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sicum species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토양조건별 초본식물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Herbaceous Plants by Soil Condition to Revitalize the Urban Agriculture)

  • 박원제;한경환;권순효;박미옥;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8
    • /
    • 2012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find the most optimal soil-plant combination in the urban agriculture by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soil base material which is being used in the urban agriculture with the growth of plants. 4 types of easily purchased soil (bed soil(A), animal vermicast soil(B), earth worm soil(C) and matured compost(D)) verified in aspects of effect and safety of soil in terms of growth of crop is selected as experimental soil and B, C, D type soils are mixed with granite soil at the ratio of 7 : 3. And granite soil(E) is set as a controlled soil and is compar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al mixed soil. Herbaceous plants are classified into the fruit vegetable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and Capsicum annuum L.), leafy vegetables (Brassica campestris L. ssp. Pekinensis and Lactuca sativa L.), medicinal vegetables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nd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growth of herbaceous plants in different soil types showed that fruit vegetables and leafy vegetables in general had excellent growth in D type soil mixture and A type soil in general and had the poorest growth in E type (controlled) soil.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had the excellent growth in D type, B type, C type mixed soil and A type soil and E type (controlled) soil are followed in order. In the case of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 the difference in growth by each soil was shown to be insignificant. Therefore, the soil applied in the urban agriculture varies depending on each species of herbaceous plants, but it is considered effective to cultivate herbaceous plant which is economical and productive by using D type mixed soil which can be recycled and inexpensive compared with other experimental soils in the urban agriculture.

Isolation of an Rx homolog from C. annuum and the evolution of Rx genes in the Solanaceae family

  • Shi, Jinxia;Yeom, Seon-In;Kang, Won-Hee;Park, Min-Kyu;Choi, Do-Il;Kwon, Jin-Kyung;Han, Jung-Heon;Lee, Heung-Ryul;Kim, Byung-Dong;Kang, Byoung-Cheorl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4호
    • /
    • pp.331-344
    • /
    • 2011
  • The well-conserved NBS domain of resistance (R) genes cloned from many plants allows the use of a PCR-based approach to isolate resistance gene analogs (RGAs). In this study, we isolated an RGA (CapRGC) from Capsicum annuum "CM334" using a PCR-based approach. This sequence encodes a protein with very high similarity to Rx genes, the Potato Virus X (PVX) R genes from potato. An evolutionary analysis of the CapRGC gene and its homologs retrieved by an extensive search of a Solanaceae database provided evidence that Rx-like genes (eight ESTs or genes that show very high similarity to Rx) appear to have diverged from R1 [an NBS-LRR R gene against late blight (Phytophthora infestans) from potato]-like genes. Structural comparison of the NBS domains of all the homologs in Solanaceae revealed that one novel motif, 14, is specific to the Rx-like genes, and also indicated that several other novel motifs are characteristic of the R1-like genes. Our results suggest that Rx-like genes are ancient but conserved. Furthermore, the novel conserved motifs can provide a basis for biochemical structural. function analysis and be used for degenerate primer design for the isolation of Rx-like sequences in other plant species. Comparative mapping study revealed that the position of CapRGC is syntenic to the locations of Rx and its homolog genes in the potato and tomato, but cosegregation analysis showed that CapRGC may not be the R gene against PVX in pepper. Our results confirm previous observations that the specificity of R genes is not conserved, whil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R genes are conserved. It appears that CapRGC may function as a resistance gene to another pathogen, such as the nematode to which the structure of CapRGC is most similar.

옥시페탈룸에서 발생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 국내 첫 보고 (First Report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Oxypetalum coeruleum in Korea)

  • 백이슬;;윤주연
    • 식물병연구
    • /
    • 제28권4호
    • /
    • pp.231-236
    • /
    • 2022
  • 2021년 5월 전북 김제시 화훼류 시설재배 농가에서 재배중인 옥시페탈룸(Oxypetalum coeruleum)에서 원형괴사 반점등의 전형적인 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보이는 잎을 발견하였다. 이상 증상을 보이는 옥시페탈룸에서 원인 바이러스를 동정하기 위해 high-throughput sequencing을 수행한 결과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에 의한 단독 감염이 확인되었다. TSWV의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 TSWV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진단을 수행한 결과 777 bp의 예상 사이즈의 polymerase chain reaction 산물이 검출되었으며, TSWV의 기주인 청양고추(Capsicum annuum cv. 'Cheongyang')에 접종한 결과 TSWV의 전형적인 윤문무늬가 관찰되었으며 RT-PCR 진단법으로 고추에 감염된 TSWV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옥시페탈룸에서 분리한 TSWV (TSWV-Oxy)의 전체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기 보고된 13종 TSWV 분리주들의 S, M, L 유전체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하였다. 'Oxy' 분리주는 국내 거베라에서 분리된 'Gumi' 분리주(MW048590, MW048591, MW048592)와 가장 상동성이 높았으며, 계통학적 연관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거베라 분리주 'Gumi' 및 고추 분리주인 'GS' (MF159043)와 'GC' (MF159066)와 가장 유연관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옥시페탈룸은 줄기삽목 혹은 종자로 증식되는 작물로서 시설재배지에서 연속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다. TSWV는 총채벌레에 의해 잡초 등 TSWV 감염주로부터 시설 재배지로 유입되어 발생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옥시페탈룸은 TSWV의 기주 중 하나로 보고되었으나 전 세계적으로 발생 및 증상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옥시페탈룸에서 TSWV 발생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고추에서 탄저병균 Colletotrichum scovillei를 검출하기 위한 반선택 배지 (A semi-selective agar medium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causal agent of anthracnose, Colletotrichum scovillei, in chilli pepper)

  • 홍성기;박세근;최효원;류현주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479-485
    • /
    • 2021
  • 고추에서 Colletotrichum scovillei를 검출하고 계수하기 위한 반선택배지가 개발되었다. 기본배지로서 Potato-dextrose-agar (PDA)가 사용되었다. 반선택배지의 최종 조성은 부생성곰팡이와 세균을 저해하고, C. scovillei의 생장에 양호할 수 있도록 확립되었다. 반선택배지는 pyribencarb와 pydiflumetofen 각각 40 ㎍ mL-1와 세균을 방지하기 위한 streptomycin 100 ㎍ mL-1를 포함한다. 배지의 pH는 85% lactic acid로 4.8로 조절했다. 반선택배지에 배양할 때 C. scovillei의 균사생육 저해율은 Fusarium속과 다른 부생균보다 뚜렷이 낮았다. 반선택배지에 과실과 줄기조직 현탁액을 평판배양하여 탄저병균이 자연 감염된 식물체로부터 C. scovillei가 검출되었고, 신뢰할 수 있고 정량할 수 있었다. 이것은 자연 감염된 고추조직에서 C. scovillei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반선택성배지에 대한 처음 보고이다.

밭작물(作物) 및 잡초(雜草)에 대한 제초제(除草劑)의 약해(藥害) 약효(藥效) (Phytotoxic Effect of Herbicides on Upland Crops and Weeds)

  • 양환승;전재철;임주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9-78
    • /
    • 1984
  • 주요(主要) 밭작물(作物) 및 잡초별(雜草別) 제초제(除草劑) 반응성(反應性)을 검토(檢討)하여 유효(有效)한 제초제(除草劑)를 선발(選拔)하고, 멀칭재배조건하(栽培條件下) 제초제(除草劑) 난해원인(欒害原因)을 구명(究明)하고자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1. Napropamide, alachlor, trifluralin 및 nitrofen에 내성(耐性)을 보인 작물(作物)은 무, 배추, 콩, 땅콩 및 아욱이었다. 2. Napropamide, diphenamide 및 alachlor는 고추, 가지 및 토마토에 안전(安全)한 약제(藥劑)이었고, trifluralin, nitrofen 및 chlornitrofen은 수박, 당근과 상추 약해(藥害)없이 사용(使用)할 수 있었다. 3. 공시약제(供試藥劑) 모두에 대(對)해서 가장 내성(耐性)이 큰 잡초(雜草)는 냉이었다. 4. 여뀌는 napropamide와 alachlor로 방제(防除)할 수 없었으며, 쇠비름은 diphenamide에 명아주는 alachlor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 초종(草種)이었다. 5. 공시약제중(供試藥劑中) 요소계(尿素系)인 methabenzthiazuron, linuron 및 isoproturon은 공시작물(供試作物)에 큰 약해(藥害)를 나타내었지만, 잡초(雜草)에 대(對)한 방제효과면(防除效果面)에서는 화본과(禾本科)보다는 광엽작초(廣葉雜草)에 더 큰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아욱은 isoproturon에, 당근은 linuron에 대(對)하여 내약성(耐藥性)을 나타내었다. 6. 땅콩포장에 있어서 공시(供試)4종제초제(種除草劑) 모두 멀칭재배조건(栽培條件)이 무(無)멀칭에서 보다 심(甚)한 약해(藥害)룰 나타내었다. 공시(供試) dinitrioaniline계(系) 제초제(除草劑)들의 약해(藥害)는 멀칭후(後) 휘발(揮發)된 약제(藥劑)를 제거(除去)함으로써 감소(減少)되었다. 7. 땅콩포장의 멀칭 재배조건하(栽培條件下)에서 alachlor는 가장 적은 약해(藥害)를 보였고, dinitroaniline계(系) 제초제중(除草劑中)에서는 nitraline, pendimethalin, trifluralin 순(順)으로 약해(藥害)가 증가(增加)하였다.

  • PDF

고추 온실에서 꽃노랑총채벌레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 for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 greenhouse pepper)

  • 엄소은;박태철;손기문;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40권2호
    • /
    • pp.164-171
    • /
    • 2022
  •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는 500종 이상의 기주를 가지고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를 매개하는 해충이다. 전 세계적으로 방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살충제를 이용한 방제는 저항성 그리고 환경 및 경제적 부담으로 인한 한계를 보였기 때문에 고정 정확도를 설정한 표본조사법(Fixed-precision level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고추(Capsicum annuum)의 꽃노랑총채벌레 성충 방제를 위한 표본 조사법은 공간분포분석, 표본추출 정지선 그리고 의사결정법으로 구성되었다. 표본추출은 식물체를 상단(지상에서 180 cm 이상), 중단(지상에서 120~160 cm 이상), 하단(지상에서 70~110 cm 이상)으로 나누어 각 높이별로 꽃 3개에서 나오는 꽃노랑총채벌레의 성충의 마리 수를 조사하였다. 표본 추출을 통해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의 밀도는 다른 식물체 위치(중단, 하단)보다 상단에서 높은 것으로 나왔다. 공간분포분석에서는 Taylor's power law (TPL)를 통해 도출한 각 위치별 계수를 공분산분석(ANCOVA)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ANCOVA 결과에서 도출된 절편과 기울기의 P 값이 각각 0.94, 0.87인 것을 통해 식물체 내 위치별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한 후, 자료를 통합(pooling)하여 계산된 TPL 계수를 이용하여 표본추출 정지선을 구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의 방제의사결정을 위한 방제밀도 수준(m0)은 문헌을 참조하여 3과 18로 설정하였으며 설정값(m0)을 이용해 최대표본수(Nmax)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m0=3, 18일 때 Nmax값은 각각 약 97개, 1149개로 계산되었다. 개발된 모델의 적합성 검정을 위해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자료를 이용해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rogram (RVSP)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표본추출법의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적합한 정확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