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QR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Cissus quadrangularis Extracts Decreases Body Fat Through Regulation of Fatty acid Synthesi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Lee, Hae Jin;Lee, Dong-Ryung;Choi, Bong-Keun;Park, Sung-Bum;Jin, Ying-Yu;Yang, Seung Hwan;Suh, Joo-W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49-56
    • /
    • 2016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 of Cissus quadrangularsis extracts (CQR-300) and its molecular action mechanism on obese mice induced high-fat diet (HFD). To induce the obesity, mice were fed a HFD for 6 weeks and then fed HFD only or HFD with CQR-300 at 50 and 200 mg/kg. Then, body weight gain and white adipose tissue weights were measured. We investigated the reduction in body fat and the regulation of fatty acid synthesis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real-time PCR with Western blot, respectively. In vitro study, CQR-300 inhibited pancreatic lipase activity. The CQR-300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ody weight gain and adipocytes size as well as white adipose tissues weights in HFD-induced obese mice. Furthermore, CQR-300 reduced the body fat and fat mass with regulating of adipose tissue hormones as leptin. Treatment with 50 mg/kg CQR-300 showed effectively lower expression levels of adipogenesis/lipogenesis related genes and proteins such as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SREBP-1c), and fatty acid synthase (FAS) in white adipose tissue (WAT) as compared with the HFD fed only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QR-300 has an anti-obesity effect via inhibition of lipase activity, decrease the body fat mass by regulating the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related genes and proteins in epididymal adipose tissue with evaluate body fat reduce in the HFD-induced obese mice.

Two-Stage Penalized Composite Quantile Regression with Grouped Variables

  • Bang, Sungwan;Jhun, Myoungshic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0권4호
    • /
    • pp.259-270
    • /
    • 2013
  • This paper considers a penalized composite quantile regression (CQR) that performs a variable selection in the linear model with grouped variables. An adaptive sup-norm penalized CQR (ASCQR) is proposed to select variables in a grouped manner; in addition, the consistency and oracle property of the resulting estimator are also derived under some regularity condition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stimation and variable selection, this paper suggests the two-stage penalized CQR (TSCQR), which uses the ASCQR to select relevant groups in the first stage and the adaptive lasso penalized CQR to select important variables in the second stage. Simulation studies are conducted to illustrate the finite sampl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노인상담에 대한 노인들의 내적 지각 탐색 - CQR-M 방식을 활용하여 - (Searching for the Elderly's Inner Perception of Elderly Counseling - Using the CQR-M method-)

  • 김단비;주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69-384
    • /
    • 2020
  • 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지각 및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장벽, 상담에 대한 기대를 노인들의 직접적인 보고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에 거주하고 있는 56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 수정본(CQR-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민거리에 대한 대처 방법, 상담에 대한 느낌이나 생각, 상담에 대한 동기, 상담이 꺼려지는 이유, 상담자에 대한 기대, 상담효과에 대한 기대라는 6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례관리 및 상담영역의 확대, 진정성 있는 인간적 관계 형성, 활동을 병행한 상담 방식 고려, 전문성 강화 등 노인의 상담 숙고 및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노인상담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장애인의 일상생활 어려움에 관한 합의적 질적(CQR) 연구 (Everyday life difficult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quality (CQR) research)

  • 이현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61-570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일상생활 경험에서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재가 장애인 8명을 심층면접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3개의 범주에서 14개 영역 및 그에 따른 48개의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을 하였다.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심리 정서적 경험의 어려움은 자신감 결여, 건강문제 염려, 결혼(재혼) 및 이성문제, 가족관계 어려움, 외로움, 노후문제 염려로 나타났다. 사회 경제적 경험의 어려움은 관계의 어려움, 생계문제, 출산 양육문제, 직장생활 어려움, 외출 시 번거로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대처하는 과정으로는 종교기관 모임, 지역사회체계 이용, 주변사람들의 도움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장애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서비스와 지역사회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and Recovery Process of the Korean Depression)

  • 주은선;조영임;김단비;강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05-526
    • /
    • 2017
  • 본 연구는 우울증을 겪은 한국인들의 우울증 경험을 있는 그대로 충분히 드러내어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경험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인의 우울증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울증을 경험하고 회복한 13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증 이전 삶, 우울증 경험, 우울증 회복과정, 우울증 회복 후라는 4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각 영역은 관계, 취약한 환경, 심리의 3개 범주, 주관적 경험, 타인 인지 가능의 2개 범주, 회복의 도움, 회복의 걸림돌, 자발적 회복노력의 3개 범주, 회복의 결과, 조언, 경험을 통한 변화의 3개의 범주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ADHD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 of the Child with ADHD)

  • 오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52-264
    • /
    • 2019
  • 본 연구는 ADHD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통한 본질의 의미를 탐색하여 양육 경험들을 영역과 범주로 구분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12명의 ADHD 어머니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질문지로 2~3회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현상을 기술하고 결론을 귀납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채택하였다. CQR을 통해 ADHD 어머니들의 다양한 경험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으며 합의 과정을 통해 12명의 사례를 종합하여 수치화하여 전체적인 패턴과 특수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11개의 영역들과 51개의 범주들이 도출되었다. 11개의 영역들은 'ADHD 증상에 대한 무지', 'ADHD 진단 마주하기', 'ADHD 진단 후 주변 반응', 'ADHD 진단 수용', '약물치료에 대한 양가감정', 'ADHD 진단 후 양육 감정', 'ADHD 적극적 치료 개입', '가족의지지', '사회적지지', '사회적 인식변화', '성숙한 부모'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ADHD 아동에 대한 조기의 치료 및 개입이 중요하며 ADHD 진단 수용 및 부모교육을 통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중재가 ADHD 자녀와 어머니의 삶을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근거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 어려움에 관한 질적(CQR)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Multicultural Families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fficulties Life in Korea)

  • 이현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1호
    • /
    • pp.143-176
    • /
    • 2014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들의 한국생활 경험의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에 거주하며 다문화 가정을 이룬 여성결혼이주자 8명을 선택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3개의 범주에서 12개 영역 및 그에 따른 49개의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을 하였다.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에서 심리 정서적 경험의 어려움에서 배우자와 관계, 시댁과의 관계, 의사소통 문제, 표현의 어려움, 정서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사회 경제적 경험의 어려움은 차별적 시선, 경제적 어려움, 다문화가정으로서 위축감, 생활 관습 문화 차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대처하는 과정으로는 자조모임, 다문화프로그램 참여, 지역사회체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다문화 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이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 서비스와 지역사회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인간중심 상담과 여성장애인 동료상담의 적용가능성 연구 (Research on Possible Application of Person-centered Counseling and Handicapped Women Peer Counseling)

  • 주은선;이성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2-35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 자립 생활센터의 장애인 동료 상담과 인간중심 상담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료 상담 업무를 맡은 13명의 동료상담가를 대상으로 9회기의 인간중심 상담을 진행한 후, 심층 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1) 있는 그대로의 수용, (2) 상담자의 변인, (3) 한계점 및 아쉬운 점으로 3개의 영역이 도출되었고, 각 영역 가운데 (1)은 자신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의 2개 범주, (2)는 불편함을 감수하면서 자신을 수용하게 됨, 문제를 바라보는 태도의 변화, 자신이 인식하지 못했던 부분과 바람을 알아차리고 수용함,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한계와 잠재력을 인식함의 4개 범주, (3)은 현재 삶을 돌아보는 계기, 앞으로의 삶에 대한 태도를 정함으로 2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점복자를 찾아가는 여성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Visit a Fortune Teller -focused o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 채가영;주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00-6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30대의 젊은 여성들이 점복자를 찾아가는 심리적 동기와 점복 경험을 통해 얻는 심리적 이득을 알아봄으로써 상담에 보완할 문화적 요인을 찾고, 상담에의 접근을 방해하는 요인을 함께 알아봄으로써 한국인들에게 보다 적합하고 편안한 상담의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방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들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은 심리적 지지를 받고 싶은 내적 동기를 가지고 점복자를 찾아가고, 그러한 심리적 요구를 점복을 통해 채우면서 상담에서 얻을 수 있는 심리치료적 효과를 경험하며, 문제해결의 대안을 얻고 있었다. 한국 내담자들의 즉각적인 문제해결과 방향제시에 대한 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좀 더 지시적이고 적극적인 개입을 해줄 필요가 있고, 운명의 수용을 통해 내담자가 겪는 고통에 대해 억울한 마음에서 벗어나 극복의 의지를 갖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심리적 요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전문적인 상담서비스로 이어지지 않는 주된 이유는 상담이 아직은 우리 사회에서 보편화되어 있지 않아 정보를 찾기 쉽지 않고, 여전히 상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W교육에 대한 대학 비전공자의 인식과 경험 탐색: CQR을 중심으로 (Exploring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non-majors about SW education using CQR)

  • 오보라;이정은;이정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95-413
    • /
    • 2019
  •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SW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에서 SW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 36명의 성찰일지를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응답에서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 범주나 50% 이상의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범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변동적인 범주를 핵심개념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은 각각 57개와 7개의 변동적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비전공자 학생들의 SW교육에서의 경험은 생소함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과 학습활동을 통해 SW과의 관련성과 유용성을 인식한다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SW교육에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의 경우 초보자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비전공자 대상의 SW교육의 방법은 세심한 수업 운영전략과 상호작용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