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지적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Cadastral Surveying using Data of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 주정준 (경상남도 건설도시국 토지정보과) ;
  • 김성삼 (경상대학교 건설공학부 도시공학과) ;
  • 유환희 (경상대학교 건설공학부 도시공학)
  • 발행 : 2004.09.30

초록

지적측량은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등록된 경계를 지표에 복원할 목적으로 각 필지의 경계 또는 좌표와 면적을 정하는 측량으로 크게 기초측량과 세부측량으로 구분되며, 세부측량은 다시 도해지적측량과 수치지적측량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사업으로 구축된 필지중심토지정보시스템(PBLIS) 자료에 의한 도해적인 평판측량과 경계점좌표에 의한 수치지적측량을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평판에 의한 도해지적측량 위치오차가 0.766m,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한 수치지적측량 위치오차는 0.638m로 관측되어 도해지적측량에 의한 성과보다 수치지적측량에 의한 성과가 더 정확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지적경계측량을 할 경우 PBLIS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Cadastral surveying is related to demarcating legal boundaries and areas for the sake of registering a properly on cadastral records or restoring registered boundaries on the ground. It is composed of control surveying (cadastral triangulation and supplementary control surveying) and detail surveying. Detail surveying is classified into plane table surveying by graphical cadastral map and numerical surveying by boundary point coordinat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ccuracy of plane table surveying with numerical surveying using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PBLIS) data constructed by the cadastral map digitalization business. In conclusion the result by numerical surveying was analyzed as more accurate than the result of plane table surveying, as Root Mean Square Errors(RMSE) of graphical cadastral surveying is 0.766m and that of numerical cadastral surveying using Total Station(T/S) is 0.683m. Therefore, PBLIS data is expected to be used for surveying legal boundaries and areas in the near f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