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TD data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1초

동해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물리적 특성 및 분류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the Ulleung Warm Eddy in the East Sea (Japan Sea))

  • 신홍렬;김인권;김대혁;김철호;강분순;이은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2호
    • /
    • pp.298-317
    • /
    • 2019
  •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물리적 특성 및 동한난류와의 관계를 울릉분지 주변 해역에서 1993년부터 2017년까지의 CMEMS (Copernicus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ervice) 위성 고도계 자료 및 국립수산과학원(NIFS)의 CTD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동한난류와 연결되어 있는 분포는 전체 소용돌이 숫자의 81%를 차지하며,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동한난류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형태는 7%에 불과하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는 동한난류로부터 형성될 당시에는 그 내부에 고온, 고염의 대마난류의 해수특성을 보유하지만, 월동을 하는 경우에는 내부구조가 크게 변한다. 겨울에는 해수면 냉각에 의한 수직 대류에 의해 소용돌이의 내부에 $10^{\circ}C$, 34.2 psu의 표층 균질층이 만들어지며, 초봄에 최대 약 250 m 수심까지 깊어진다. 여름에는 소용돌이는 수심 100 m 이내의 상층에 성층구조, 하층에는 겨울철에 만들어진 균질층이 남아있는 구조로 변화한다. 1993년부터 25년 동안 62개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생성되었다. 매년 평균 2.5개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가 발생하였고, 평균 수명은 259일(약 8.6개월) 이었다.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평균 크기는 동서방향으로 약 97 km, 남북방향으로 약 109 km 이다. 위성 고도계 자료를 사용한 경우의 울릉 난수성 소용돌이의 평균 크기가 CTD 수온 단면 자료를 사용한 경우보다 1~25 km 작게 산정된다.

인공위성관측 해수면온도와 현장관측 수온의 비교를 통해 본 해양 피층-표층 수온의 차이 (Oceanic Skin-Bulk Temperature Difference through the Comparison of Satellite-Observed Sea Surface Temperature and In-Situ Measurements)

  • 박경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3-287
    • /
    • 2008
  • 1994년부터 2003년까지 임의로 선택한 달들에 대하여 NOAA/AVHRR 인공위성 자료와 해양 현장수온 관측 자료사이에서 획득된 845개의 일치점 자료를 활용하여 북동아시아 해역에서 해양 피층-표층 해수면온도 차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해양상층 수 m내에서의 해수면온도의 일간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일치점 데이터베이스는 낮과 밤, 표층 뜰개-선박 관측에 따라서 모두 네 가지 부류로 분류하였다. 주간표층 뜰개에 의한 수온 자료는 인공위성 해수면온도와 $0.56^{\circ}C$의 가장 작은 제곱평균오차를 보여서 위성관측 수온과 가장 잘 일치하였다. 주간 선박관측에 의한 CTD 수온 자료는 $1.12^{\circ}C$의 큰 제곱평균오차를 보여서 네 부류 중에서 가장 좋지 않은 정확도를 보였다. 위성 해수면온도와 현장 관측 해수면온도의 차이는 그 외에도 대기의 수증기 함량 효과, 연안으로부터 거리의 영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오차는 수 m 이내 수온의 수직적 구조의 일간 변화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는 표층 부이는 20 cm 정도, 선박 관측기기는 수 m현장에서 서로 다른 깊이의 수온을 관측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온 위성 SST는 어떤 경우에는 ${\pm}3^{\circ}C$의 큰 오차를 만들 수 있으므로 국지적 해양에서 해양 피층-표층 해수면온도 차이와 수온의 수직적 구조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위성 SST를 사용자의 목적에 맞추어 주의 깊게 사용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강화도 남단 조간대에서의 수온 및 염분 변동양상 분석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 Analysis in the Inter-Tidal Zone, South of Ganghwado, Korea)

  • 조홍연;구본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10-320
    • /
    • 2008
  • 조간대가 발달한 강화도 남단 여차리, 동막리, 동검도에서의 정점 CTD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온 및 염분변동 양상 및 원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간대 관측 자료는 조간대의 침수기간동안의 자료만을 이용하였다. 침수기간동안의 기온자료와 수온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상관관계가 매우 작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수온변화는 조위의 상승하강과 반대되는 양상을 뚜렷하게 보여 주었다. 반면, 장기적인 지하수 유입의 영향으로 조석주기 동안 해수에서의 염분경사는 해안선에서 바다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수온의 경우에는 해안선에서 바다방향으로 갈수록 수온이 감소)이 있기 때문에 수온과는 반대되는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조석의 침수기간동안의 염분변화는 침수시점을 기준으로 조위가 상승하여 고조에 도달할 때 까지 증가하고, 조위가 감소하여 노출되는 시점까지 다시 염분이 감소하는 뚜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한해협 서수도의 저층수에 대한 연구-1 - 저층 냉수의 유입 경로 - (On the Bottom Water in the Western Channel In the Korea Strait-1 - the inflow path of the bottom cold water -)

  • 윤종휘;강신현;조규대;문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4
    • /
    • 1992
  • 국립수산진흥원의 16개년(1973-1988)의 해양 관측 자료와 1989년 11월 6-11일 동안 한국해양대학 실습선으로 관측한 CTD 자료를 사용하여 대한해협 서수도에 존재하는 저층 냉수의 유입 경로를 조사하였다. 대한해협 서수도의 저층 수온은 하계에 가장 낮으며, 해에 따라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 대한해협 서수도에 저층 냉수가 존재하였던 해의 수온 분포에 의하면, 동해 남서부 해역에 있는 냉수가 울산 남동쪽 10-15마일 떨어진 해역을 거쳐 대한해협 서수도에 유입되며, 이 냉수는 이류하는 동안 그 특성이 다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황해 중동부해역에서 CTD와 음향탐지기로 관측한 내부파와 표층 혼합 (Internal Waves and Surface Mixing Observed by CTD and Echo Sounder in the mid-eastern Yellow Sea)

  • 이상호;최병주;정우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1호
    • /
    • pp.1-12
    • /
    • 2013
  • 황해 중동부 해역에서 2012년 9월에 동서방향으로 설정된 단면과 금강 하구 외측 저염수 지역의 정박지점에서 음향탐지기를 이용하여 음향 후방산란 구조(acoustic backscatter profile)를 측정하였으며 CTD로 물성구조도 관측하였다. 수심 50 m 부근 해역에 발달한 해저사주 주변에서 조석전선이 형성되었다. 이 사주의 동쪽에서 저조 때 음향탐지기로 관측된 내부파는 파고가 약 15 m, 평균파장이 500 m정도이며, 파형이 비선형 오목형 파(depression wave)였다. 이 내부파는 남동쪽으로 흐르는 조류가 사주를 지나면서 만든 조석내부파로 해석되었다. 약한 비선형성 단독 내부파 이론을 적용하였을 때 오목형 내부파들의 전파속도는 약 50 cm/s 정도이고, 주기는 16~18분 정도로 계산되었다. 강한 음향 산란층이 국지적으로 7 m 정도 상승된 지역의 해면에서 Dinoflagelates Cochlodinium에 의한 적조가 관찰되었다. 금강하구 외측 정박지점에서 한 시간간격으로 관측한 물성구조는 해륙풍과 조류에 따른 염분약층 깊이 변동을 보여 주었다. 창조류가 북동쪽으로 강하게 흐르고 육풍이 서쪽으로 7 m/s 이상 불었을 때에는 염분약층이 일시적으로 상승하였고, 음향구조 영상은 해면 하 약 5 m까지 복잡한 구조를 보였는데 포획과 관입 형태를 갖는 강하고 약한 산란신호의 기울어진 음향구조가 수 십초 간격으로 교대로 나타났다. 표면 혼합층에서의 이러한 음향구조는 황해 중동부 연안역에서는 처음으로 관측되었다. 음향 후방산란 영상과 탁도 자료는 창조류와 육풍에 의한 표층 취송류가 만드는 수직적인 유속차(shear)에 의해 맑은 하층수가 탁한 상층으로 관입 혹은 포획된 것임을 제시한다.

Anslysis of tool grip tasks using a glove-based hand posture measurement system

  • Yun, Myung Hwan;Freivalds, Andris;Lee, Myun W.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9-81
    • /
    • 1995
  • Few studies on the biomechanical analysis of hand postures and tool handling tasks exist because of the lack of appropriate measurement techniques for hand force. A measurement system for the finger forces and joint angles for the analysis of manual tool handling task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system consists of a force sensing glove made from twelve Force Sensitive Resistors and an angle-measuring glove (Cyberglove$^{TM}$, Virtual technologies) with eighteem joint angle sensors. A biomechanical model of the hand using the data from the measurement system was also developed. Systems of computerized procedures were implemented inte- grating the hand posture measurement system, biomechanical analysis system, and the task analysis system for manual tool handling tasks. The measurement system was useful in providing the hand force data needed for an existing task analysis system used in CTD risk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hand posture measure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an efficient and cost-effective solution to task analysis of manual tool handling tasks.s.

  • PDF

간호사의 근거중심실무역량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Clinical Nurses)

  • 김연숙;김지미;박미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3-153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EBP) among clinical nurses and to explo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TD) and organizational culture (OC) as possible predictors for competency in EBP.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baseline data for purpose of developing evidence-based OC to ensure safety of patients and to improv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in clinical setting. Methods: With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esign, a competency in EBP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 convenience sample of nurses (N=393) from a single general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The overall mean score for competency in EBP was $3.03{\pm}0.53$. Factors influencing competency in EBP were education (${\beta}=0.23$, p<.001), attendance at lectures on EBP (${\beta}=0.18$, p<.001), intellectual eagerness & healthy skepticism (${\beta}=0.27$, p<.001) among CTD, and hierarchy-oriented OC (${\beta}=0.14$, p=.005), which explained about 35%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Critical thinking and competency in EBP should be part of nursing education especially for undergraduate students as well as strengthening clinical practice by activation of EBP.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hierarchy-oriented OC, i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competency in EBP is difficult to accept. Its seemed to require further exploration.

In-situ and remote observation of Cochlodinium.p blooms and consequences of physical features off the Korean coast

  • Ahn Yu-Hwan;Shanmugam P.;Ryu Joo-Hy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553-556
    • /
    • 2004
  •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of toxic dinoflagellate Cochlodinium.p blooms and consequences of physical features in complex coastal ecosystems, off the southern Korean coast,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data obtained from SeaWiFS and AVHRR as well as in-situ observations. Hydrographic parameters measured using CTD sensors were used to elucidate physical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Cochlodinium.p blooms. The results show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chlorophyll-a (Chl-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reveal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Cochlodinium.p blooms and process underlying their evolution. Satellitederived Chl-a estimates appear to be potential in explicating the evolution, movement and distribution of Cochlodinium.p blooms in the enclosed bays of the South Sea. The existence of thromohaline waters offshore provid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rapid growth and subsequent southward initiation of Cochlodinium.p blooms that are influenced to flow on the offshore branch (OB) during September.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sun-induced chlorophyll-a fluorescence signal in the remote sensing fluorescence spectra and its high-intensity was recognized during the period of exponential growth and physical transport. Satellite-derived Chl-a concentration during September 1999 ranged between $3­60mg/m^3$ inside the Jin-hae and adjacent Bays and $1-6mg/m^3$ in offshore waters, with varying Cochlodinium.p abundances 1500 to 26000 cells $ml^{-1}.$ The closely spaced CTD surveys and satellite-derived SST give a complete overview on the initiation of Cochlodinium.p blooms in hydrodynamically active regions of the offshore southern East Sea by the influence of Tsushima Warm Current (TWC).

  • PDF

黃海水 와 循環에 관한 考察 (A Note on Water Masses and General Circulation in the Yellow Sea (Hwanghae))

  • 이흥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7-194
    • /
    • 1984
  • 黃海에서 水塊와 循環에 대해 간략히 檢討, 討議하였다. 水塊는 黃海冷水, 黃海溫流水, 沿岸水, 陽子江 稀釋수 네가지로 分類된다. 黃海冷水는 長技 海洋觀測資料와 최근 CTD로 資料부터 32.0~33.0%의 鹽分, 1$0^{\circ}C$이하의 水溫을 갖고 있는 것으로 定義할 수 있다. 海水循環은 南部海域에서 年中 反時計方向의 海水循環이 存在한다. 겨울철에는 中國沿岸을 따라 南向하는 沿岸流流가 北風, 北西風으로 인해 强하게 나타나며 濟州道 西部 海域에 강한 水溫.鹽分前線이 잘 보여주듯 黃海暖流는 弱해진다. 반면에 여름철에는 陽子江 釋수가 濟州道 쪽을 향해 北東쪽으로 擴張하며 中國 沿岸流가 상당히 減少하게 된다. 지금 까지 여름철 東南黃海에서 北向流를 黃海暖流로 分類하였으나 류의 延長이 아니라 沿岸水와 黃海冷水사이 境界面을 따라 形成되는 密度流로 보는 것이 더욱 妥當하다.

  • PDF

새만금해역에서 밀도성층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Density Stratification in the Saemangeum Waters, Korea)

  • 김태인;이형래;장경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39-352
    • /
    • 2006
  • Seasonal and tidal variations of density stratification in the Saemangeum waters are investigated based on synoptic CTD observations between July 2003 and September 2005. CTD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ose obtained after closing the dike No. 4 and before closing the two final gaps, the Sinsi and the Garyeok, on the Saemangeum tidal harrier. A total of 19 field campaigns comprehend a wide temporal spectrum, that is, few seasons, spring and neap tides, and high and low waters. In addition, ADCPs were anchored and CTDs were cast at three stations for 25 h in July 2005. Water columns are vertically homogeneous in autumn and winter. The vertical homogeneity persists in spring but with an occasional weak stratification in i:he nor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Increased reshwater runoff tends to stabilize the water columns and strong density stratification is established in summer. The mean potential energy anomaly (PEA) in summer used as a stratification parameter is the largest $(27.7\;J\;m^{-3})$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where the Geum River discharge dominates, the smallest $(16.9\;J\;m^{-3})$ is in the inner area of the barrier, in between the two $(21.6\;J\;m^{-3})$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Whereas the stratification is generally strengthened in summer, strong winds or large tidal currents over the shallow depths frequently destratify the water column near the mouth of river runoff inside the tidal barrier. Periodic stratification, the development of stratification on the ebb and its breakdown on the flood, occurs in the mid-area inside the barrier induced by the tidal straining, which can also be found in the results of 25 h obser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