결정 요인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적었다. 따라서 본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ulcorner$진로의 선택과 직업윤리$\lrcorner$단원에 적용할 때, 자기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하는 독립성 요인과 의사결정 요인의 활동을 좀 더 보강하여 실시할 것을 권한다.

  • PDF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s with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rse and Som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Choice of the Programme

  • Umeozor, Susan Nnadozi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95-103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s with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course and som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choice of the programm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all the 400 level undergraduates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Port Harcourt. A structured questionnaire, made up of three parts, was utilized for data collection. The first part involve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respondents with the LIS programme while the second and third parts involved the influence of parents and peers on the respondents' choice of LIS programme, respectively. Out of the 2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20 were retrieved indicating a 95.2% response rate with 75% (15) male and 25% (5) female.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choice of LIS programme and would recommend the programme to others. Parental influence on the respondents' choice of LIS programme was minimal accounting for 7.8% of the changes in the choice of the programme while peer influence on the respondents' choice of the programme was substantial accounting for 78.0% of the changes in the choice of the programme. The fact that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choice of career in LIS is a strong indication that they would be committed to providing excellent service in librarianship needed to cater for the mutated information requirements of the society.

치위생과 학생의 성인애착유형이 우울, 자아존중감, 공감능력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dult attachment type on depression, self-esteem, empathy and career decision)

  • 양진영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1-6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healthy attachment format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dult attachment patterns on depression, self-esteem, empathy, and career choice,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that consid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tudents enrolled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t a university in Daejeon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14, 2020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classifying adult attachment styles into three types, out of a total of 158 people, 62 (39.2%) had the avoidant attachment style, 56 (35.4%) had the secure attachment style, and 40 (25.3%) had the anxious-ambivalent attachment style appear. Self-esteem according to attachment type (F=26.224, p<0.0001), empathy (F=3.944, p<0.05), depression (F=12.702, p<0.0001), career indecisiveness (F=4.367, p<0.05). Based on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sub-factors that affect the dental hygiene and adult attachment styles of students with depression, self-esteem, empathy and career choice, this study intends to use them as reference materials for career decision taking into account individu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