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16}$(Palmitic acid)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6초

호두(Juglans nigra)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hydrocarbons and 2-alkylcyclobutanones from γ-ray irradiated walnut (Juglans nigra))

  • 노은영;최지연;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59-865
    • /
    • 2014
  • 본 연구는 호두를 대상으로 감마선을 1-10 kGy 선량으로 조사시켜 생성된 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를 통해 방사선 조사여부를 확인하였다. 지방은 soxhlet방법으로 n-hexane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였고 florisil이 충진된 column으로 분리하여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GC/MS)로 확인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호두에서 검출된 주요 hydrocarbon류는 oleic acid에서 유도된 8-heptadecene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8,11-Heptadecadiene, 1,7,10-Hexadecatriene이었고, 검출된 주요 2-alkylcyclobutanone류는 linoleic acid와 oleic acid에서 유도된 2-(5',8'-tetradecadienyl)cyclobutanone(5',8'-TCB), 2-(5'-tetradecenyl) cyclobutanone(TECB)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호두에서 생성된hydrocarbon류와 2-alkylcyclobutanone류의 생성량은 선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이 화합물들은 1 kGy 이상 조사된 시료에서만 나타났으며 비조사 시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oleic acid과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 중 8-heptadecene, 8,11-Heptadecadiene 및 1,7,10-Hexadecatriene, 2-alkylcyclobutanone류 중 5',8'-TCB 및 TECB는 감마선 조사 여부의 확인을 위한 marker로서 활용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성숙과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pe and Dry Jujube ($Ziziphus$ $jujuba$ Miller) Fruits)

  • 홍주연;남학식;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4
    • /
    • 2012
  • 본 연구는 대추의 성숙과 건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미숙 및 완숙 대추와 건조 대추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추 열매의 수분함량은 미숙 대추 84.66%, 완숙 대추 66.45%이었고 건조대추의 수분함량은 31.48%이었다. 조지방의 함량은 미숙 대추와 완숙 대추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건조 대추에서 0.34%로 성숙의 대추에 비해 두 배 정도의 높은 함량이었다. 조회분 함량은 미숙 및 완숙 대추에서 각각 0.52, 0.74% 이었으며, 건조 대추는 1.62%이었다. 탄수화물의 함량은 미숙 대추 13.51%, 완숙 대추 27.94%, 건조 대추 61.70%이었다. 대추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미숙 대추가 0.88%, 완숙 대추가 1.73% 및 건조 대추가 3.71%이었고, 환원당 함량은 미숙, 완숙 및 건조 대추에서 각각 4.99, 5.54, 18.82%이었다. 완숙 대추와 건조 대추의 sucrose의 함량은 각각 10.15, 16.66 g/100 g이었으며, 건조대추는 완숙 대추에 비해 약 2배인 33.46 g/100 g의 총 유리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은 미숙 대추에는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많은 조성비를 나타내었고, 성숙 대추에서는 미숙 대추와는 달리 myristoleic acid, palmitic acid, pamitoleic acid, linoleic acid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또한 건조 대추에서는 myristoleic acid, arachidonic acid는 높았고, palmitoleic acid는 낮았다. 대추의 무기질 함량은 Ca, K, Mg 및 P이 높았고, 총 무기질의 함량은 미숙 대추가 343.38 mg/100 g, 완숙 대추가 584.94 mg/100 g, 건조 대추가 1,331.56 mg/100 g이었다. 대추의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309.12, 248.80, 23.34 mg/100 g 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미숙, 완숙 및 건조 대추에서 각각 610.04, 310.22, 423.27 mg/100 g이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추는 식품소재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으면, 이용형태에 따라 대추의 성숙 및 건조 대추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률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사육 기간에 따른 토종 실용오리의 도체 내 지방산과 아미노산 함량 변화 (Changes of Fatty Acids and Amino Acids Contents of Korean Native Commercial Ducks Meats with Different Raising Periods)

  • 허강녕;추효준;김종대;김상호;김학규;이명지;손보람;최희철;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5-241
    • /
    • 2013
  • 본 시험은 토종오리 대형종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함량을 주령에 따라 평가하여 적정 출하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 동물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토종오리 대형종에서 발생된 병아리 90수로서, 15수씩 6반복으로 나누고, 육용오리 사료를 이용하여 8주 동안 사양하였다. 일정 주령(6주령, 7주령 및 8주령)에 도달하였을 때 각각의 주령을 처리구로 하고, 체중이 유사한 토종오리 2수를 1점으로 반복당 4수씩 도압(屠鴨)하고,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2점씩 총 36점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포화 지방산인 myristic acid(C14:0)와 palmitic acid(C16:0)는 6주령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7주령과 8주령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포화지방산 중 stearic acid(C18:0)는 7주령에 가장 높았으며(P<0.05), 6주령과 8주령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불포화 지방산 중 arachidonic acid(C20:4n6)는 6주령에 가장 낮게 나타났고(P<0.05), 7주령과 8주령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7주령과 8주령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다른 불포화 지방산들은 주령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6주령과 7주령은 차이가 없었으나, 8주령에 포화 지방산은 낮아졌고, 불포화 지방산은 높아졌다(P<0.05). 필수 아미노산 중 histidine, leucine, lysine, methionine, phenylalanine 및 threonine은 6주령에서 8주령까지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P<0.05), 이 중 histidine은 6주령과 7주령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isoleucine과 valine은 주령경과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모든 비필수 아미노산은 8주령까지 함량이 증가하였으며(P<0.05), 이 중 cystine과 proline은 7주령과 8주령, glycine은 6주령과 7주령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8주령까지 지방산과 아미노산 함량이 모두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는 토종 오리의 적정 출하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료된다.

김치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CJLP55 섭취가 성인 남녀의 피부 산도 및 관련 구성 인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CJLP55 isolated from kimchi on skin pH and its related biomarker levels in adult subjects)

  • 한상신;신지혜;임선희;안희윤;김봉준;조윤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2호
    • /
    • pp.149-15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12주간 김치에서 추출한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섭취가 피부의 산도 및 관련인자인 유리아미노산, 젖산 및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변화시키는지 파악하였다. CJLP 군에서 12주차에 피부 산도가 대조군에 비해 개선되었다. 표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변화하지 않았으며, 총 유리지방산 및 Stearic acid (C18:0), Palmitic acid (C16:0)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CJLP군에서 젖산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12주차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즉 김치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섭취는 CJLP 군에서 젖산 함량 증가와 함께 산도를 개선하였다.

An Innate Bactericidal Oleic Acid Effective Against Skin Inf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 Therapy Concordant with Evolutionary Medicine

  • Chen, Chao-Hsuan;Wang, Yanhan;Nakatsuji, Teruaki;Liu, Yu-Tsueng;Zouboulis, Christos C.;Gallo, Richard L.;Zhang, Liangfang;Hsieh, Ming-Fa;Huang, Chun-M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391-399
    • /
    • 2011
  • Free fatty acids (FFAs) are known to have bacteriocidal activity and ar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innate immune system. Many FFAs are naturally present in human and animal skin, breast milk, and in the bloodstream. Here,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FFA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demonstrated in cultures and in mice. Among a series of FFAs, only oleic acid (OA) (C18:1, cis-9) can effectively eliminate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through cell wall disruption. Lauric acid (LA, C12:0) and palmitic acid (PA, C16:0) do not have this ability. OA can inhibit growth of a number of Gram-positive bacteria, including hospital and community-associated MRSA at a dose that did not show any toxicity to human sebocytes. The bacteriocidal activities of FFAs were also demonstrated in vivo through injection of OA into mouse skin lesions previously infected with a strain of MRSA.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a promising therapeutic approach against MRSA through boosting the bacteriocidal activities of native FFAs, which may have been co-evolved during the interactions between microbes and their hosts.

구기자를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효과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

  • 박복희;조희숙;박선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4-10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Lycii fructus powder(LFP). The cookies were stored at $50^{\circ}C$ for 40 days. The LFP additive increased the moisture, ash, crude protein and volume of the cookies. When LFP was added at $5\%$ into the cookies, the spread ratio was higher than for the control, the $10\%$ and the $20\%$ LFP cookies. As more LFP was added, the L-value decreased, and the a--values and b-values increased for the color values.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the control cookies were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the other side, brittleness and gumminess were higher in cookies made with LFP than in the control cookies. Overall, the cookies made with $5\%$ LFP were preferred more than the other cookies, as tested forby sensory evaluation. The cookies made with LFP contained mostly palmitic acid (C16:0) followed by oleic acid (C18: 1) and stearic acid (C18:0).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 were lower in cookies made with $5\%$ and $10\%$ LFP than in those cookies made with $20\%$ LFP and the control cookies.

한국서해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지방산 조성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Korean Salt Marsh Plants in the West Sea)

  • 김유아;엄영란;이정임;김해진;임선영;남택정;서영완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21-526
    • /
    • 2009
  • 지질은 생체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부적절한 식이 섭취로 인한 지방산의 불균형은 성인병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지방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어류나 해조류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과 질병과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이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6종의 염생식물에 대하여 지방산의 조성과 함량을 조사하였다. 용매 추출된 염생식물 시료는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퉁퉁마디, 수송나물, 염주괴불주머니, 사철쑥, 갯질경 등이 높은 총지방산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16:0)는 실험 대상 전체에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그 %함량도 대부분의 염생식물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단일불포화지방산에서는 oleic acid (18:1)가 그리고 n-6계 다중불포화지방산에서는 linoleic acid (18:2)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 중에서 천일사초가 26.40%로 LNA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뒤이어 모래지치, 수송나물, 갯메꽃 순으로 나타났다. EPA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나 칠면초가 1.8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DHA는 여러 대상 식물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흰명주아뀌가 14.54%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염생식물이 해조류나 어류의 n-3계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함량에 있어서 뒤지지 않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천연물 화학적이나 식품학적 추가 연구를 통해 여러 질병의 예방과 치료분야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여성 환자의 지방산 섭취량 비교 (Comparisons of Fatty Acid intake of Hypercholesterolemia in Women)

  • 이승림;김상연;장유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7권4호
    • /
    • pp.373-38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in fatty acid intakes between hypercholesterolemia group and normocholesterolemia group, aged between 30 to 65 years old in women.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hypercholesterolemia group and normocholesterolemia group based on The Guideline for Korean Hyperlipidemia. Dietary intakes of fatty acids were by means of a 24-hr recall method with food models and measuring tools. We analyzed both data sets together using analysis of variance the chi-square test and student's t-test(SPSS for WINDOWS, version 7.5). Significance was defied as a P value <0.05.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age, BMI and percentage of postmenopausal women in hypercholesterolemi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rmocholesterolemia group. Percent of total energy from fat in hypercholesterolemia group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in normocholesterolemia group. C16:0(Palmitic acid) and saturated fatty acids(SFA) intake of hypercholesterolemi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ocholesterolemia group. Therefore, women who suffered from hypercholesterolemia were recommended to control body weight and consume foods containing low SFA and cholesterol.

  • PDF

진공포장과 함기포장이 사슴육이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cuum Packaging and Aerobic Packagi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nison)

  • 박창일;김영길;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4-221
    • /
    • 2000
  • 사슴(Elk deer ♀, 월령 28~30개월, 체중 170$\pm$10kg)의 등심부위와 대퇴부위를 도축 직후 함기포장과 진공포장하여 4$^{\circ}C$에서 10일간 냉장하면서 경시적으로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 지방산은 등심부위와 대퇴부의 모두 palmitic acid가 각각 35.16%와 31.75%가 많고 그 다음으로 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많아\ulcornerT다. 냉장기간이 경과하면서 포화지방산은 증가하였고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함기포장육의 변화 폭이 컸다. 냉장기간 중 TBA가는 등심부위 가 0.0598에서 0.5616 mgMA/kg, 대퇴부위가 0.0650에서 0.3770 mgMA/kg,이었으며, 냉장기간이 결과함에 따라 점차 상승하고 상승폭은 진공포장육보다 함기포장육이 대퇴부위보다 등심부위가 크게 나타났다. 냉장기간중 VBN가는 등심부위가 3.93에서 7.31 mg%, 대퇴부위가 3.98에서 6.35 mg%이 었으며 냉장기간이 경과함에 EK라 진공포장육보다 함기포장육이 대퇴부위보다 등심부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등심부위와 대퇴부 모두 냉장 10일까지 신선한 상태이었고 진공포장육이 함기포장육보다 선도 유지가 잘 되었다.

  • PDF

Effects of Emulsified Sausage Supplemented with Ginseng Saponin on Lipid Metabolism in Rat

  • Shim, Kwan-Seob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82-589
    • /
    • 2010
  •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s of emulsified sausage supplemented with ginseng saponin on lipid metabolism by applying a rat model. Four groups of 8 rats (5 wk old) were each allocated one of 4 treatments: basal feed (C), and basal feed with 20% sausage powder containing 0% (S0), 2% (S2) and 4% (S4) ginseng saponi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4 wk. The results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with different amounts of sausage (ST), but daily feed intake (p<0.01) and feed conversion (p<0.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s compared to C. Both total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01) reduced, by 45 and 46%, and 48 and 46%, in S2 and S4, respectively, compared to S0. In the liver, the total cholesterol level was dramatically (p<0.05)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sausage powder levels. In particular, S4 showed approximately 14% reduction compared to S0 (p<0.05). Liver triglyceride content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 where S2 and S4 resulted in 7% and 31% reduction. With regard to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liver tissues, palmitic acid (16:0), oleic acid (18:1), eicosanoic acid (20:1), and eicosatrienoic acid (20:3) did not differ among the STs, whereas both linoleic acid (18:2) (p<0.01) and linolenic acid (18:3) (p<0.001)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S2 compared to S0. The current data demonstrated that emulsified sausages supplemented with ginseng saponin effectively reduc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liver, and increase unsaturated and essential fatty acid in the liver. These data collectively imply that the sausage improved the overall lipid profile in a rat model, and can be further generalized to the result that emulsified sausage can improve lipid metabolism depending on the products' form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