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pbell Earl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7초

장기유통을 위한 포장방법이 포도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cking Materials on the Quality of Grape for Long-Term Market Circulation)

  • 남상영;김경미;강한철;황종택;김태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15-319
    • /
    • 1998
  • 유통을 위한 포도 보존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보존기간 연장에 효과적인 적정 포장재 제작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포도 캠벨얼리를 공시하여 스치로폴 상자, 마닐라상자 등 6처리를 두어 시험한 결과, 중량감소는 유통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많았으며, 처리 간에는 15일 보존시 스치로폴상자에 비해 스치로폴상자+(스치로폴접시 + BioPE 필름밀봉), 스티로폴상자 + (스치로폴접시 + 랩 밀봉)처리가 적었으며, 비정상과는 밀봉구에서 많았으나, 축과는 밀봉으로 인한 수분증발 억제로 인하여 오히려 감소하였다. 외관상 품질 및 식미는 보존기간이 경과할수록 저하되었으나, 5일 보존 시에는 바이오상자 처리 포도의 품질이 우수하였고, 경도는 스티로폴상자 + (스치로폴접시 + 바이오필름) 처리에서 감소 폭이 가장 적었으며, 성분변화는 보존기간 경과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밀봉처리에서 당도의 감소 폭이 컷다.

  • PDF

품종에 따른 포도과피의 안토시아닌 색소 조성 및 색발현의 차이 (The Difference of Anthocyanin Pigment Composition and Color Expression in Fruit Skin of Several Grape Cultivars)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47-852
    • /
    • 2010
  • 흑색계(캠벨어얼리, 거봉, 머스캇베일리에이)와 적색계(노스레드)의 4종류의 포도 품종에 대하여 안토시아닌의 조성을 분석하고 과피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닌 색소의 색발현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4종류의 품종에서 모두 12종류의 안토시아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흑색계 품종에서 특히 머스캇베일리에이 품종은 안토시아닌 조성이 가장 다양한 반면 적색계의 노스레드는 안토시아닌 조성이 비교적 단순하였다. 포도 과피에서 안토시아닌 농축액을 조제한 후 품종별 색 발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낮은 pH 조건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적색이 나타난 반면 중성 이상의 pH 조건에서는 품종에 따라 청색, 자색, 갈색, 흑색 등의 다양한 색이 발현되었다. 품종에 따른 이러한 색 발현의 차이는 안토시아닌 색소을 구성하는 안토시아니딘의 품종별 조성과 함량의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포도에서 추출한 안토시아닌 색소는 낮은 농도에서도 선명하고 다양한 색을 발현하므로 식품 첨가용 천연 색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포도 경정배양에서 얻은 유묘의 기내삽목에 의한 무병묘 생산 (Virus Free Stock Production by In vitro Stem Cutting of Shoot Tip Cultures of Grapes)

  • 서정해;정재동;권오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1-85
    • /
    • 2001
  • 포도의 기내 삽목방법을 이용하였을 때 액아의 신장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과 이들 유묘의 virus 이병 정도에 관해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4 MS 기본배지에 BA 0.1 또는 0.5 mg/L와 NAA 0.05 mg/L를 혼용한 것이 액아로부터 신초의 신장에 적합하였다. 기외이식용 상토는 vermiculite와 peat moss를 3: 1 등량용적 비율로 혼합한 경우 활착률이 가장 높았다. 포장에서 재배되고 있던 'Schuyler'외 2품종을 ELISA 검정한 결과 3품종 모두 GLRV Ⅰ, GFLV, ArMV에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으나 GLRV Ⅲ에는 감염되 어 있었으며, 이병률은 30∼75%로 품종 간 차이가 현저하였다. 경정배양에서 얻은 유묘의 virus 검정 결과, GLRV Ⅰ, GFLV, ArMV는 3품종 모두 음성반응을 나타내었으나 'Schuyler'와 'Muscat of Alexandria'는 GLRV Ⅲ에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이병률은 각각 37.5 %와 12.5%였다.

  • PDF

Analysis of Structure and Expression of Grapevine 2-oxoglutarate Oxygenase Genes in Response to Low Temperature

  • Kim, Seon Ae;Ahn, Soon Young;Yun, Hae Ke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46-54
    • /
    • 2016
  • 2-Oxoglutarate (2OG) acts as a signaling molecule and plays a critical role in secondary metabolism in a variety of organisms, including plants. Six 2-oxoglutarate (2OG) and Fe(II) oxygenase (2OGO) genes, VlCE2OGO1 [Vitis labruscana 2-oxoglutarate (2OG) and Fe(II) oxygenase 1], VlCE2OGO2, VlCE2OGO3, VlCE2OGO4, VlCE2OGO5, and VlCE2OGO6, which show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upon transcriptome analysis of 'Campbell Early' grapevine exposed to low temperature for 4 weeks, were analyzed for their structure and expression. Comparison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 2OGO genes from the V. labruscana transcripts revealed sequence similarities of 38.6% (VlCE2OGO1 and VlCE2OGO2) to 19.2% (VlCE2OGO2 and VlCE2OGO3). The lengths of these genes ranged from 1053 to 2298 bp, and they encoded 316 to 380 amino acids. The prediction of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encoded proteins by Self-Optimized Prediction Method with Alignment (SOPMA) indicated that all the genes contained alpha helix (23.95 to 41.71%), extended strand (16 to 22.34%), beta turn (6.65 to 9.22%), and random coil (32.97 to 51.58%) in the analysis. Specific primers from unique regions in each gene obtained by alignment of nucleotide sequences were used in real time PCR for analysis of gene expression. All tested genes showed differential expression in grapevines exposed to low temperature. Of the six transcripts, VlCE2OGO1, VlCE2OGO2, and VlCE2OGO3 were up-regulated and VlCE2OGO4, VlCE2OGO5, and VlCE2OGO6 were down-regulated in response to cold treatments at all tested time points. The 2OG genes can be used for elucidation of mechanisms of tolerance to cold and as valuable molecular genetic resources for selection in breeding programs for cold-hardy grapevines.

국내산 포도 품종의 주요 페놀계 화합물 함량 비교분석 (Determination of Several Phenolic Compounds in Cultivars of Grape in Korea)

  • 장석원;김현주;송정희;이기열;김익환;노용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8-334
    • /
    • 2011
  • 폴리페놀화합물인 안토시아닌, 레스베라트롤, 쿼세틴, 카테킨, 에피카테킨류는 항암작용과 항산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내 육성 포도 품종과 외국 도입 품종에 대하여 포도내 대표적인 폴리페놀계 화합물인 안토시아닌, 레스베라트롤, 쿼세틴, 카테킨, 에피카테킨류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의 함량은 레스베라트롤과 쿼세틴보다 훨씬 높게 검출되었다. 폴리페놀계의 화합물은 과피색 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동일 과피색내의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각 과피색 그룹에서 흑색 포도에서는 캠벨얼리, 청색 그룹에서는 세네카, 그리고 적색그룹에서는 베니가드 품종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성분별로 적게 함유하거나 전혀 검출되지 않는 품종도 일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포도 육종개발 및 가공 분야에 응용되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알코올 와인의 가열 및 비가열 살균 후 품질 특성 및 기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of Low Alcohol Wines after Heat Sterilization and Non-Thermal Sterilization)

  • 신혜림;박혜진;황온빛;최성열;박의광;윤동규;윤향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43-352
    • /
    • 2022
  • Low alcohol (6%) wines were manufactured using Campbell Early. To develop the sterilization process of low alcohol wines, red wines were heat sterilized, and rose wines were nonthermal sterilized by concentration using potassium metasulfite and potassium sorbate. Samples were stored at 25℃ and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period.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e pH of the samples after sterilization ranged from 3.15 to 3.19, and the total acidity of wines ranged from 0.011 to 0.024%. The free SO2 contents of wines ranged from 13.00 to 29.678 mg/L, and the total SO2 contents of wines ranged from 47.50 to 121.00 mg/L. L (lightness) of wines decreased whereas a (redness) and b(yellowness) increased. The hue value of wines ranged from 0.52 to 1.03, and decreased significantly(not including rose sweet wines). The color intensity of red and rose dry wines after sterilization increased, whereas red and rose sweet wines decreas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ed wines and rose wines ranged between 75.50 to 89.23%, and 36.60 to 56.54%,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57.51~182.63 mg%.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cientific information to establish the sterilization process of low alcohol wines.

캠벨얼리(Vitis labruscana B.) 잎 에탄올 추출물이 신경세포에서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의 발현과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tis labruscana B. Leaves Ethanol Extract on the Expression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in Neuroblastoma Cells and on the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 최하연;김주은;마상용;조형권;김대성;임재윤
    • 생약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2-110
    • /
    • 2022
  • Alzheimer's disease (AD) is the most common form of dementia, and the accumulation of β-amyloid (Aβ) in the brain triggers AD, followed by hyperphosphorylation of tau protein, neurofibrillary tangles, and synapses loss, neuronal cell death, and cognitive decline occur in a chain. In APPswe neuronal cell line, 50 ㎍/ml of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B.) leaves 50% ethanol extract (VLL) treatment inhibited the secretion of Aβ1-42 by about 63% and the secretion of Aβ1-40 by about 50%. VLL did not target the enzymatic activity of the amyloidogenic pathway and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APP. As a result of RT-qPCR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real-time PCR) of the APPswe cell line treated with VLL, it is thought that the protein expression of APP was reduced by inhibiting the transcription process of the APP gene. In addition, VLL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ChE) enzyme activity in vitro by 27.6% and 54.7%, respectively, at 50 and 100 ㎍/ml concentrations. We found that VLL inhibited the production of Aβ, a dementia-inducing substance, by suppressing the transcription of the APP gene, and that VLL inhibited AChE activity. We suggest that VLL has the potential as a natural drug material that modulates the alleviation of dementia symptoms.

노지 포도재배에서 토양검정시비량을 이용한 질소관비가 수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gation by Soil Test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Campbell Early'(Vitis labrusca L.) Grapevine in Field Cultivation)

  • 강석범;이인복;임태준;박진면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9
    • /
    • 2010
  • 노지 캠벨얼리(Vitis labrusca L.) 포도원에서 관비재배시 토양검정시비량을 이용한 질소관비가 수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간 사양토 노지 포도원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처리를 위해 먼저 토양검정을 통한 질소시비량(195 kg/ha)을 산출 후 질소시비량의 50%(97.5 kg/ha)는 기비로 모든 처리구에 시용 후 나머지 추비 시용량에 대해 표층 시비구는 농가 관행대로 질소를 생육기간 중에 나눠서 추비 (N, 97.5 kg/ha)하였으며, 관비 처리구는 기존 과원에 시설되어있는 점적관수라인을 이용하여 추비 시용량의 25%(N 25 mg/L, 24.4kg/ha)를 공급한 N 1/4, 50%(N 50 mg/L, 48.8 kg/ha)를 공급한 N 1/2, 추비 시용량 100%(N 100 mg/L, 97.5kg/ha)를 전량 관비로 공급한 N1 처리 등 4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포도 눈이 발아 후부터 수확 1개월 전까지 12주 동안 주 2회 (관비량 2.1 mm/ 회) 관비 처리를 하였다. 질소 이외의 인산과 칼리에 대해서는 관행적인 방법으로 인산은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고 칼리는 기추비로 나눠 관행적으로 시험기간 중 분시 하였다. 시험기간 중 질소 관비량이많아짐에 따라 엽내 질소함량과 SPAD 지수 값은 높아졌다. 질소관비에 따른 신초의 생육은 처리 간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표층시비구 대비 N 1/2처 리구에서 신초장과 엽수의 생육이 좋았으며 신초의 경경은 관리비처리구에서 전체작으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과실의 수량은 해마다 처리 간 차이가 있었으나 검정시비량의 N 1/4 (25 mg/L)처리구가 '05년과 '06년에 관행구보다 유의하게 수량이 많았으며 3년간의 평균수량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않았지만 표층시비구 대비 N 1/4 관비구가 수량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과실 품질에 있어서는 처리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으며질소 관비량이 많았던 N1 처리구에서착색이 지연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살펴보았을 때 노지 캠벨열리 포도 관비재배시 먼저 토양검정시비를 통한 기비 시용 후 추비에 대해서 질소 시용량의25%를 N 25 mg/L의 농도로 질소관비 한다면 질소시비량도 줄이고 양호한 수량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캠벨얼리'와 '탐나라' 포도의 꽃과 소포자 발달 (Flower and Microspore Development in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and 'Tamnara' (V. spp.) Grapes)

  • 임보미;문정환;정영민;허윤영;유희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3호
    • /
    • pp.420-428
    • /
    • 2015
  •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대부분의 포도 꽃은 완전화로서 개개의 꽃들이 모여 화서를 이룬다. 포도 꽃은 5개의 수술, 1개의 암술, 5개의 꽃잎이 융합된 구조인 화관, 그리고 융합된 형태의 꽃받침을 가지며 화방 내 각각의 꽃은 수정하여 과립으로 발달한다. 포도에서는 과립 형성이나 과립비대, 당도의 축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된 반면 배우체의 형태 형성, 꽃 기관의 구조, 그리고 꽃 발달과 같은 꽃의 형태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얼리'와 '탐나라'의 두 품종에서 꽃의 구조와 발달에 따른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포도 꽃의 발달 단계 결정은 애기장대에서 소포자의 형성부터 수 배우체의 발달 시기인 꽃발달 9단계부터 13단계로만 한정하였다. 포도 꽃 발달 9단계에서는 4분포자가 나타났고 꽃 발달 10에서 11단계 동안에는 단세포성 소포자에서부터 중기 2세포성 화분으로 발달하였다. 개화 직전의 꽃 발달 12단계 말에는 성숙한 3세포성화분으로 발달하였다. 꽃 발달 13단계에는 화관이 탈락하고 개화가 일어났다. 꽃 발달 9단계부터 12단계까지 꽃받침 길이는 거의 변하지 않았지만 화관의 길이는 계속 증가했다. 두 포도 품종에서 '꽃받침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의 평균은 꽃 발달 9단계에서는 2.0, 꽃 발달 10단계에서는 3.0, 꽃 발달 11단계에서는 4.5, 꽃 발달 12단계에서는 6.5로 나타났으며, '꽃받침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을 사용하여 꽃 발달 단계를 판별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캠벨얼리'와 '탐나라'에서 꽃 발달 단계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형태적 지표가 개발되었다. 이를 이용하면 두 품종에서 소포자 배양 시기의 판정이나 '탐나라'에서 무핵과 유도를 위한 지베렐린 처리 시기의 판정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노지 포도재배에서 칼륨관비 수준에 따른 과실의 수량 및 품질 변화 (Effect of Potassium Fertigation Level on Growth and Yield of 'Campbell Early' Grapevine (Vitis labrusca L.) in Open Field)

  • 강석범;이인복;박진면;송양익;권헌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2-137
    • /
    • 2011
  • 노지 캠벨얼리(Vitislabrusca L.) 포도원에서 관비재배시 토양검정시비량을 이용한 칼륨관비가 수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사양토 노지 포도원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처리를 위해 먼저 토양검정을 통한 칼륨시비량(125 kg/ha)을 산출 후 칼륨시비량의 30%(37.5 kg/ha)는 기비로 모든 처리구에 시용 후 나머지 추비 시용량에 대해 표층 시비구는 농가 관행 표층 시비하였으며 관비구는 기존과원의 점적시설을 이용하여 처리 수준별로 생육기간 중에 나눠서 추비하였으며, K0(K 0 mg/L, 0 kg/ha), K1/4(K 25 mg/L, 21.9 kg/ha), K 1/2(K 50 mg/L, 43.8 kg/ha, K 1(K 100 mg/L, 87.5 kg/ha)등 관행구를 포함한 5처리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시험처리구별로 관비하였다. 칼륨 이외의 인산과 질소에 대해서는 관행적인 방법으로 시비하였다. 토양검정 칼륨시비량을 기준으로 칼륨관비 처리결과 기비 30% 시비 후 추비 시용량에 대해 1/2 수준에서 관비한 50 mg/L 칼륨 관비 처리구가 관행구 대비 신초경경, 신초장과 같은 신초 생육이 좋았으며 칼륨관비처리에 따른 엽내 무기성분에 있어서는 K0 처리구가 칼리 함량이 유의하게 낮았다. 수량에 있어서는 2008년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2009년에는 표층시비에 비해 칼륨 50 mg/L 관비구인 K1/2 처리구가 유의하게 수량이 좋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봤을때 포도 캠벨얼리 관비재배를 위해 칼륨 관비시 토양검정시비량을 기준으로 칼륨의 기비 30% 시비 후 추비시용량의 1/2수준에서 50 mg/L의 관비 농도로 관비를 한다면 적절한 수체관리와 수량 및 칼륨비료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