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elliaside 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3초

콩잎 열수추출물의 지표성분인 camelliaside A의 정량분석을 위한 HPLC-UVD 분석법 밸리데이션 (HPLC-UVD method validation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amelliaside A in hot-water extract of soybean (Glycine max L.) leaves)

  • 김정호;리승환;문시원;박기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3호
    • /
    • pp.195-202
    • /
    • 2022
  • 콩잎의 기능성식품소재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콩잎을 관리할 수 있는 밸리데이션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콩잎에서 7개의 kaempferol 유도체를 UHPLC-ESI-Q-TOF-MS로 동정하고 이들 중 camelliaside A를 지표물질로 선정하였다. 콩잎열수추출물에서 camelliaside A를 정량할 수 있는 HPLC-UVD 밸리데이션 방법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건강기능성식품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구축하였다. 개발된 HPLC-UVD 밸리데이션 방법은 특이성, 정확도, 일내정밀도, 일간정밀도, 검출한계, 정량한계 및 직선성에서 가이드라인을 만족하는 결과값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camelliaside A 분석법을 콩잎열수추출물에 적용하여 적합한 수준의 평가값을 얻었다.

차 부산물로부터 효소를 이용한 캠페롤 생산 (Production of kaempferol by enzymatic hydrolysis of tea seed extract)

  • 임윤영;김은기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31-134
    • /
    • 2008
  • 캠페롤은 항산화, 항염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생산이 쉽지가 않다. 차의 씨를 가공하고 발생하는 부산물 (tea seed extract)에는 캠페롤과 당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인 camelliaside A와 camelliaside B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캠페롤을 효소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산하였다. 가장 효과적인 효소는 $pectinex^{(R)}100L$ 이며, 효소 반응에서 캠페롤은 48시간내에 생산되었다. 반응 최적 조건은 $40^{\circ}C$, pH 4이며 생산의 최적조건하에서 차 부산물 1 kg당 1.6 g의 캠페롤이 생산되었고 약 80%의 캠페롤이 침전되었다. 효소반응에 의한 캠페롤 생산법은 생산물의 회수가 용이한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효소를 이용한 아스트라갈린 합성 반응의 최적화 (Reaction Optimization for Enzymatic Synthesis of Astragalin)

  • 이슬비;정대원
    • 공업화학
    • /
    • 제23권4호
    • /
    • pp.394-398
    • /
    • 2012
  • 아스트라갈린(AS)은 폴리페놀의 일종인 캠페롤(KR)에 글루코스가 하나 결합해있는 배당체로서, 천연에는 미량만이 존재하고 있다. 최근 tea seed extract (TSE)에 포함되어 있는 camelliaside A (CamA) 및 camelliaside B (CamB)로부터 복합효소인 Mash에 의한 부분가수분해에 의해 AS를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Mash에 의한 TSE의 선택적 가수분해에 의해 AS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반응 온도, 효소량 및 반응물의 농도 등의 변수에 따른 반응성을 검토하였다. 반응 온도, 효소량 등이 증가할수록 AS의 생성 반응은 빨랐으나, 일단 생성된 AS가 급격하게 KR로 변환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응 속도 및 AS의 선택성 측면을 고려하면, $50^{\circ}C$에서 TSE 대비 2배의 Mash를 사용하여 15%의 기질 농도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백 유박 에탄올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from defatted Camellia japonica L. seeds)

  • 박원표;김난경;한석희;이상현;김지현;최진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503-511
    • /
    • 2023
  • 본 연구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동백나무 유박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 후 부탄올(BuOH), 에틸아세테이트(EtOAc), 클로로포름 및 헥산을 이용하여 분획물을 조제하였다. 동백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O2-)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동백 유박 추출물 및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DPPH, ABTS+ 및 O2- radical 소거능을 증가시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동백 유박 BuOH 분획물은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에 비해 가장 높은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동백 유박 BuOH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3.26 mg GAE/g 및 32.39 mg QE/g이었으며, 이는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보다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었다. 동백 유박 BuOH 분획물 및 EtOAc 분획물의 cameliaside B 함량은 각각 102.37, 165.05 ㎍/g임을 확인하여 다른 추출물 및 분획물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동백 유박 추출 및 분획물 중에서 BuOH 분획물 및 EtOA c 분획물은 다른 추출 및 분획물에 비해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항산화 물질 함유량이 높아,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