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O capabiliti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1초

제품 전략과 CEO 특성이 벤처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차별화된 효과: 조직수명주기 단계의 조절 역할 (Differentiated Effects of Product Strategy and CEO Characteristics on Venture Firms' Growth: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Life Cycle Stage)

  • 김정호;한정희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1호
    • /
    • pp.23-58
    • /
    • 2014
  • 본 연구는 규모가 작고 역동적인 벤처기업의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 중에서 기업의 전략적 행동이나 경영자의 경영 역량과 관련된 제품 전략과 CEO(최고경영자) 특성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벤처기업의 표본을 이용하여 FGLS 추정법에 기반한 회귀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제품 전략과 CEO 특성은 기업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다양화와 마케팅을 강조할수록, 변화혁신을 완화할수록 성장률이 높았다. 그리고 CEO가 경영지배력을 가진 창업자가 아니거나, 현재 사업관련 분야에서 실무경험이 많을수록 성장률이 높았다. 또한, 연구개발 위주 업무경력보다 일반경영 중심의 업무경력을 가진 CEO가 관리하는 기업이 성장률이 더 높았다. 제품 전략과 CEO 특성이 벤처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이런 효과들은 조직수명주기 단계에 따라서 달라졌다. 창업기 및 초기 성장기에 있는 기업에서 제품의 마케팅 강조 전략과 CEO의 일반경영 중심 업무경력이 기업 성장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강화된 반면, 성숙기 및 정체기에 있는 기업에서 이런 제품 전략과 CEO 특성이 기업 성장에 미치는 효과가 부정적이거나 유의하지 않았다.

The Impact of Franchise Educ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and CEO Competency

  • Jun-Young Lee;G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3호
    • /
    • pp.24-3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vide franchise education and restaurant education programs into three factors: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techniqu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fter completing the franchise curriculum, we will identify what educational programs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CEO's capabilities. A total of 99 copies were used as statistical analysis data by conducting a survey of those who completed the training from May 01 to May 15, 2023. The survey used the Likert 5-point scale, and for data analysis, hypothesis verification was condu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mographic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23.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l three factors of franchise education are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and competency. Therefore, among franchise educa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be faithful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use appropriate educational techniques, and prepare an educational environment well.

CEO 가치관 및 컨설턴트 역량이 전략컨설팅 성공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EO Values and Consultant Capabilities on Strategic Consulting Success and Performance)

  • 송명도;유연우;김정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15-23
    • /
    • 2022
  • 본 논문은 CEO의 가치관, 컨설턴트의 역량, 근로자와의 가치일치성이 전략컨설팅 성공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연구하였다. 설문을 통한 180부의 자료로, 요인분석,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 연구 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혁신성과 관리역량은 가치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치일치성은 완성도와 활용도에, 완성도와 활용도는 만족도와 경영성과기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벤처기업의 창업자특성과 역량, 기업전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Affects of Characteristics of CEO, Competence on Corporate Strateg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enture Companies)

  • 이상백;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145-1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벤처기업의 조직유효성으로 직무몰입, 조직몰입, 이직의도로 구성하고 선행요인으로 창업자특성, 기업역량특성, 전략특성으로 설정하고 규명하기 위해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수도권 및 비수도권 총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역량특성, 기업역량 등이 조직유효성 하위요소로 구성한 직무몰입,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략특성 역시 창업자 및 기업역량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자의 신사업기회 발견능력과 경쟁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CEO's Discovery Competency for New Business Opportunity, Competitive Strategy, and Firm's Performance)

  • 김승호;김대건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121-130
    • /
    • 2016
  •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기업의 성공과 혁신은 경영자에서 비롯되는 신사업 발견능력을 통한 경쟁전략의 수립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신사업기회 발견능력과 기업성과 사이에 경쟁전략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전국의 대기업 사업장과 중소기업 286개의 기업 자료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모델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발견능력 중 실험하기와 연관시키기가 경쟁전략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견능력 맥락에서는 원가우위 전략 보다 차별화 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쟁 전략의 매개효과는 실험하기와 기업성과 사이에 강하게 나타났다.

  • PDF

창업소기업 경영자의 기업가적 속성이 차별화 중심형 경쟁우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mall Firm CEO's Entrepreneurial Attributes in the start-up phase on DFCA* and Business Performance -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DFCA -)

  • 이길원;박현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69-8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과 경쟁우위가 경영성과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기업가정신과 사업화 능력을 포괄하는 기업가적 속성과 경쟁유형의 관점에서 접근한 차별적 경쟁우위가 비재무적 성과지표인 경영자의 주관적 경영성과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전국 6개 중소기업청 담당자의 도움을 받아 창업단계에 있는 각 지역별 소기업 250여개업체 CEO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자료를 근거로 통계프로그램(Spss 18.0)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창업소기업 경영자의 기업가적 속성과 차별화 중심형 경쟁우위가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기업가적 속성중 기업가정신이 차별화 중심형 경쟁우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차별화 중심형 경쟁우위가 기업가적 속성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기업의 경영자가 사업초기부터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차별적 경쟁우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하며, 최단시간에 안정적 성장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경영자의 기업가적 속성이 차별적 경쟁역량으로 내재화될 수 있도록 핵심역량을 정렬시키고, 창업초기 성장전략으로서 기업가정신의 강화와 차별적 경쟁우위에 근간한 경영전략을 수립, 중점적으로 추진하여야 함을 말하고 있다.

  • PDF

벤처기업의 전략 및 성과에 대한 외부환경과 조직자원 및 능력의 영향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on Strategy and Performance: An evidence from an analysis on ventures)

  • 송우용;황경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69-387
    • /
    • 2012
  • 본 연구는 기업의 외부환경과 자원 및 능력이 기업의 전략 유형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전략에 관한 기존 연구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산업성장률이 높을수록, 경쟁강도가 낮을수록 공격형 전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환경불확실성은 전략 유형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기술적 자원과 인적 자원을 많이 보유할수록 공격형 전략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의 재무적 자원과 마케팅능력은 기업의 전략 유형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불확실성, 산업선장률, 기술적 자원, 인적 자원, 재무적 자원, 마케팅 능력 등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경쟁강도는 기업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경영자역량은 기업의 외부환경과 경영성과간에, 그리고 기업의 자원 및 능력과 경영성과간에 유의적인 조절효과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고경영자역량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써의 역할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컨설턴트 역량이 기업의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onsultant Competences of SMEs CEO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 권민희;이상복;유연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13-126
    • /
    • 2022
  • 경영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기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으며 특히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경영에 최고경영자의 역할이 막중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경영성과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중요하다. 한편 컨설턴트란 기업과 조직이 당면한 다양한 이슈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 의사 결정을 유도하여 경영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주체로 정의된다. 컨설턴트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경영적 전문 지식,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통찰력, 리더십 등은 컨설턴트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기간 동안의 계약 유무를 제외하면 최고경영자가 기업의 경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갖추어야 하는 역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최고경영자의 컨설턴트 역량으로서 4가지 변수인 직무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학습역량, 혁신역량으로 구분, 해당 변수가 각각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성과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제조 및 서비스업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기법은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최고경영자의 직무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학습역량, 혁신역량은 각각 기업의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혁신성과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을 컨설턴트 역량과의 공통적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중소기업의 성과를 향상할 때 필요한 최고경영자의 역량 특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불확실한 탐험을 촉진하는 방법 : 사례연구 (Promoting Uncertain Exploration : A Case Study)

  • 하성욱
    • 지식경영연구
    • /
    • 제10권1호
    • /
    • pp.53-70
    • /
    • 2009
  •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d what promotes exploration, through a case analysis of a Korean SM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based on the research framework which focuses on the identification and the selection of exploratory NPD (new product development) alternatives, and the accumulation of novel capabilities in new technology domains. The learning process of the exploratory NPD project described is as follows. The identification barrier of exploratory NPD project is relatively low. Constructive crisis is germane to selecting exploratory NPD alternatives and to enduring the long payback period. New separated R&D unit is likely to implement the exploratory NPD project. The length of the gestation period of the exploratory NPD project is related with the level of the conflict between old members and new members.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antecedents of the exploratory NPD project. Prior success promotes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the exploratory NPD projects. Constructive crisis is related with CEO'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future oriented and proactive personality. The proactive involvement and persuasion of CEO are germane to reducing the conflict between old and new members and to the success of the exploratory NPD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sever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PDF

중소기업의 사업환경 인식, 기업 역량, 경영자 역량이 사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업자신감의 매개효과 (Effect of SMEs' Business Environment Perception, Corporate Competency, and Managerial Competency on Intention to Discontinue Business of CEOs: Mediating Effect of Business Confidence)

  • 윤덕상;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103-117
    • /
    • 2022
  • 2020년 초부터 전세계에 확산된 코로나 팬데믹,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 사태로 촉발된 공급망관리 리스크 등 최근에 체감하는 기업경기는 과거 어느 때보다 심각한 편이다. 중소기업을 창업하여 경영하고 있는 CEO들은 이러한 현실속에서 기업의 지속성에 대하여 어느 때보다 고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CEO의 사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사업환경(주력 사업분야의 경쟁강도, 인력수급 및 관리의 난이도) 인식, 기업 역량(직원역량, 기업의 제품 혹은 서비스 경쟁력, 공급망 및 수요자 관계, 디지털 역량 및 기술전문성), 경영자 역량(직원들과 경영자간 신뢰, 경영자의 관리역량, 경영자의 인지된 건강상태)이 CEO의 사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중소기업 CEO 260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주력사업분야의 경쟁강도, 인력 수급 및 관리의 난이도가 사업중단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직원역량, 제품(서비스) 경쟁력, 기업의 디지털 역량 및 기술전문성, CEO의 건강상태가 사업중단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영향 관계는 CEO의 건강상태, 제품(서비스) 경쟁력, 직원역량, 디지털역량 및 기술전문성, 주력사업의 경쟁강도, 인력의 수급 및 관리 난이도 순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및 수요자 관계, 직원과 CEO간 신뢰, 경영자의 관리역량은 사업중단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사업자신감은 주력사업분야의 경쟁강도, 인력 수급 및 관리의 난이도, 제품(서비스) 경쟁력, 디지털 역량 및 기술전문성, CEO와 직원간 신뢰, 경영자의 관리 역량과 사업중단의도 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사업중단의도에 관한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사업환경 인식, 기업 역량, 경영자 역량, 사업자신감이 사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짐에 따라 이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실행 아이디를 찾을 수 있다면 중소기업이 지속성장하거나 의미있는 출구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