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유아에서 분리한 Bifidobacteria에 의한 발효유의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증가 (Increase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s in Milk by Fermentation with Bifido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Infants)

  • 이효구;권영태;강혜순;윤칠석;정재홍;김인환;정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48-1352
    • /
    • 2004
  • 인체의 장관에서 유래한 200여 Bifidobacteria 균주를 대상으로 CLA 생산능을 조사한 결과, 공시균주 1종과 국내의 유아로부터 분리한 12개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A를 CLA로 전환하였으며, 각 CLA 생산 균주들에 의한 CLA 이성체는 90% 이상이 cis-9, trans-11 CLA이었다. CLA 생산능과 전환율이 가장 높은 Bifidobacterium sp. KHU 141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을 때, 발효유의 CLA 함량은 대조구보다 39.6 mg/100 g 증가하여 CLA의 생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발효유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균주로 나타났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fermenter에서의 발효유 제조 시 lauric acid, myrist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LA 함량은 감소하고 CLA 함량은 증가하여 배양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각각 소비된 LA의 86.0%및 84.8%가 CLA로 전환되었다. Bifidobacterium sp. KHU 141에 의한 CLA 생산은 배양 24시간과 48시간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fermenter에서의 CLA 생산능도 bottle이나 시험관을 이용하여 발효한 경우와 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Mice에서 CLA의 생물학적 활성이성체의 투여가 면역반응과 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logically Active Isomer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Immune Response and Body Composition in Mice)

  • 최미현;김진영;이병한;임좌진;정재홍;정병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6-73
    • /
    • 2003
  • Numerous physiological effects are attributed to conjugated linoleic acid(C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se effects with respect to the cis-9, trans-11 and trans-10, cis-12 CLA isomer. Both isomers are natural products. The c9,t11-CLA isomer is the principal dietary form of CLA, but the concentrations of this isomer and the t10,c12-CLA Isomer in dairy products or beef vary depending on the diet fed to cows or steers, respectively. The influence of dietary CLA isomers on the immune response was examined, body weight and weight ratio of organ to body of Balb/C mice.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8 mice. Balb/C mice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1% CLA (c9,t11-CLA isomer : t10,c12-CLA isomer = 2:3) (Group 1), 1% CLA (c9,t11-CLA isomer t10,c12-CLA isomer : 1:1) (Group 2), 1% safflower oil (Group 3) or nothing (Control) for 3 weeks. After 3 weeks, serum, gut lumen lavage, fat, liver, spleen and thymus were taken. Measurement of total immunoglobulin were executed using sandwich ELISA. Serum levels of IgA and IgM showed that group fed with t10,c12-CLA isomer significantly were higher than group fed with c9,tl1-CLA isomer. In addition serum level of IgG showed that group fed with t10,c9-CLA isomer significantly were lower than group fed with c9,tl1-CLA isomer. However,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erum IgE and secretory IgA. Weight ratio of spleen to bod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ratio of liver and thymus to body, tl0,c9-CLA isomer significantly were respectively higher than group fed with c9,t11-CLA isomer. In weight ratio of fat to body, tl0,c9-CLA isomer significantly were respectively lower than group fed with c9,tl1-CLA isomer. In conclusion, t10,c12-CLA isomer produced a situation favorable for immunopotentiative effect and body composition. But it should be protected against hepatomegaly induced lipid accumulation in liver.

Conjugated Linoleic Acid를 급여한 돼지의 호중구 탐식능 증강 (Supplemen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Increases Neutrophil Phagocytosis in Pigs)

  • Sang-chul, Han;Ji-houn, Kang;Sung-mok, Son;Chung-soo, Chung;Chul-young, Lee;Mhan-pyo, Ya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7-442
    • /
    • 2003
  • CLA를 급여시킨 돼지에 있어 말초 혈액 세포의 변화와 탐식세포의 탐식반응을 조사하였다. 100일령, 평균체 중 80kg인 거세 수퇘지에게 10t-l2c CLA와 CLA mixture를 각각 사료 중에 5% 첨가하여 총 4주간에 걸쳐 자유급여 시켰다. 급여 전 (0주), 급여 2주후, 4주후 그리고 급여 중지 후인 5주차에 각각 혈액세포 수치(PCV 백혈구수 및 백혈구 감별계산치)의 변화와 탐식세포의 탐식활성을 측정하였다. CLA의 급여 따른 PCV의 수치에 있어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10t-l2c CLA 또는 CLA mixture가 함유된 사료를 급여한 돼지에 있어서 CLA를 급여하지 않은 돼지에 비해 백혈구수 특히 호중구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말초혈액 단핵구세포(mononuclear cells; MNC)와 다형핵백혈구(polymorphonuclear cells; PMN)의 탐식능를 유세포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10t-l2c CLA 또는 CLA mixture 급여와 상관없이 MNC와 단구세포들(monocyte-rich cells)의 탐식능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PMN의 탐식 활성은 CLA 무급여 대조돼지들에 비해 CLA 급여군은 2주에서 5주차에 걸쳐 증가된 탐식능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돼지에 CLA 급여는 호중구수 증가와 호중구 탐식능 증가를 유도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생체방어 증강을 위해 CLA를 임상적으로 투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Conjugated Linoleic Acid(CLA)가 우육패티의 지방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Oxidation of Lipid in Beef Patties during Cold Storage)

  • 예병화;주선태;이제룡;신택순;김영환;이정일;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1-319
    • /
    • 2000
  • 본 연구는 다기능성 지질신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CLA를 육제품에 첨가하였을 때 제방의 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육말기 돼지 사료에 LCA를 5% 첨가하여 생산한 동육 등심을 4$^{\circ}C$ 냉장고에에서 11일 동안 저장하면서 CLA 함량에 따른 지방산화정도(TBARS)에 대한 단순 상관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CLA를 우욱 패티 제조에 0.05, r과 2%로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후 4$^{\circ}C$에서 13일동안 저장하면서 pH, TBARS,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을 조사하였다. TBARS의 단순상관도는 저장 11일째에 -0.804(p<0.001)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CLA가 육내에 축적이 되면 저장 기간이 경과 할수록 지방산화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가 육내에 축정이 도면 저장 기간이 경과 할수록 지방산화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가 축정된 우육 패티를 soc장저장하면서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대조구에 비햐여 CLA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였으며,또한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옥 pH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p<0.05). TBARS의 변화는 전 처리구에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EK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CLA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였으며 (p<0.05), EH한 CLA펌가량이 증가할수옥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보여 CLA 가 항상화작용이 있음을 알수 있었다. CLA 우육 패티의 지방산 조성은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옥 상대적으로 다른 종류의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는 겨과를 보였다. 저장기간이 경과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CLA 함량의 변화는 CLA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아무런 변화가 없어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이라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CLA는 지방산화를 억제시켜 산화 안정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CLA를 육제품 제조시 첨가할 경우 품질 보존 효과가 잇음과 동시에 고기능성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리아 사료된다.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 첨가가 돈육 패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dditiv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 주선태;이정일;하경희;하영래;박구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2-68
    • /
    • 2000
  • 본 연구는 CLA를 이용한 다기능성 육제품의 제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첨가하는 지방의 일부를 CLA로 대체하여 돈육 patty를 제조하여 실험하였다. 제조된 patty를 $4^{\circ}C$의 냉장온도에서 11일 동안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성질, 지방산 조성, 콜레스테롤 및 CLA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단백, 조지방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조회분과 함유수분을 CLA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BARS는 대조구에 비하여 CLA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Nitrite 함량은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CLA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CLA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CLA 축적량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patty 제조시 CLA 첨가는 제품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제품의 저장기간의 연장,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nitrite 함량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어 고급 patty생산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Comparison of Diglyceride,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Diglyceride-Conjugated Linoleic Acid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 Jeong, Jae-Hwang;Lee, Sang-Hwa;Hue, Jin-Joo;Lee, Yea-Eun;Lee, Young-Ho;Hong, Soon-Ki;Jeong, Seong-Woon;Nam, Sang-Yoon;Yun, Young-Won;Lee, Beom-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5-150
    • /
    • 2007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는 전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시키므로서 포유동물에서 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 연구의 목적은 diglyceride(DG), CLA, 및 DG-CLA가 전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세포생존측정,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활성측정, 지방축적에 대한 Oil red O 염색을 실시하였다. DG, CLA, 및 DG-CLA의 처치는 전지방세포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그러한 효과는 CLA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이들 시험물질의 $100 {\mu}g/ml$ 농도에서 DG, CLA, DG-CLA는 유의적으로 GPDH의 활성을 낮추었으며(p<0.05), 이러한 결과는 전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이들 시험물질은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지방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더욱이 DG-CLA가 DG 혹은 CLA보다 분화 및 지방축적에 대해 더 강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G-CLA의 섭취는 사람에서 체중조절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시판 요구르트 제품 중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분석 및 상업용 Dairy Starter에 의한 CLA 생산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s in Commercial Yoghurts and Production of CLA by Commercial Dairy Starter Cultures)

  • 이효구;권영태;강혜순;윤칠석;정재홍;김형국;김인환;정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43-1347
    • /
    • 2004
  • 국내에서 시판 중인 요구르트의 CLA 함량과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의 CLA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시판 요구르트 중의 CLA 함량은 4.1∼14.8 mg/100 g이었으며, 원료 우유사용비율이 낮아질수록 제품에 함유된 CLA 함량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LA 함량과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의 함량, CLA 함량과 지방함량간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 67균주 중 L. acidophilus 1종, L. casei 1종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 3종 등 모두 5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inoleic acid로부터 CLA를 생성하였다 또한 생성된 CLA는 cis-9, trans-11 이성체가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들을 이용한 발효유는 대조구에 비해서 1.7∼2.6 mg/100 g의 CLA 함량의 증가를 보였으며, CLA 전환율은 6.1∼8.6%였다.

사료에 Conjugated Linoleic Acid 첨가수준이 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y of Chicken Meat)

  • 김영직;윤용범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1-255
    • /
    • 2008
  • 본 연구는 CLA를 육계사료에 첨가하여 그 급여수준(0, 0.5, 1.0, 1.5 및 2.0%)에 따라 CLA를 급여한 계육의 일반성분, 관능평가, pH, TBARS, 가열감량, 보수력, 전단력 및 육색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육계 200수(Arbor Acre Broiler, male)를 공시하여 사양한 후 대퇴부위 근육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계육의 일반성분 중에 조단백질 함량은 1.5%와 2.0%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p<0.05), 수분, 조지방 및 조회분은 CLA 급여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관능평가 결과 연도, 다즙성, 육향의 유의적인 차이는 관능검사요원에 의해 감지되지 못하였다. pH는 대조구보다 CLA 급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TBARS는 CLA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고, CLA급여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어(p<0.05), CLA는 계육의 저장성의 향상 가능성이 보였다. 보수성과 전단력 및 육색은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CLA를 급여함으로서 육질 변화 없이 2%까지 CLA 급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차후 CLA 급여에 의한 계육의 CLA축적에 관한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 첨가수준이 육계의 생산성, 도체특성 및 근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uscular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iler)

  • 김영직;김병기;윤용범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1-456
    • /
    • 2008
  • 본 연구는 CLA를 육계사료에 첨가하여 그 급여수준(0, 0.5, 1.0, 1.5, 및 2.0%)에 따라 육계의 생산성과 CLA를 급여한 계육의 도체특성, 혈청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육계 200수(Arbor Acre Broiler, male)를 5주 동안 공시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CLA급여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다. 도체특성중 도체율뿐만 아니라 도체중에 대한 간, 대퇴부위, 흉심 및 북채의 비율은 CLA를 급여함으로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복강지방 비율은 CLA 급여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한 감소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혈청콜레스테롤은 CLA급여량이 증가할 수록 총콜레스테롤과 LDL-C은 감소하고, HDL-C은 증가하였다(p<0.05). 그리고 지방산 조성 변화는 CLA를 급여함에 따라 palmitic acid는 증가하고,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arachidonic acid는 감소하여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CLA의 이성체함량도 CLA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계육에 CLA 축적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2%까지 급여도 가능하지만. 지방산조성의 변화가 심하므로 CLA도 축적시키고 지방산 변화도 최소화할 수 있는 1%의 급여수준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jugated linoleic acid-triglyceride가 함유된 프레스햄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 Containing Conjugated Linoleic Acid-Triglyceride)

  • 이정일;주영국;강근호;양한술;정진연;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109-120
    • /
    • 2007
  •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으며, CLA- TG는 sodium methoxide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일반적인 프레스햄을 대조구로 설정하고, CLA-TG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4 처리구로 설정하였으며, 첨가되는 등지방 중량에 대하여 처리구별로 5%(처리구 1), 10%(처리구 2), 15%(처리구 3), 20%(처리구 4)를 대체하여 프레스햄을 제조한 후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에서 1, 7, 14, 21 및 28일간 저장하면서 전단가,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화 및 지방산조성 변화 등을 조사하여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단가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21일까지 대조구가 CLA-TG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전단가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단가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항목인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와 CLA-TG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제품의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화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CLA-TG 처리구가 낮았으며, 특히 저장 7, 21, 28일째는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산화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화 값의 변화는 대조구와 CLA-TG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TG 처리구가 C14:0~C20:4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은 CLA-TG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TG 처리구에서는 CLA-TG 대체수준이 증가할수록 제품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CLA-TG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CLA-TG의 첨가는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 및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