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적삼각(보조)점의 국가지점번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lanning national index numbers in the Cadastral triangulation point

  • 투고 : 2015.10.23
  • 심사 : 2015.11.27
  • 발행 : 2015.12.10

초록

본 연구는 지번주소의 단점을 보완하고 국가지점번호의 효율적인 설치를 위하여 지적삼각(보조점)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노원구 산악지역에 분포한 지적삼각점 7점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고 각각의 점마다 가지고 있는 평면직각좌표를 단일평면직각좌표계(UTM-K)로 변환을 실시하였으며, 변환된 좌표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Network-RTK을 이용하여 단일평면직각좌표로 관측하였다. 검증결과 최대 0.06m의 오차를 나타냈으나, 국가지점번호 검증 등에 관한 규정 제7조 2항에서 규정한 범위 이내로 지적삼각(보조)점을 현지측량을 생략하고 변환만으로 국가지점번호로 활용하기에 만족할 수 있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현지검증측량을 생략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과 지적삼각(보조)점의 안전한 보전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parcel addressing and to seek the application plan of cadastral triangulation point to effective installation of national index numbers. The test-bed has been constructed at the mountainous area located in Nowon-gu, seven cadastral triangulation points within the test-bed was directly applied to this investigation. Each points have been firstly converted from a plane rectangular coordinates to a single plane rectangular coordinates (UTM-K). To verify positioning results achieved from these points, a single plane rectangular coordinates through the Network-RTK was considered. With regards to verification result, maximum coordinate shift was revealed by 6 cm, this level of difference can be satisfied to Article 7, paragraph 2 "the regulation for National Index Number". This means that coordinate transformation applied with cadastral triangulation points can achieve the sastisfied result without local surveying. And also, remarkable effects have been created in terms of financial effectiveness and safe preservation of cadastral triangulation points due to the omission of local survey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2014), 지적통계연보.
  2. 김용재(2010), 도로명주소 부여에 따른 위치 표시 통일화 방안,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3. 김태우 외(2013), 한국의 새로운 단일원점 평면 직각 좌표계 결정, 한국측량학회지, 제31권 제3호, pp.183-192. https://doi.org/10.7848/ksgpc.2013.31.3.183
  4. 박준호(2014), 도로명주소기본도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5. 송경주(2013), 위치찾기 선진화제도 도입으로 국민생활이 더 편리해집니다, 지역정보화, 통권 제78호, pp.66-71.
  6. 송영선 외(2006), UTM-K 도입에 따른 지도 투영왜곡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13-318.
  7. 양성철(2013), 위치찾기 선진화를 위한 국가 지점번호 도입방안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51-157. https://doi.org/10.7848/ksgpc.2013.31.2.151
  8. 윤병찬(2012), 공간정보서비스를 위한 격자코드 명명규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9. 채승기 외(2012), 국가 경쟁력 강화 및 위치찾기 선진화를 위한 국가주소정보시스템 발전방향,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9권 1A호, pp.215-217.
  10. 행정안전부 지방재정세제국 지방세제과(2011), 위치찾기 선진화로 안전 대한민국 실현 연구 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11.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2), 국가지점번호 기준점 고시안 등에 관한 연구.
  12.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