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경비원의 직업선택동기가 직업선택평가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Choice Motives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on Job evaluation and Job Attitude

  • 김상진 (용인대학교 평생교육원 경호비서학전공)
  • 투고 : 2016.09.30
  • 심사 : 2016.10.20
  • 발행 : 2016.10.30

초록

이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직업선택동기가 직업선택평가 및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도권에 분포되어 있는 8개의 업체에 직접 방문하여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통하여 2015년 5월 1일 부터 10월 10일까지 총 5개월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4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22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1.0, AMOS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분석 기법은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모형 분석 등이 사용되었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선택동기는 직업선택평가와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직업선택평가는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직업선택평가는 직업선택동기와 직무태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Choice Motives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on Job choice evaluation and Job Attitude. For this study visiting the 8 companies around the capital area and surveyed from May 1st to October 10th 2015 using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A total of 2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220 copies were used except for analysis. I used SPSSWIN 21.0 and AMOS 21.0 to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path analysis.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to .05. The following are conclusions. Job choice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choice evaluation and Job attitude but Job choice evaluation doesn't play intermediary role on relationship between Job choice motivation and Job attitud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동범.김상진, "민간경비원의 조직학습화 수준에 따른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보보안논문지 제16권 제1호, 2016.
  2. 공감언론뉴시스, "대구경찰, 캡스.텔레캅과 안전대구 MOU", 2016년 8월 17일.
  3. 김상진, 민간경비원의 직업선택 동기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융합보안학회지 정보보안논문지 제12권, 2012.
  4. 안황권, "특수경비원의 직업선택동기와 직업선택 평가에 관한 연구", 경호경비연구 제12호, 2006.
  5. 이현도, "중소기업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유효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6. 한상근, "한국인의 직업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제2권, 서울: 직업능력개발원, 2002.
  7. Allen, N. J., Meyer, J. P.,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4), 1991.
  8. Brown. D, The role of work values and cultural values. In D. Brown(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4th ed.,). San Francisco Jossey-Bass, pp. 85-148, 2002.
  9. Constance, N.A. and Becker, M.J.(1973), "Job Satisfaction and Formance, An Empirical Test of Some Theoretical Proposi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9, No.2, April.
  10. Locke, E.A, The Nature and Causes Job Satisfaction, in M.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1976.
  11. McCormick, E.J. and Tiffin, J., Industrial Psychology, 5th, ed.,(Prentice-Hall), 1965.
  12. Porter, L. W., & Lawler, E. E., The Effects of Tall versus Flat Organization Structures on Managerial Job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17: 135-148, 1964. https://doi.org/10.1111/j.1744-6570.1964.tb00057.x
  13. Porter L, W., Mowday, R, T. & Steers R, M.,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224-247, 1979.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14. Ronan, W.W., et. als.(1973), "Effects of Goal Setting and Supervision on Worker Behavior in and Industrial Situation," Journal of Psychology, 58 : pp.2-3.
  15. Steer, R. M.,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2,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