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dastral Triangulation Poin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위성측량을 이용한 지적기준점의 정확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Accuracy of Reference Points in Cadastral Area Using GPS)

  • 강인준;최종봉;곽재하;최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4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적측량 방법으로 확정된 지구를 선정하여 확정측량 당시에 사용한 지적삼각점과 지적삼각보조점, 도근점의 좌표 성과가 위성측량으로 결정된 좌표 성과와의 편위량을 분석하여, 제 점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지적확정측량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오차방향이 반대인 기존 지적삼각점을 기준으로 지적삼각보조점의 좌표를 결정할 경우, 그 오차가 서로 상쇄되어 지구계 내의 전체적인 오차가 작아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지적삼각보조점을 기준으로 한 도근점의 좌표성과는 교점을 중심으로 오차량이 서로 상쇄되어 상대적으로 편차량이 작아지고 있으나 각 도선별로 오차 발생 경향을 분석한 결과 지적삼각보조점에 가까운 도근점이 지적삼각보조점의 오차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안정적인 지적측량 성과 확보를 위한 삼각점 성과의 정확도 분석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Accuracy Analysis on result of the station of triangulation to secure stable cadastral surveying result -Focusing on Changwon-si, Gyeongsangnam-do-)

  • 임현석;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478-3485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 삼각점의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오차수준 및 지역적인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봄으로써 향후 지적세부측량을 위한 지적기준점측량 수행 시 보다 정확한 성과가 산출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토지조사사업 당시 설치된 삼각점의 경우 삼각점 자체의 자연적 인위적 이동이 없을 경우 대부분 삼각점의 성과가 안정적으로 나타나므로 지적기준점 성과결정시 기지점으로 사용할 삼각점은 토지 조사 당시 설치된 삼각점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안정적인 성과로 제시된 삼각점을 기준으로 하여 지적기준점의 성과를 결정할 경우 향후 지적기준점이 망실되어 재설치 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측량성과를 유지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적삼각(보조)점의 국가지점번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lanning national index numbers in the Cadastral triangulation point)

  • 이형삼;신순호;성연동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45-56
    • /
    • 2015
  • 본 연구는 지번주소의 단점을 보완하고 국가지점번호의 효율적인 설치를 위하여 지적삼각(보조점)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노원구 산악지역에 분포한 지적삼각점 7점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고 각각의 점마다 가지고 있는 평면직각좌표를 단일평면직각좌표계(UTM-K)로 변환을 실시하였으며, 변환된 좌표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Network-RTK을 이용하여 단일평면직각좌표로 관측하였다. 검증결과 최대 0.06m의 오차를 나타냈으나, 국가지점번호 검증 등에 관한 규정 제7조 2항에서 규정한 범위 이내로 지적삼각(보조)점을 현지측량을 생략하고 변환만으로 국가지점번호로 활용하기에 만족할 수 있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현지검증측량을 생략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과 지적삼각(보조)점의 안전한 보전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국가 GIS와 연계를 위한 지적기준점의 세계측지계 변환 실험 (Experiment on Transform of Cadastral Control Points to the New Korea Geodetic Datum for Connecting wit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송동섭;홍진상;윤홍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9-317
    • /
    • 2007
  • 우리나라의 지적기준점은 구소삼각원점, 특별소삼각원점, 특별도근측량원점 및 통일원점 등 다양한 원점체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점체계를 가진 수치지적도는 통일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국가 GIS 데이터와의 연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소삼각원점에 기준한 지적기준점 성과를 통일원점을 기준한 성과로 변환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변환 방법은 2차원 등각변환에 의한 변환 매개변수를 산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간접변환한 성과를 GPS로 측량한 성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통일원점 기준의 지적기준점 성과를 세계측지계 기준의 성과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적기준점과 연계 활용을 위한 도시기준점의 지적좌표 성과산출 분석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Results of Cadastral Coordinate Computation of Urban Control Point for Connection to Cadastral Control Point -A Case Study of Changwon-si of Kyungnam-)

  • 홍성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27-13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적기준점과 도시기준점을 연계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창원시를 대상으로 세계측지계 성과로 고시된 창원시 도시기준점(32점)의 GPS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시기준점에 대한 지적좌표 성과를 산출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3가지 서로 다른 계산 S/W를 이용해 지적좌표를 산출하고 이를 기존 도시기준점 고시 성과와 비교한 결과 현행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오차의 허용범위 이내로 분석되어 지적측량에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무에서 안정적인 활용 위해 현행 도시기준점 고시 성과를 직접 지적측량에 이용하기 보다는 새로이 지적성과를 산출해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역 삼각점에 대한 사전 정밀한 성과점검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계산 S/W는 삼변망조정계산 S/W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Downtown Area Cadastral Boundary Surveying Using Real-time GPS/GLONASS Combination

  • Seo, Dong-Ju;Kim, Sung-Hwan;Lee, Jong-Chool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3권1호
    • /
    • pp.73-79
    • /
    • 2003
  • To manage national territory and cadastral data efficiently, accuracy and cost-efficiency in cadastral boundary surveying is inevitable. The efficient management of cadastral data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national land management. Survey techniques are being introduced. Recently, improvements in survey techniques have been made with the development of satellite surveying, Allowing accurate and fast surveys. If we can calculate the output accurately in real-time in survey fields, it will open a new method in cadastral detail surveying.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n Law of cadastral surveying, Cadastral surveying can be divided into cadastral control point surveying and cadastral detail surveying. The control point survey can be divided into cadastral triangulation surveying and cadastral traverse surveying. The detailed survey is usually perform by plane surveying. Among these, cadastral detail surveying will be review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combination of the satellites, such as US managed GPS and Russian managed GLONASS was used. In the satellite survey in downtown, data interruption symptoms arose(according to the mask angle of the satellite). Therefore; we combined the satellites to get date more accurately. A block of Haewoondae New City in Busan, Korea, which has Numerical Cadastral Law was selected as the sample area for this study. Block II and III are surrounded by high rise apartments. One side of Block I and IV is level ground and the other side is full of high rise apartments. Especially, Block II is surrounded by high rise apartment houses with 20 meters width. In the results of the study Block II did not satisfy the allowable precision, while Block I, II and IV satisfied the allowable precision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Cadastral Law.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traditionally used Total Station method should be used for supplementary survey on Block II, in stead.

  • PDF

GPS측위를 이용한 지적기준점 성과의 점검 (Analysis of Bosses Coordinates of the Cadastral Triangular points by Using GPS Observations)

  • 양철수;정래정;강상구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19-520
    • /
    • 2004
  • Using the baseline vectors obtained by GPS observations on 32 triangulation points over Gyunggido area, Bessel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points are calculated according to trilateration adjustment. The result shows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on of a new cadastral survey network with the degree of correctness of 5cm, when newly computing the coordinates of the survey datum point of the area with values from GPS baseline vectors.

  • PDF

지적 원점계열 인접 지역에서 지적좌표의 세계좌표 변환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for Conversion of the Cadastral Coordinate System into the Global Coordinate System in Areas between Cadastral Datum)

  • 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228-42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통일원점 지역 중 중부원점과 동부원점이 접하는 지역에서의 지적기준점의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향후 세계좌표변환시 지적 원점계열 상이 지역에서의 세계좌표계 변환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지역의 지적삼각점 총 12점의 GPS 관측 데이터를 추출하여 중부원점과 동부원점이 접하는 지역에서의 좌표변환의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X좌표의 RMSE는 ${\pm}0.0014m$, Y좌표의 RMSE는 ${\pm}0.0011m$로 매우 양호한 성과가 산출되어 세계좌표로의 변환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세계좌표로 변환에 있어 다양한 주변 삼각점에 대한 성과의 점검을 통하여 우선적으로 성과가 안정적인 점을 먼저 선별한 후 이점 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세계좌표로의 변환을 시행한다면 원점 접경 지역에서도 좌표변환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지적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Cadastral Surveying using Data of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 주정준;김성삼;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31
    • /
    • 2004
  • 지적측량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등록된 경계를 지표에 복원할 목적으로 각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으로 크게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으로 구분되며, 세부측량은 다시 도해지적측량과 수치지적측량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사업으로 구축된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 자료에 의한 도해적인 평판측량과 경계점좌표에 의한 수치지적측량을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평판에 의한 도해지적측량 위치오차가 0.766m,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한 수치지적측량 위치오차는 0.638m로 관측되어 도해지적측량에 의한 성과보다 수치지적측량에 의한 성과가 더 정확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지적경계측량을 할 경우 PBLIS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GPS 측량에서의 관측시간과 기선거리에 따른 좌표정확도 비교 (Variation of Position Accuracy due to Observation Time and Baseline Distance in GPS Survey)

  • 김두식;박관동;이사형;이호석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7-190
    • /
    • 2010
  • GPS survey came into wide use, but there are inefficient parts i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Especially, to get GPS surveying results under 1.5cm permissible error the observation time must be longer than 8 hours in triangulation points surveying regulations. However, GPS surveying technology is developing now, so results could be acceptable under 4 hours observation time. Therefore, this study made a stable standard of observation time in GPS survey by comparing the errors due to observation time, and used PAJU, DOND and YANP's GPS data and 6 cadastral points' survey data. Also, to analyze the variations of results due to baseline distance, applied each GPS site as a fixed point and compared the positions. As a result, the stable satisfactory results were calculated under 4 hour survey, when the baseline distances were under 30k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