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nano tube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51초

나노조작기의 수평측 위치제어를 위한 Visual Servoing Loop 구성 (Realization of Visual Servoing Loop for Position Control of a Nano Manipulator)

  • 최진호;박병천;안상정;김달현;유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51-252
    • /
    • 2007
  • Nano manipulator is used to manufacture Carbon NanoTube(CNT) tips. Using nano manipulator operator attaches a CNT at the end of Atomic Force Microscopy(AFM) tip, which requires a master mechanic and long manufacture time. Nano manipulator is installed insid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chamber to observe the operation. This paper presents a control of horizontal axis of nano manipulator via processing SEM image. Edges of AFM tip and CNT are first detected, the position information so obtained is fed to control horizontal axis of nano manipulator. To be specific, visual servoing loop was realized to control the axis more precisely.

  • PDF

Carbon Nano Tubes에 의한 난분해성 염료 Eosin Y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Non-degradable Eosin Y Dye by Carbon Nano Tubes)

  • 이민규;윤종원;서정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771-777
    • /
    • 2017
  • Carbon nano tubes (CNTs)를 흡착제로 사용하여 회분식 실험을 통해 염료 Eosin Y의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CNTs는 비표면적이 $106.9m^2/g$, 기공부피는 $1.806cm^3/g$, 기공직경은 $163.2{\AA}$이었다. CNTs를 이용한 Eosin Y의 흡착실험은 흡착시간, 초기 pH (2~10), 염료 농도(100, 150 및 200 mg/L), 흡착제의 양(0.05~1.0 g)과 온도(293, 313 및 333 K)를 변수로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흡착은 pH와 온도가 낮을수록 잘 이루어졌으며, Langmuir 모델식에 잘 적용되었다. 또한 흡착반응은 유사 2차 속도식에 잘 적용되었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이 감소하였다. 입자 내 확산 모델 결과는 흡착 과정에서 막확산과 입자확산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열역학적 해석에 의하면 CNTs에 의한 염료 Eosin Y의 흡착은 자발적이고 흡열특성을 보였다.

Non-linear free and forced vibration analysis of sandwich nano-beam with FG-CNTRC face-sheets based on nonlocal strain gradient theory

  • Arani, Ali Ghorbanpour;Pourjamshidian, Mahmoud;Arefi, Mohammad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2권1호
    • /
    • pp.105-120
    • /
    • 2018
  • In this paper, the nonlinear free and forced vibration responses of sandwich nano-beams with three various functionally graded (FG) patterns of reinforced carbon nanotubes (CNTs) face-sheets are investigated. The sandwich nano-beam is resting on nonlinear Visco-elastic foundation and is subjected to thermal and electrical loads. The nonlinear governing equations of motion are derived for an Euler-Bernoulli beam based on Hamilton principle and von Karman nonlinear relation. To analyze nonlinear vibration, Galerkin's decomposition technique is employed to convert the governing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PDE) to a nonlinea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ODE). Furthermore, the Multiple Times Scale (MTS) method is employed to find approximate solution for the nonlinear time, frequency and forced responses of the sandwich nano-beam. Comparison between results of this paper and previous published paper shows that our numerical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literature. In addition, the nonlinear frequency, force response and nonlinear damping time response is carefully studied. The influences of important parameters such as nonlocal parameter, volume fraction of the CNTs, different patterns of CNTs, length scale parameter, Visco-Pasternak foundation parameter, applied voltage, longitudinal magnetic field and temperature change are investigated on the various responses. One can conclude that frequency of FG-AV pattern is greater than other used patterns.

B-stage 레진 필름의 카본나노튜브 분산도 평가 및 제조공정 최적화 (Carbon Nano Tube Dispersion Evaluation in B-stage Resin Films)

  • 오영석;박태훈;변준형;이진우;김병선;조치룡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6호
    • /
    • pp.353-357
    • /
    • 2016
  • B-stage 레진 필름에 탄소나노튜브(CNT) 등을 균일하게 분포시킨 뒤에 기타의 보강섬유 층과 함께 여러 겹으로 적층하여 하이브리드 형태의 복합재료를 만드는 방법은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CNT가 포함된 에폭시 레진으로부터 shear mixing 및 Three-roll mill 공정을 이용하여 B-stage 레진 필름을 제작하였다. 두 공정을 통해 형성된 CNT/레진 복합재 필름의분산도를 파단면의 SEM 관찰을통해분석하였다. 보다 효율적인 공정을 위해 Calendering pass 횟수에 따른 분산도를 평가하였다. Pass의 횟수에 따른 샘플을 제조하고 CNT 분산도는 SEM 이미지를 통해 확인하고, 전기 전도도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gap mode, force mode를 통해 제작한 각각의 샘플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CNT 분산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최적공정을 도출하였다.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작동기의 개발 및 응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ducting Shape Memory Polyurethane Actuators)

  • 백일현;구남서;정용채;조재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6-6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CSMPU)의 개발과 응용 방법이 연구되었다. 일반적인 형상기억폴리우레탄이 외부 열원에 의해 작동되어 온 반면에, 2004년에 소개된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은 전력에 의해 작동되었다.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작동기는 일반적인 형상기억폴리우레탄에 카본 나노 튜브를 첨가함으로써 제작되었다. 2004년 연구에서 제작된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이 지닌 핵심 문제점은 카본 나노 튜브의 낮은 분산도였다. 이 논문에서는 분산 문제 해결을 시도하였으며, 일련의 정교한 작업을 통해 향상된 전기적 특성을 지닌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작동기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전도성 형상기억폴리우레탄 작동기의 작동 성능을 측정 및 평가하였으며, 초소형비행체 조종면의 제어 실험을 통하여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Actively Addressable Carbon NanoTube Emitters for Field Emission Display

  • Song, Yoon-Ho;Hwang, Chi-Sun;Kim, Kwang-Bo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94-197
    • /
    • 2003
  • The actively addressable carbon nanotube (CNT) emitters have been studied for stable and low-voltage driving field emission display (FED). The a-Si TFT and screen-printed CNT emitters were successfully integrated to fabricate the diode type active-matrix cathode and FED panel. Also, we propose a new FED architecture based on the actively controlled triode CNT emitters showing the properties of ideal triode type cathode with electron beam focusing effect.

  • PDF

Ag입자를 이용한 Carbon nanotube 투명 박막의 전도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

  • 이수민;김선민;신권우;한종훈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53-453
    • /
    • 2011
  • 탄소나노튜브(CNT)를 이용한 전도성 투명 박막은 기존의 산화인듐주석(ITO)보다 가공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시킬 수 있고, 다양한 기판에 형성시킬 수 있어 새로운 유형의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NT를 이용하여 만든 투명 박막의 전도특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CNT 박막에 금속 이온간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Tin(II) chloride와 silver nitrate로 Ag seed를 형성시켜 투명 전도막 효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 PDF

음극 전극 표면적과 메틸렌블루 염색이 스펀지 탄소나노 튜브 전극 미생물 연료전지의 전력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ode surface area and methylene blue dye treatment on the power density of microbial fuel cell with sponge and carbon nano tube electrode)

  • 이채영;박수희;송영채;우정희;유규선;정재우;한선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83-888
    • /
    • 2012
  • Anode electrod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icrobial fuel cell (MFC).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ator as methylene blue (MB) and electrode surface area on the power density of MFC with sponge and carbon nano tube (CNT) electrode (SC). The SC electrode with MB (MC) showed the maximum power density increased from 74.0 $mW/m^2$ to 143.1 $mW/m^2$. The grid shaped sponge and CNT (GSC) electrode showed the maximum power density of 209.2 $mW/m^2$ due to the increase of surface area from 88.0 to 152.0 $cm^2$. The GSC electrode with MB (GMC) revealed the maximum power density of 384.9 $mW/m^2$ which was 5.2 times higher than that obtained from the MFC with SC. Therefore MB and increase of surface area l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microbial fuel cell such as power density.

카본나노튜브 상대전극을 가지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특성 (Photo-Electric Characterization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with Carbon Nano Tube Counter Electrode)

  • 구보근;이동윤;김현주;이원재;송재성;;서선희;김선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1-334
    • /
    • 2007
  • 탄소나노튜브는 화학적 안정성과 고전도성을 갖는 동시에 높은 비표면적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특정으로 염료감응형태양전지의 상대전극으로 사용 가능이 기대되어 지고 있으나, 아직 성공적인 연구가 발표되고 있지 않다. 많은 연구자들이 CNT 자체만으로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CNT 조작(가공)을 통해 CNT 특성을 올리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가공하지 않은 CNT powder를 이용하여 paste를 제조하고 doctro-blade법으로 코팅하여 CNT counter electrode를 제조하여 DSSC의 상대전극으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 해 보았다. 제조된 CNT counter electrode에 대한 CNT 자체만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DSSC 에 직접 적용하여 전지의 광전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탄소나노튜브의 고전도성 특성과 넓은 비표면적 특성에 의해 상대전극의 전해질/전극계변에서의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에 대한 촉매 작용을 향상시키고, 상대전극 표변에서의 전자전달 속도를 높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