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tion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2초

Size-Independent Caption Extraction for Korean Captions with Edge Connected Components

  • Jung, Je-Hee;Kim, Jaekwang;Lee, Jee-H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308-318
    • /
    • 2012
  • Captions include information which relates to the images. In order to obtain the information in the captions, text extraction methods from imag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most existing methods can be applied to captions with a fixed height or stroke width using fixed pixel-size or block-size operators which are derived from morphological supposition. We propose an edge connected components based method that can extract Korean captions that are composed of various sizes and fonts. We analyze the properties of edge connected components embedding captions and build a decision tree which discriminates edge connected components which include captions from ones which do not. The images for the experiment are collected from broadcast programs such as documentaries and news programs which include captions with various heights and fonts. We evaluate our proposed metho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latent caption area extraction.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efficiently extract various sizes of Korean captions.

신경망을 이용한 자막 크기에 무관한 연결 객체 기반의 자막 추출 (Connected Component-Based and Size-Independent Caption Extraction with Neural Networks)

  • 정제희;윤태복;김동문;이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924-929
    • /
    • 2007
  • 영상에 나타나는 자막은 영상과 관계가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과 관련 있는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영상으로부터 자막을 추출하는 연구는 근래에 들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일정한 높이의 자막이나 획의 두께를 지닌 자막에서만 정상적인 작동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자막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는 크기에 무관한 자막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자막 연결 객체의 패턴 추출을 위해서 자막이 포함된 영상을 수집하고, 신경망을 이용해서 자막의 패턴을 분석한다. 그 후로는 사전에 추출한 패턴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서 자막을 추출한다. 실험에 사용된 영상은 뉴스, 다큐멘터리, 쇼 프로그램과 같은 대중 방송에서 수집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양한 크기의 자막을 포함한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자막 추출의 결과는 찾아진 연결객체 중에 자막의 비율과 자막 중에 찾아진 자막의 비율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보면 제안한 방법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자막을 추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신경회로망 제어기와 동적 베이시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시변 및 비정치 확률시스템의 제어 (Control of Time-varying and Nonstationary Stochastic Systems using a Neural Network Controller and Dynamic Bayesian Network Modeling)

  • 조현철;이진우;이영진;이권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930-938
    • /
    • 2007
  • 영상에 나타나는 자막은 영상과 관계가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과 관련 있는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영상으로부터 자막을 추출하는 연구는 근래에 들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일정한 높이의 자막이나 획의 두께를 지닌 자막에서만 정상적인 작동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자막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는 크기에 무관한 자막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자막 연결 객체의 패턴 추출을 위해서 자막이 포함된 영상을 수집하고, 신경망을 이용해서 자막의 패턴을 분석한다. 그 후로는 사전에 추출한 패턴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서 자막을 추출한다. 실험에 사용된 영상은 뉴스, 다큐멘터리, 쇼 프로그램과 같은 대중 방송에서 수집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양한 크기의 자막을 포함한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자막 추출의 결과는 찾아진 연결객체 중에 자막의 비율과 자막 중에 찾아진 자막의 비율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보면 제안한 방법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자막을 추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원 영상 복원을 위한 TV 자막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Caption Characteristic for Recovering Original Images of Caption Region in TV Scene)

  • 전병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77-182
    • /
    • 2010
  • 자막의 원영상 복원은 동영상 재 사용성이란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외국에서 수입된 동영상의 경우 외국어 자막이 삽입된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자막에 삽입된 외국어를 자국어로 대치할 필요가 종종 발생한다. 원영상 손실없이 자연스런 자막교환을 위해서는 자막 부분의 원영상 복원이 필요하며, 자막의 원영상 복원은 동영상 재 사용성이란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원영상 복원의 중요성에 불구하고 복원의 대상이 되는 자막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V 프로그램 장르별 구분 방법을 학계, 방송사, 방송기구별로 분류 조사하고, 각 장르별 자막의 출현 빈도, 자막 내용의 중요도 및 복원의 필요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복원의 필요성이 크게 인식되는 자막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그 정보를 복원 정보로 사용한다.

A Novel Approach for Key Caption Detection in Golf Videos Using Color Patterns

  • Jung, Cheol-Kon;Kim, Joong-Kyu
    • ETRI Journal
    • /
    • 제30권5호
    • /
    • pp.750-752
    • /
    • 2008
  • This paper provides a novel method of detecting key captions containing player information in golf videos. We use the color pattern of captions and its repetition property to determine the key cap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a much higher accuracy than existing methods.

  • PDF

I 프레임에 기반한 MPEG 압축영상에서의 자막 탐지 (Localization of captions in MPEG compression images based on I frame)

  • 유태웅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11호
    • /
    • pp.1465-1476
    • /
    • 2001
  • 실시간 자막 탐지는 비디오 인덱싱, 텍스트의 이해, 자동 자막 탐지시스템 등 수많은 응용 분야에서 요구된다. 본 논문은 I 프레임을 기반으로 MPEG 압축 동영상에서 자막을 탐지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자막 텍스춰 정보와 색체 정보를 사용하여 배경 영상으로부터 자막을 정확히 분리한다. 기존 알고리즘들은 압축 동영상으로부터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기 전에 압축을 먼저 해제하는데 제안한 알고리즘은 DCT 압축 도메인에서 직접 자막 텍스트 영역을 탐지한다.

  • PDF

영어 자막 활용의 순서가 항공 대학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 흥미,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Ordering Effects of Captions on Korean Aviation Students' Self-confidence, Interest, and Motivation in English Learning)

  • 김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62-373
    • /
    • 2020
  • 본 연구는 영어 자막 활용의 순서가 국내 항공 대학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 흥미,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국내 한 대학의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영어 자막 활용 순서에 따라 그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에 변화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는 충청남도 소재의 한 대학에서 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60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모든 참가자들은 항공서비스학과의 재학생들이었다. 총 16주 동안 일주일에 한번씩 2시간동안 영어 수업이 진행되었고, 모든 실험 및 자료 수집은 해당 수업시간 내에 이루어졌다. 영어 자막 활용의 순서에 따라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모든 실험이 끝난 후, 영어에 대한 자신감, 흥미, 그리고 동기와 관련한 설문이 진행되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 결과, 먼저 영어 자막을 먼저 보는 것이 국내 항공 대학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더욱 이끌어 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위해서는 영어 자막을 나중에 보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수업 목표에 따라 국내 영어 학습자들에게 영어 자막을 언제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시·공간 정보를 이용한 동영상의 인공 캡션 검출 (Detection of Artificial Caption using Temporal and Spatial Information in Video)

  • 주성일;원선희;최형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권2호
    • /
    • pp.115-126
    • /
    • 2012
  • 동영상에 포함되는 인공 캡션은 영상과 관계있는 의미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을 표현하는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캡션을 추출하는 연구는 근래에 들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 방법들은 대부분 정지영상에서 캡션을 검출하였다. 하지만 동영상의 경우에는 유용한 시간정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간정보를 사용한 캡션영역 검출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캡션후보영역 검출을 위해 문자출현맵을 생성하고, 후보영역 매칭 과정에서 지속후보영역을 검출한다. 검출된 지속후보영역의 소멸성 검사를 통해 캡션의 소멸 여부를 검출하고 소멸된 캡션 일 경우 시 공간정보에 의한 병합과정을 통해 캡션후보영역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결정된 캡션후보영역을 검증하기 위하여 에지 방향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신경망 인식기를 통하여 최종캡션영역을 검출한다. 실험을 위해 다양한 크기와 형태, 위치의 캡션을 포함하는 동영상에 대해 영역검출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Recall과 Precision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영역검출에 대한 효율성을 입증한다.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폐쇄자막 연구 (A Case Study on Closed Captions: Focusing on on Netflix)

  • 정수아;이지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279-285
    • /
    • 2024
  • 본 연구는 넷플릭스의 <오징어 게임>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영어 폐쇄자막(closed caption)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연방통신위원회(FCC), DCMP, 한국방송통신위원회의 페쇄자막 지침을 파악하고 분석 항목을 분류하였다. <오징어 게임> 전편의 자막을 추출해 비교 분석한 결과, 정확성 측면의 경우 한국어 폐쇄자막은 비속어와 호칭은 정확하게 제시하고 있으나, 화자 식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미리 제시하는 문제점이 관찰되었다. 영어 폐쇄자막의 경우 화자 식별 지침은 준수하고 있으나 비속어 생략과 호칭 오역의 문제가 있었다. 완전성 측면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폐쇄자막 모두 일부가 생략되는 문제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검수 과정을 강화하고, 번역 과정에서 발견한 원문의 문제점을 소통하는 체계를 마련하며, 영어 일반자막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A Hangeul Recognition Method Using Directional Edges in Open Captions

  • Jun, Seung-Chul;Kang, Myeong-Gyu;Park, Sung-Ha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2
    • /
    • pp.1157-1160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method to recognize Hangeul in video open captions. The open captions in news video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video indexing. The strokes of Korean character have a very strong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ality and some strokes appear repeatedly in each character. Based on this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to extract the character regions in open caption and recognize the character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aracter.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our algorithm in terms of computation time and recognition accura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