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Awareness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118초

소 도축 관련 종사자의 인수공통감염증 인지도 조사 (Awareness of Zoonoses among Cattle Slaughterhouse Workers in Korea)

  • 임현술;유석주;이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101-112
    • /
    • 2009
  • 2007년 11월 현재 운영 중인 전국 73개 도축장 및 62개 부산물처리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소 도축 관련 종사자 1,503명(도축작업자 859명, 부산물처리자 358명, 검사관 및 검사보조원 191명, 등급판정사 및 보조원 95명)을 대상으로 3가지 인수공통감염증(브루셀라증, 큐열,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에 대한 인지도 및 전파경로, 예방법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직종별로 인수공통감염증에 대한 인지도를 성별, 연령대별, 학력별로 분석하였다. 각 인수공통감염증의 인지율은 브루셀라증이 83.9%로 높은데 비해,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62.1%이었고, 큐열은 18.5%이었다. 큐열의 경우, 도축작업자와 부산물처리자, 등급판정사 및 보조원의 인지율이 각각 6.6%, 10.3%, 18.9%에 불과했다. 직종별로는 도축작업자와 부산물처리자의 인지율이 검사관 및 검사보조원이나 등급판정사 및 보조원에 비하여 낮고, 같은 직종 내에서는 브루셀라증과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의 인지율이 학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학력이 유의미하게 인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져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인수공통감염증 전반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각 인수공통감염증의 전파경로로 대부분의 종사자들이 경구를 통한 감염에 대해서는 올바르게 인지하고 있었지만, 그 외의 감염경로에 대해서는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인수공통감염증의 예방이 어려운 이유를 묻는 질문에서 도축작업자와 부산물처리자는 ‘예방법을 몰라서’가, 검사관 및 검사보조원과 등급판정사 및 보조원은 ‘보호구는 있는데 착용하면 불편하고 거추장스러워서’가 가장 많은 답변이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큐열에 대한 홍보교육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며, 도축작업자와 부산물처리자에 대해서는 인수공통전염병 전반에 대한 기초교육과 함께 예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양돈 종사자의 인수공통감염병 인지도 (Awareness on Zoonoses among Pig Farmers in Korea)

  • 유석주;임현술;이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4호
    • /
    • pp.222-229
    • /
    • 2014
  • 지금까지 다른 고위험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돈 종사자에 대한 연구가 드물었고, 돼지가 인수공통감염병의 주요 병원소로 국내에서도 돼지와 관련된 인수공통감염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양돈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해 보고자 진행하였다. 2012년도에 경상남도 권역, 경상북도 권역, 전라남도 권역, 충청남도 권역 등 4개 권역의 양돈협회 자체교육에 참여한 양돈 종사자 중 278명을 대상으로 자체 개발하여 농업기술원의 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마친 설문지를 활용하여 일 대 일 면접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인수공통감염병의 인지율은 살모넬라증 89.6%, 결핵 87.8%, 브루셀라증 85.6% 등의 순으로 개별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해서는 80% 이상 인지하고 있었지만 인수공통감염병 자체에 대한 인지율은 52.9%이었고, 돼지의 질병이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46.9%에 불과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개별 특성 및 양돈 작업관련 특성 중 인수공통감염병 인지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본 결과 대학 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진 대상자들이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대상자들에 비해 인수공통감염병 자체는 3.1배, 살모넬라증은 6.0배 더 잘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양돈업에 10년 미만 종사한 대상자들에 비해 30년 이상과 20-29년 종사한 대상자들이 각각 6.2배와 7.9배 더 잘 살모넬라증을 인지하고 있었다. 이처럼 국내의 양돈 종사자들은 브루셀라증, 살모넬라증, 결핵 등 각각의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해서는 잘 인지하고 있었지만 인수공통감염병이라는 용어 자체와 돼지의 질병이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다는 특성은 절반 정도만이 인지하고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고학력일수록, 양돈업에 종사기간이 길수록 인수공통감염병 및 살모넬라증을 더 잘 인지한다고 밝혀진 것처럼, 교육 및 관련 정보에의 노출이 인지율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일 것이다. 돼지는 다양한 인수공통감염병의 주요한 병원소인 만큼, 향후 양돈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수공통감염병의 개념 및 감염경로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교육과 정보제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지도, 실천정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inical Nurses Level of Perception of Importanc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the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 김순옥;조수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65-776
    • /
    • 1997
  • Hospitals accomodate patients who have a high risk of infection due to reduced immunity as well as people who require surgical, medical or other treatments. Consequently, the role of clinical nurses, wh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se patients is very important in the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s as well as the level of actual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by the clinical nurs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basic data for improving polic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control nosocomial infection. A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is as follows. 1) The means of scores on all categories of the inquiry were 4. 51 for awareness 4.42 for actual performance, and 3.20 for satisfaction, of a possible high score of 5.00. 2) Correlations of the level of perception of importance between characteristics of nurses and hospital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hospital establishment type (p=.005), age(p=.000), career(p=.000), position (p=.002), and regular conferences on infection control in working departments(p=.003), Correlation of the level of actual performance between characteristics of nurses and hospital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diffe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ype of hospital(p=.000), hospital size (p=.009), working department(p=.000), age(p=.000), career (p=.000), school career(p=.040), position (p=.000), education experience on nosocomial infection(p=.020), and regular conferences on infection control in working department(p=.000). Correlation of degree of satisfac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nurses and hospital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also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hospital establishment (p=.003), working department(p=.000), age (p=.000), and regular conferences on infection control in working department (p=.000). 3)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nurses, level of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actual level of performance for the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was relatively positive (r=.57, p=.000).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nurses degree of satisfaction and level of actual performance for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was relatively positive (r=.47, p=.000).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nurses, level of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degree of satisfaction degree with the control of nosocomial infection was also relatively positive (r=.27, p=.000).

  • PDF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실태와 관련요인 (Infection control realities and relevant factors in dental hygienists)

  • 엄숙;김경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79-389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ractice level on dental hygienists'infection prevention by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of dental hygienists'infection control and analyzing factors of having influence upon thi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ly 18, 2011 to August 26 targeting dental hygienists who work at medical institutions where are located in Daegu,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sangnam buk-do. After the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Results : 1. As a result of surveying practice by item in the practice level of infection prevention, the items with high practice level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were surveyed to be 12 months(89.6%) for health-checkup cycle and to be having experience of vaccination(78.0%) for hepatitis type B. The items with high practice level in the management and practice of washing hands were indicated to be in order of regularly paper towel(87.7%) and hands cleaning after regular medical examination(80.5%). In the item of the practice on wearing and managing individual protection equipment, regularly wearing(93.1%) rubber globes given washing implements was indicated to be high. 2. As a result of analyzing working career, working institution, working region, and practice level of infectious-disease management, the appearance of fulfilling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t medical institution and the experience of education for infection control were indicated to have difference depending on working institution. Regularly health checkup was indicated to have difference depending on respondents' working career and working institution. 3. The whole average in the practice level of infection prevention according to working career, working institution, and working region was indicated to be 2.55 out of 3-point perfection. 4. Wearing latex gloves was indicat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orking institution(p<0.001) and working region(p<0.001). The exchange of latex gloves every patient and the use of paper apr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orking region(p<0.001). 5.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requency of using protection equipment for preventing infection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at medical institution(p<0.001), the appearance of having experience of health checkup(p<0.01), and the appearance of having experience of vaccination for hepatitis type B(p<0.05). Conclusions :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howed that the denture satisfaction of the denture-wearing senior citizens was linked to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denture-wearing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when oral health plans geared toward boosting their denture satisfaction are carried out.

공대 교수, 대학생, 기업가의 성인지력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f Gender Sensitivity Among Faculty, Students, and Enterprisers in Engineering)

  • 백성혜;조수선;김정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5호
    • /
    • pp.43-5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공대 교수, 학생, 기업의 성인지에 대한 사고를 조사하였다. 한국교통대학교 공대 교수 59명, 남학생 226명, 여학생 109명, 그리고 충북에 소재한 기업의 인사담당자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대상 설문지는 26문항, 학생용은 30문항, 기업용은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chi}^2$ 교차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성차이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수들은 여학생이 리더십이 부족하고 성공에 대한 자신감이 낮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여학생의 취업에 불이익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생각을 교육이나 취업 안내에 반영하지 않았다. 여학생들 역시 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낮았으며, 공학교육에서 성인지적 교수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여학생들은 남학생보다 공학전공에 대해 부정적이었으며, 교수의 인식과 유사하였다. 한편 남학생은 동료 여학생의 성인지에 대해 무심하였다. 기업의 취업담당자들의 인식은 교수나 학생의 인식과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교수와 학생의 취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여학생들을 위한 더 나은 공학전공교육을 위하여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Par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about Admission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 이병욱;안재영;이찬주;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8-67
    • /
    • 2013
  • 본 연구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의 중학교 3학년생과 학부모 및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학부모는 대체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직업 교육 기관보다는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였고 고교 선택 요인으로 중학생은 학업 성적을, 학부모는 적성 소질을 가장 고려하였다. 둘째,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는 특성화고의 목적을 학생의 소질 적성 향상 및 취업으로 인식하였고, 특성화고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질 적성을 일찍 살림, 취업이 잘됨, 졸업 후 자립이 빠름, 우수한 기술 습득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의 진학, 승진 임금 등에 대한 불이익, 대학 진학에 불리 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교육이 전공분야 기초 실무 능력 향상, 직업 기초 능력 함양, 창의 인재 육성, 바른 인성 및 태도 함양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다수의 중학생과 학부모가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립 시 특성화고 진학 의사를 나타냈고 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을 일찍 살림, 우수한 기술 습득, 조기 취업 희망 등, 미진학 이유는 적성 소질에 맞지 않음,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 부족, 대학 진학에 불리, 사회적 편견 및 차별 등이었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과 대학 진학을 비슷하게 희망하였고 취업 이유는 대체로 사회 진출을 빨리하여 성공하고 싶거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학 이유는 대체로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과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때문이었다.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가 인식하는 채용 기준으로 직무 수행 능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학생과 학부모는 공업 계열 학과, 가정 가사 및 상업 관련 학과를 주로 희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을 위해 적성 소질, 미래 유망, 취업에 유리함 등을 고려하였다. 산업체 인사의 특성화고 학생의 채용 이유는 학생을 산업체의 인재로 성장,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춤, 고졸 수준의 인력이 필요함 등이었고, 인력이 필요하거나 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추면 채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는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 진로 지도에 입각한 특성화고 입학 시스템을 구축하며 일 기반 현장 학습을 구축하여 학생의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정부는 특성화고 학생의 실질적인 경력 발달이 가능하도록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정비하고 취업률 등 정량적 평가보다는 특성화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며, 특성화고 관련 기능 인력이 제대로 평가 및 대우받을 수 있는 각 부처의 협력적 지원이 요구된다.

초·중등 학생, 학부모, 교사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SW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Recognition of SW Education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cused on the SW Leading School)

  • 김성애;이영호;홍지연;구덕회;박정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91-598
    • /
    • 2019
  • 본 연구는 초 중등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SW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SW 교육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지속가능한 SW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층화표집방법을 통해 전국 SW 선도학교 중 초등학교 28개교, 중학교 14개교, 고등학교 8개교 총 50개를 선정하였으며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 2,231명, 학부모 615명, 교사 17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SW 선도학교를 경험한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SW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급 별로는 초, 중, 고등학교 순으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생의 경우 남학생이, SW 관련 동아리 활동을 한 학생이, 희망시수가 높을수록 인식도가 높았다. 학부모의 경우에는 남학생의 학부모가, 자녀가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부모가, 희망시수가 높은 학부모의 인식도가 높았다.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특성이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 교사의 인식도와 SW 관련 교육에 대한 희망시수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W 관련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Best Practices on Educational Service Platform with AI Approach

  • Hong, Je Seong;Park, Bo Kyung;Kwak, Jeil;Kim, R. Young Chul;Son, Hyun Se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4호
    • /
    • pp.40-46
    • /
    • 2019
  • The current education is becoming more extensive with the application of various teaching methods. This is a problem that is so distributed that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find the data and it takes a long time to find the information they need. Currently, various educational services, materials, and instruments are developed and scatter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aise students' awareness of aptitude and career path with customized education tailored to students. Conventional education platforms have very difficult to choose the right materials for students because of the spread of educational programs and institution materials. To solve this, we propose a customized recommendation approach to recommend customized educational service materials and institution for students to teachers, which helps teachers conveniently choose materials suitable for their respective environments. On this new platform, the CNN algorithm provides recommended content for classes and students. For real service on the educational service platform, we implement this system for Jeil edus business. Through this mechanism, we exp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helping to select the right service.

전공의 공통역량의 개념과 개발 (Concept and Development of Resident Training Program for General Competencies)

  • 이선우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2호
    • /
    • pp.63-69
    • /
    • 2017
  • Resident training programs in South Korea lag far behind that of advanced countries. Given the problems the current system in South Korea has, it is time to consider a new resident training system, resident training for general competencies. Training for the general competencies was practiced in medical field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A, Canada, and the UK as early as 20 years ago. This system has rendered itself a key component of resident training. Although a few theoretical procedures on general competencies have been practiced in South Korea, the awareness of this concept is still very weak, and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to actual training is a long way off from becoming effective. It is urgent for South Korea to adopt competency- and outcome-based training for general competencies. To this end, the knowledge of the concept of this type of training should be improved. Also, the system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to cover a doctor's whole career, and be applied immediately. The competency- and outcome-based training for general competencies is a system that assures high level qualifications. It reflects the needs of our society under the recognition that a professional organization should be committed and accountable in order to respond to social demands. As the benefits of the new training system reach the public and medical care consumers, training-related expenses should be borne by social costs.

치과위생사의 직업기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ists' job expectation)

  • 황미영;오혜영;원복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38-1147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association with dental hygienists' job expectation through correlation between curricular subject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job. Methods : It carried out convenience sampling of dental hospitals where are located in Capital Area, and then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274 dental hygienists who are working here. The statistical program was analyzed by using PSAW 18.0. Results : Research subjects' 60.2% experienced turnover. Its reason accounted for 31.7% with the working con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in experience of turnover according to dental hygienists'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working form,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ge, marriage, annual salary, working institution, and career. In consequence of confirming association between curricular subjects and job, the majority showed high correlation. However, the correlation with oral physiology, clinical dental hygiene, and dental clinics showed low correlation as the insignificant variable.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curricular subjects and job can be considered to reflect dental hygienists' job expectation. On the other hand, the working condition, professional sense, and turnover experience, which are factors related to dental hygienists' job expectation, were indicated to fail to meet job expec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