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NG bu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9초

천연가스(CNG)버스 보급정책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연구 (Economics Approach on Validity of CNG Bus Promotion Policy)

  • 신원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14-123
    • /
    • 2018
  • 우리나라의 대기 질 악화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수송부문에 있어서 경유자동차를 대체하는 친환경차량의 보급 필요성을 인식하여, 지난 2000년대부터 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버스의 보급정책을 실시하여 왔다. 이에 따라 수도권 및 대도시를 중심으로 CNG버스의 보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그러나, 2014년도 이후 CNG버스의 증가세가 감소하고 경유버스의 감소세가 둔화되는 등 부침을 겪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CNG버스 보급정책의 지속적 추진에도 불구하고 CNG버스 구매 량이 꾸준히 증가하지 못했던 원인과 관련하여 그간 선행연구에서 추정에 그쳐왔던 '경유와 CNG의 연료비 차이가 CNG버스 보급량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정부 부처간 서로 다른 정책목표간 조화 필요성을 제시하는 한편, 경유대비 CNG의 연료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CNG 버스 보급정책의 타당성을 제고하였다. 이는 앞으로 정부의 LNG화물차 및 무공해차량(Zero Emission Vehicle)을 대상으로 한 친환경자동차 보급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도 새로운 기준으로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CNG버스 내압용기 사용 및 안전관리 실태 분석 (Analysis on Actual Condition of Usage and Safety Management for CNG Pressure Vessel in Bus)

  • 김의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14
    • /
    • 2019
  • There are about 38,977 CNG cars and 247 natural gas vehicle charging stations in ope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urban air environment. With the introduction of natural gas vehicles, the atmospheric environment, which was the main cause of air pollu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remarkably improved. However, unlike these positive effects, CNG bus accidents, which occurred more than 10 times since 2005, have caused concern among the majority of citizens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a judgment on the feasibility and future direction of CNG pressure vessel safety management that can safeguard the safety of CNG pressure vessel at the time of start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s production and use of CNG vessel,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management of CNG bus transportation companies & charging stations and then proposes measures to prevent accident recurrence and safety management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CNG버스의 연료탱크 설치방법에 따른 응력과 유동해석 (Stress and Flow Analysis due to Installation Method of Fuel Tank at CNG Bus)

  • 조재웅
    • 한국기계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5-21
    • /
    • 2011
  • The safety at this study is investigated by flow or stress analyses due to configuration or installation direction of fuel tank in the existing CNG bus. In case of the lower ceiling with sharp type, the equivalent stress due to the explosion of fuel tank is less than the type of flat or arc. it becomes safer on passenger. In case of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fuel tank in the existing CNG bus, the stress applied on the lower ceiling at transverse direction becomes less than at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more stable on the safety of passenger. The harm on the explosion accident can be prevented by use of the analysis result at this study.

HCNG 버스의 연비와 CO2 배출특성 (Fuel Consumption and CO2 Characteristics of HCNG Bus)

  • 한정옥;김용철;이영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25
    • /
    • 2017
  • 압축 천연가스에 수소를 혼합한 HCNG 연료를 사용하는 HCNG 버스에 대해 WHVC 차량시험 결과를 토대로 연료 경제성 및 $CO_2$ 배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동급 CNG 버스 및 디젤버스 시험결과와 비교하여 HCNG 버스의 연비 개선효과와 $CO_2$ 저감효과를 고찰하였다. $CO_2$ 배출특성은 탄소배출계수에 따른 연료효과와 연비에 의한 효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HCNG 버스는 CNG 버스 보다 연비는 11.5% 개선되었고 디젤버스와는 동등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_2$ 배출 특성으로 HCNG 버스는 CNG 버스에 비해 20.4% 개선효과가 있고 디젤버스에 비해 34.5%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산화탄소 배출특성은 연료성분에 따른 탄소배출계수와 엔진성능에 따른 연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충청남도에서 CNG 버스로의 전환을 위한 비용-편익 분석 (Cost-Benefit Analysis for the Replacement with the CNG Buse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 최연석;박병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7-425
    • /
    • 2013
  •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number of increasing cars is attributable to an explosive increase of the vehicle emissions. In this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 population and local transportation characteristics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st-benefit analyses are performed to evaluate whether the CNG bus conversion gives what kind of effec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expansion and distribution plan of CNG bus is proposed for South Chungcheong Province, and the local supply policy model is also proposed considering the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the economic situation of CNG charging infrastructure and the small transportation companies.

서울의 CNG버스를 전기버스로 대체했을 때 환경 개선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on Replacing CNG Bus in Seoul with Electric Bus)

  • 최병주;나혜중;최욱돈;김종해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821-827
    • /
    • 2020
  •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대도시의 대기 오염원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디젤이나 CNG버스 등 대중교통의 내연기관 차량은 매일 총 주행거리와 운행시간이 길고 차량 수량이 많기 때문에 배출가스 저감 대책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전기버스의 도로 주행시험을 통한 연료소모율(km/kWh)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근거로 버스 한 대당 내연기관과 전기버스에서 발생되는 CO2배출량을 계산하였다. 전기버스를 시내버스로 대체할 경우 CNG버스 대비 예상되는 이산화탄소 저감 등 환경개선 효과와 더불어 전기버스로 대체가 확대될 경우 부가적인 효과를 분석하였다.

CNG버스 복합재 압력용기 파열사고에 관한 법공학적 연구 (A Forensic Engineering Study on Bursting Accident of Composite Pressure Vessel in CNG Bus)

  • 김의수;김진표;박남규;김윤회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5-21
    • /
    • 2008
  • The bus using compressed natural gas(CNG) trend to be extended in use internationally as optimal counter-plan for reducing discharge gas of light oil due to high concern about environment. But, Composit pressure vessels(CPV) to be equipped with CNG bus is always involved in the point that safety accidents happen due to having compressed natural gas. In this report, we analysis the cause of CPV bursting accident by reviewing design and manufacture factor and suggest preventive measure through this case.

부산지역 경유버스를 CNG버스로 대체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및 변화 분석 (Estim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s for the Conversion of Diesel to CNG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 방진희;강윤희;송상근;김유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1-251
    • /
    • 2012
  • The emissions of several air pollutants ($NO_x$, CO, VOCs, etc.) for the replacement of all diesel buses by Compressed Natural Gas (CNG) buses were estimated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BMA). These emissions were calculated from emission factors considering the different driving speeds with bus routes, distance traveled, and deterioration facto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categories of fuel type were selected: (1) the combination of diesel (65%) and CNG buses (35%) (DSL+CNG case), (2) all diesel buses (DSL case), and (3) all CNG buses (CNG case). The emissions of $NO_x$ and CO in the CNG case were estimated to be significant decreases (by about 50% and 98%, respectively) relative to the DSL case. Conversely, the emission of VOCs (980.7 ton/year) in the CNG case were a factor of 3.3 higher than that (299.8 ton/year) in the DSL case. In addition, the diurnal variations of emissions between two city buses (e.g. diesel and CNG) and all other vehicles were distinctly different because the two city buses operate at a regular time interval. Our overall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pollutant emissions from the CNG buses can exert less influence on air quality in the target area than those from the diesel buses.

압축천연가스 자동차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제언 (Suggestion for Safety Improvement of Compressed Natural Gas Vehicle)

  • 김영섭;박교식;김태옥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7
    • /
    • 2012
  • 지난 2010년 8월 9일 발생한 압축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 CNG) 버스의 내압용기 파열사고 이후 정부는 CNG자동차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 내용은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CNG자동차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관련 법령, 검사 인증기준 등 안전관리제도를 검토하였고, 더불어 CNG자동차 관련 종사자(검사원, 정비원)에 대한 교육훈련 등도 검토하였다. 주요 검토내용으로는 CNG자동차용 용기형태, CNG용기의 설치위치, 압력방출배관의 재질 및 설치형태, 배관접속 및 접합방법, 가스누출 경보시스템, 긴급차단밸브 및 작동 스위치, CNG용기 보호커버, CNG 자동차 충전사업자의 공급자 의무사항, CNG자동차의 정기검사제도, CNG자동차의 일상점검 제도, CNG자동차 종사자의 교육훈련제도, CNG버스 운송사업체의 안전관리자 선임제도 등이다. 위의 주요 항목들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여 CNG자동차의 안전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CNG 충전소의 USN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USN in CNG Station)

  • 이헌석;이동혁;양재모;오정석;신준호;유진환;박철환;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6-61
    • /
    • 2011
  • 국내 대기오염의 개선을 목적으로 2006년 6월부터 천연가스 차량이 보급되었다. 천연가스 차량의 보급은 대기환경 개선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이러한 결과에 힘입어 환경부는 2012년까지 시내버스의 약 90%를 CNG 버스로 대체할 예정이다. 하지만 CNG 버스에서 발생한 사고로 인해 시민들의 천연가스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하고, 이에 따라 CNG 충전소의 보급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CNG 충전소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규 센서를 설치하였다. 신규센서의 설치시 데이터 통신선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신규 센서 설치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USN 기술의 데이터 송수신사용하였고 모니터링에 대하여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