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amate pesticid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19초

식품중의 오염물질에 관한 조사연구 (Monitoring Program on Food Contaminants)

  • 백덕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1-136
    • /
    • 1987
  • 본 연구는 1983년부터 시작한 농작물중의 잔류농약 Monitoring program으로서 우리나라의 농작물중의 농약잔류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자료 (back data)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농작물중의 잔류농약허용량을 선정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금년도에는 86년도의 대상농약인 유기인제 (8종), 카바메이트제(3종)에 유기염소제 살균제인 Captan, Captafol을 추가하였으며 대상식품으로 상치, 무우, 감자, 파, 감, 고구마를 예년도의 대상식품이었던 도마도, 풋고추, 사과, 복숭아, 콩, 오이, 배추중에는 Captan, Captafol을 경기, 충남, 경북, 전북의 4개 지역에서 채취하여 G.C.-NPD, ECD를 사용하여 그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Diazinon은 32.0%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872ppm, 평균은 0.0020ppm이었다. 2. Fenthion(MPP)는 16.4%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395ppm, 평균은 0.0007ppm이었다. 상치, 가지,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3. Fenitrothion(MEP)는 30.5%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628ppm이었고 평균 0.0026ppm이었다. 4. Phenthoate(PAP)는 7.0%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069ppm, 평균 0.0001ppm이었다. 감자, 가지, 감,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5. EPN은 13.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250ppm, 평균은 0.0030ppm이었다. 감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6. Dimethoate는 27.3%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826ppm, 평균은 0.0049ppm이었다. 7. Parathion은 22.7%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771ppm, 평균 0.0021ppm이었다. 김, 고구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8. Malathion은 10.9%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범위는 ND∼0.0098ppm, 평균 0.0001ppm이었다. 상치, 무우에서만 검출되었다. 9. Carbaryl(NAC)은 6.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8452ppm, 평균은 0.0336ppm이었다. 상치와 쑥갓에서만 검출되었다. 10. Isoprocarb(MIPC)는 31.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1180ppm, 평균 0.0104ppm이었다. 11. BPMC는 22.7%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5106ppm, 평균 0.0085ppm이었다. 12. Captan은 58.7%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1970ppm, 평균은 0.005ppm이었다. 13. Captafol은 2.3%의 검출율을 보였고 검출범위는 ND∼0.0312ppm, 평균은 0.0003ppm이었다. Captafol은 파에서만 검출되었다.

  • PDF

토양(土壤) , 수(水) , 농작물중(農作物中)에 있어서 잔류농약분석(殘溜農藥分析)을 위한 수증기(水蒸氣) 증류법(蒸溜法)의 응용(應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Steam Distillation for the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in Soil, Water and Crops)

  • 양환승;문영희;장익선;최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6
    • /
    • 1989
  • 토양(土壤), 수(水), 농작물(農作物)중 잔류(殘留)하는 각종(各種) 농약(農藥)의 분석(分析)을 위한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의 응용성(應用性) 및 정밀도(精密度)등에 대하여 연구검토(硏究檢討)하였다. 수증기증류(水蒸氣蒸溜)에 의하여 추출(抽出)이 가능(可能)했던 농약(農藥)은 PCNB, ${\alpha}-BHC$, ${\beta}-endosulfan$, IBP, diazinon, fenitrothion, fenthion, alachlor, butachlor, pretilachlor, metolachlor, pendimethalin, benthiocarb, molinate등이었으며 simazine, atrazine, nitrofen등은 불가능(不可能)하였다. 농약(農藥)의 증류(蒸溜)까지 요(要)하는 유출액양(溜出液量)은 농약(農藥)의 종류(種類)에 따라 크게 달랐으며, 일정량(一定量)의 유출액(溜出液)을 취(取)한 후 냉각관(冷却管)을 acetone으로 씻어 줌으로써 증류시간(蒸溜時間)을 단축(短縮)시킬 수 있었다.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은 소량(小量)의 유기용매(有機溶媒)로 농약(農藥)의 추출(抽出)이 가능(可能)했으며, 분석대상물질(分析對象物質)에 따라서는 기기분석시(機器分析時) 방해물질(妨害物質)이 검정(檢定)되기는 했지만 많은 경우 농축(濃縮)과 정제과정(精製過程)을 생략(省略)할 수도 있어 매우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이라 하겠다.

  • PDF

Ricinine 유도체(誘導體)의 합성(合成) 및 농약활성(農藥活性) (Synthesis and pesticidal activity of ricinine derivatives)

  • 권오경;임수길;홍수명;이성은;경석헌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4-31
    • /
    • 1998
  • 천연물기원 신농약 개발을 위해 유용 식물자원 탐색 및 활성물질의 분리, 동정 결과 벼멸구 살충활성이 높고 분자구조상 유기합성이 용이한 것으로 판단되는 피마자잎중 활성물질 ricinine의 유도체 합성을 통해 고활성 화합물을 얻고자 하였다. 합성된 ricinine을 선도물질로 하여 활성을 증진하고자 분자구조 유사화합물을 비롯한 카바메이트계, 유기인계 화합물 12종을 합성하였다. 카바메이트계 유도체 합성시 전구물질의 pyridine 구조중 carbo기가 있는 chlororicinic acid, ricinic acid는 공명구조가 파괴되어 methyl isocyanate와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기인계 유도체의 경우 P에 O와 S가 결합된 oxon과 thiono형의 유도체를 합성한 결과 합성수율은 oxon형이 65% 이상인 반면에 thiono형은 20% 미만으로서 낮은 수율을 보였다. 합성 유도체의 생리활성 평가에 있어 유기인계 유도체는 oxon형보다 thiono형 화합물이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Thiono형 유도체는 500 ${\mu}g/ml$ 수준에서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이 모두 100%이었으며 점박이응애의 경우 특이적으로 thiono형 유도체중 alkyl기의 부분이 methyl인 경우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Oxon형 유도체, 분자구조 유사화합물과 카바메이트계 유도체의 경우에는 살충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살균 활성은 pyridine ring의 2번 위치에 $NH_{2}$기가 있는 유도체의 경우 200 ${\mu}g/ml$ 수준의 실내검정에서 10종 병원균에 대해 $85{\sim}100%$의 생장저지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온실검정에서도 250 ${\mu}g/ml$ 수준에서 벼도열병과 보리흰가루병에 대해 각각 92%, 86%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 PDF

Thymol과 Carvacrol 유도체들의 합성과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In vitro and in vivo antifunal activaties of derivatives of thymol( I ) and carvacrol(II) againt phytopathogenic fungi)

  • 최원식;정찬진;장도연;차경민;엄대용;김태준;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8
    • /
    • 2006
  •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thyme oil의 주성분인 thymol(I)과 carvacrol(II)을 출발물질로 하여 ester, sulfonyl ester, carbamate, ether와 phosphoyl ester 계열 유도체 41종을 합성하였다. IR, GC/MS 와 $^1H$-NMR spectrum을 이용하여 합성된 화합물들을 확인하였다. 이들 유도체들을 10종의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몇가지 화합물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화합물에 대한 in vivo실험은 오이, 토마토와 벼 작물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2-isopropyl-5-methylphenyl acetate(I-1a)가 오이 잿빛곰팡이 병균(Botrytis cinerea)과 벼도열병균(Pyrcularia oryzae)에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ethyl(2-isopropyl-5-methylphenoxy)acetate(I-6d)는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에서 ethyl4-(2-methyl5-isopropylphenoxy)-crotonate(I-7d)는 토마토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에서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4-Isopropyl, 5-isopropyl-3-methylphenol 유도체들의 합성과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fungal activities for derivatives of 4-isopropyl-3-methylphenol and 5-isopropyl-3-methylphenol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 최원식;장순호;장도연;최경길;이병호;김태준;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9-261
    • /
    • 2006
  • 살균활성이 있는 4-isopropyl-3-methylphenol(I)과 5-isopropyl-3-methylphenol(II)을 출발물질로 하여 ester, sulfonyl ester, carbamate, ether 및 phosphoyl ester계열의 50개 화합물들을 합성하였으며, IR, GC/MS와 $^1H$-NMR spectrum을 이용하여 합성을 확인하였다. 이 유도체들에 대한 in vitro 살균활성 실험을 10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하여 실시한 결과 몇 가지 화합물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화합물을 5가지 식물병(벼도열병, 토마토역병, 오이 잿빛곰팡이병, 벼 잎집무늬 마름병, 오이탄저병)에 대하여 in vivo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4-isopropyl-3-methylphenyl (2-aminothiazole-4-yl)methoxyiminoacetate(I-7a)는 벼 도열병(Pycularia oryzae)에 methyl (4-isopropyl-3-methylphenoxy)acetate(I-4d)와 methyl (5-isopropyl-3-methylphenoxy) acetate (II-4d)는 오이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에 높은 방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한국 잔디 근권에서 분리된 Streptomyces spp.의 살균제에 대한 반응조사 (Investigation of Fungicide Response of Streptomyces spp. Isolated from Rhizosphere in Zoysiagrass)

  • 이정한;민규영;전창욱;최수민;심규열;곽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4-63
    • /
    • 2015
  • 골프장이나 잔디 재배지에서 분리된 방선균을 대상으로 잔디병 방제 약제에 대한 약제 반응 조사한 결과 트리아졸계(Triazole) 약제 3종에 대한 반응은 PR 약제의 경우 시험 균주에 가장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다음으로 SR 약제로 나타났다. 반면에 HR 약제에 대하여 모든 균주는 생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로빌루린계(Strobilurin) 3종에 대한 반응은 선발된 균주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CB와 AP 약제 경우 균주의 생장과 포자형성이 잘되었으나 CBA 약제 경우 2배 농도에서 선발된 균주 모두 포자형성이 되지 않았다. 아닐라이드계(Acetanilide) 2종에 대한 반응은 MK 약제보다 KT 약제 잘 생장하였다. 유기유황계(Organosulfur) 2종 대한 약제반응은 AT 약제에서 잘 생장하였으며 ATR 약제에서는 자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바메이트계(Carbamate) 1종, 유기인계(Organophosphate) 1종과 시아노피롤계(Cyanopyrrole) 1종에 대하여 시험 균주는 생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퀴논계 + 스트로빌루린계(Quinone + Strobilurin) 혼합제 1종과 이미다졸계 + 트리아졸계(Imidazole + Triazole) 1종에 대하여는 전혀 생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 유충의 먹이와 살충제 처리에 따른 소화 효소의 활성 변화 (Changes in Esterase Isozyme Activity after Selective Diets and Insecticides in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Larva)

  • 조세열;김주현;박용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1-178
    • /
    • 2007
  • 소나무 수피와 잣나무 수피를 먹이로 사육한 북방수염하늘소(M. saltuarius)의 종령유충의 소화액을 추출하여 4가지 기질(${\alpha}$-naphthyl acetate, ${\beta}$-naphthyl acetate, ${\alpha}$-naphthyl butyrate, ${\beta}$-naphthyl stearate)에 대한 에스테라제(esterase) 활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alpha}$-naphthyl acetate를 기질로 하여 조사한 결과 Est7이 잣나무수피를 먹인 유충에서 강하게 활성화되었다. 또한, ${\beta}$-naphthyl acetate와 ${\alpha}$-naphthyl butyrate 기질을 사용한 경우에도 Est6과 Est7이 잣나무수피를 먹인 유충에서 강한 활성이 관찰 되었다. 그러나 ${\beta}$-naphthyl stearate에서 활성화 되는 에스테라제는 관찰할 수 없었다. 추출한 소화액에 카바메이트계와 유기인계 약제를 처리한 경우 Est7을 포함하여 Est3과 Est6이 강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serine을 처리한 경우 Est4, Est6, Est7에서 강한 활성저해가 관찰되었다. Methoprene, bornyl acetate, linal, cineol, citral을 소화액에 첨가한 경우 에스테라제의 활성저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상의 결과는 in vitro에서 실시된 실험으로 추후 in vivo에서 재검증이 필요 할 것이다.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고감수성 아세틸콜린에스테라이즈의 대량생산 (Mass-Production of Acetylcholinesterase Sensitive to Organophosphosphates and Carbamates Insecticides)

  • 김영미;김소미;조문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53-360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acetylcholinesterase(AChE, EC 3.1.1.7)를 이용한 간이 잔류농약 검사법에 필요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된 AChE(MAChE)를 baculovirus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된 효소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한라산에서 채취한 초파리에서 AChE의 cDNA를 합성한 후 PCR을 이용하여 AChE의 lipid anchor부분을 제거하고 site directed mutagenesis에 의해 E107Y, F368L, L408E의 염기서열을 변화시켜 재조합된 MAChE cDNA를 합성하였고 baculovirus vector에 삽입하여 대량생산을 시도하였다. 대량 증식에 필요한 조건으로 감염횟수가 네 번일 때, 그리고 세포수가 $2{\times}10^6$ cell/ml일 때 세포의 증식과 효소의 활성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His tag을 붙여 Ni-NTA affinity column을 이용하여 MAChE를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효소는 실험조건하에서는 pH(3-10)와 온도$(20-50^{\circ}C)$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농약 추출액으로 methanol을 사용했을 때가 ethanol을 사용할 때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에 대한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재조합된 MAChE는 대만의 집파리 및 변형되지 않은 AChE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내 유통 건조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 (Residual Pesticides in Dried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Gyeonggi Province)

  • 이명진;김명길;정홍래;윤희정;김난영;김한택;김철영;이운형;윤미혜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8-245
    • /
    • 2011
  • 2010년도 경기도에 유통되는 건조농산물에 대하여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2건을 대상으로 206항목에 대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을 GC-${\mu}ECD$, GC-NPD, GC/TOF/MSD, HPLC-UV, HPLC-FLD 및 HPLC/MS/MS로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102건 중 24건의 시료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검출률은 23.5%로 나타났고 건고춧잎 1건이 기준초과로 검출되었다. 가장 많은 빈도로 검출된 농약은 chlorothalonil, fenvalerate, chlorpyrifos, endosulfan, bifenthrin, cypermethrin, hexaconazole, iprodione의 검출 순을 보였다. 이들의 계열별 분포를 보면 유기인계 22%, 피레스로이드계 22%, 유기염소계 17%, 디카르복시미드계 11%, 카르복시미드계 6%, 카바메이트계 6%, 트리아졸계 5%, 기타계열 11%로 나타났다.

농약의 복합투여가 백서의 혈장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 및 요중 파라-니트로페놀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ltiple Exposures to Pesticides on Plasma Cholinesterase Activity and p-nitrophenol Excretion in Rats)

  • 차봉석;박정균;박종구;장세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5권2호
    • /
    • pp.180-188
    • /
    • 1992
  • The effects of multiple exposures to pesticides on plasma cholinesterase(ChE) activities and urinary p-nitrophenol excretion were evaluated in rats. Rats were received single dose i.p. with $LD_{50}/100(mg/kg)$ of organophosphorous(OP), organophosphorous-organochroline(OP-OC), organophosphorous-carbamate(OP-CAB), organophosphorous-organoarsenate(OP-OA) pesticides for 4 consecutive days. In repeated administration of pesticides, plasma ChE activities were decreased, but urinary p-nitrophenol were increased after the first injec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The recovery rates of ChE activities and p-nitrophenol excretion at 48 hours after the fourth Injection were delayed in comparision with the baseline value of 24 hours before the first injection.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found between OP and other groups except OP-OA group after the second injection in plasma ChE activities, but in urinary p-nitrophenol excretion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between OP and OP-CAB.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