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O capabiliti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3초

혁신형 중소기업의 CEO유형에 따른 기술혁신 역량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novative SME CEO Types on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 김지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15-228
    • /
    • 2019
  • 본 연구는 혁신형 중소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CEO의 유형에 따른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혁신형 중소기업특성에 따라 CEO유형이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기부에 등록된 혁신형 중소기업 250사(社)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O 유형이 기술혁신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시장중심형 CEO, 기술형 CEO, 컨설턴트형 CEO는 기술변화 감지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리형 CEO는 기술변화감지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혁신형 중소기업의 CEO유형은 기술혁신역량의 R&D기술 소화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술혁신역량과 기술혁신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중소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CEO유형과 기술혁신역량 간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술형 CEO와 컨설턴트형 CEO는 기술변화감지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나, 관리형 CEO와 시장형 CEO는 조절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넷째, 혁신형 중소기업 성장단계에 따른 기술혁신역량과 기술혁신성과 간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기술역량과 국제마케팅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CEO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y of SMEs in Gwangju·Jeonnam Province on Expor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CEO's Risk-taking Propensity)

  • 양영수;이재은
    • 무역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261-27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SM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ies affect the export performance of the SMEs and to empirically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EO's risk propensity on such a relationship. We obtained data from 190 SME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in Korea through survey and performed a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based on these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M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export performance, respectively. Also, the CEO's risk propensity was found to reinf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competence and export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export performance was also found to be strengthen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SMEs to continuously develop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ies to achieve successful export performance in overseas markets. Also, the CEO's propensity to promote these relationships may be important.

스타트업 기업의 국제마케팅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lobal Marketing Capabilities on Export Outcomes of Korean Startup Firms)

  • 김수경;김문영
    • 복식
    • /
    • 제66권8호
    • /
    • pp.109-122
    • /
    • 2016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to increase the export performance of start-up companies, as opportunities are rising along with more companies entering the global market. Thus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export performance of the start-up company by mainly looking at the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ies of enterprises type of marketing strategy and internal environmental capabilities. The following were derived as factors for marketing 4P strategy: innovation of product, flexibility of export price, differentiation of distribution channels, diversity of promotional activities, and positive-ness of promotion. For internal capabilities of enterprises, innovation of CEO, initiative of CEO, risk susceptibility of CEO, information power of export market, and information power of competitor were derived as factors. Two types of performances were considered for export performance, financial and non-financial. Among innovation of product and risk susceptibility of CEO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export performance, and only differentiation of distribution channels of marketing 4p strategy the financial performance. It showed that since performa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ntrepreneurship of the CEO, only innovative products differentiated from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risk susceptibility of CEO increased export outlook by corporate acknowledgment and image, creation of potential customers, and financial performance affected only differentiation in distribution channel rather than entrepreneurial spirit, information power, or organizational flexibility because of short business career and insufficient period enough to gain trust. Therefore, start-up companies need to improve their non-financial export performance by increasing innovation of product and risk susceptibility of the CEO. The companies need to widen the differentiation of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financial export performance.

중소제조기업의 CEO유형과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혁신성과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ME CEO Types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Performance)

  • 이록;전수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31-342
    • /
    • 2022
  • 오늘날 중소제조기업의 경영환경은 급격한 기술변화의 속도로 인하여, 제품수명 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EO유형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성과를 매개로 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실증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동남권 중소제조기업 임원급 이상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소제조기업의 CEO유형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성과와 경영성과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는 상호상관성을 갖고 유의적인 영향력을 갖는 관계임을 실증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CEO유형에 따른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기술혁신성과가 병행되면 더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중소기업은 우수한 기술발굴과 역량을 갖추기 위한 다양한 혁신활동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기업의 기술경쟁력 향상에 노력하여야 한다는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프로스포츠 산업 조직 구성원의 역량에 따른 관리자의 역할: 미국프로농구(NBA)와 한국프로농구(KBL)의 감독과 선수단 전력 수준에 관한 실증연구 분석 (The Effects of Manager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NBA and KBL Teams: The Moderating Role of Player Capabilities)

  • 정태성;김필수;이상현;이상범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195-208
    • /
    • 2022
  • 벤처기업 CEO의 본질적인 역량과 역할은 관리자로서 조직의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는가에 달려있으며, 자원의 효율적 운영은 조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CEO의 역량, 벤처기업 자원의 효율적 운영, 조직성과, 구성원의 역량 간에 어떤 관계가 존재하는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프로스포츠 산업 조직 구성원의 역량에 따른 관리자의 감독역할에 대해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 이론과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을 프로스포츠 산업에 접목하여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벤처기업 CEO와 프로스포츠 감독의 역할이 조직구조와 성과 메커니즘의 측면에서 매우 흡사하며 조직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성과를 도출하는 측면에서 모두 기업가(entrepreneur)적 특성을 반드시 내재해야 한다고 본다. 프로스포츠팀 관리자로서의 감독역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의 자원 효율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구성원 역량에 대한 조절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미국프로농구(NBA) 30개 구단과 한국프로농구(KBL) 10개 구단의 9개 시즌(2013~2014시즌 - 2021~2022시즌)의 감독과 팀 데이터의 실증분석 실행에 있어 프로세스 매크로 58 모형을 적용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미국프로농구와 한국프로농구 데이터 모두에서 (1) 프로농구팀의 자원 효율성은 감독의 역량과 승률 간의 정(+)의 관계를 매개하고, (2) 조직 구성원의 역량은 농구팀의 자원 효율성을 통한 감독역량이 승률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p<.05)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 객관적이면서도 정확하게 조직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프로스포츠 데이터를 활용하여 프로스포츠 산업에서 벤처기업의 CEO와 유사한 기업가적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감독 및 조직 구성원의 역량이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한편, 스포츠산업 분야와 경영학 연구를 융합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중소 제조기업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자특성의 조절효과와 핵심역량의 매개효과 (Effects of SM-sized Manufacturing Firm Management Performance: Control Effect of CEO Characteristics and Mediating Effect of Core Competence)

  • 노영동;박상범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1호
    • /
    • pp.93-104
    • /
    • 2018
  • Purpose -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CEO characteristics are main factor influencing firms' prosperity as well as performance. So it is quite natural that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factors of CEO that matters. In this research, CEO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apabilities and skill or special knowledge necessary to run the business are invested for manufacturing firms. Precedent studies reveal that CEO characteristics such as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desire to succeed, tendency to take risks, personal factors including age, year of running business, and task related factors including managing capability, communication skills, network influence firm performance for manufacturing firms. However, these studies simply verify whether or not those factors affect firm's managing performance. This study, however, goes further to investigate how is the affecting process from CEO's capabilitie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to firm's core competence, and from core competence to advantages, and from advantages to managing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make a questionnaire and surveyed manufacturing firm CEO's in Gyeonggi-do area. General characteristics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ontrol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SPSS 2.0 Win, version was used. Results - The CEO characteristics including basic capability, task capability, leadership,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ffect core competence 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core competence affect both price advantage and differentiation advantage at the significant level. Some unique finding is that while differentiation advantage affects both financial achievement and non-financial achievement, price advantage does not affect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achievement. And firm characteristics mainly measured by CEO characteristics of skills has control effects on the trace from core competence to price advantage. Conclusions - For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CEO characteristic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firm's prosperity. For manufacturing firms, whether CEO has the skill or special knowledge to run the firm is critical factor. The study results show that CEO's for manufacturing firms put importance on price and price advantage which seems to be familiar to them. However, the price advantage does not influential to financial and non-financial achievem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small and medium sized manufacturing firms' CEO's should make effort to improve other aspects of advantages to be more competitive.

IT벤처기업의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간의 관계분석을 통한 조직유효성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An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Dynamic Capabilities in IT Venture Business)

  • 김수영;유왕진;이상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01-11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조직유효성 향상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 Teece(2002)의 동적역량의 이론을 토대로 조사하였으며, 이에 따른 세부항목을 연구하여 연구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기업가정신은 동적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동적역량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설문은 IT 벤처기업에 재직 중인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1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가정신과 동적역량 간의 관계가 조직유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조직에서 동적역량의 융합탐색역량이 조직유효성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CEO는 조직구성원들에게 동적역량의 융합탐색역량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조직유효성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지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 역량과 조직 역량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ME's Open Innovation and Organization Capabil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 이상직;박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235-24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 역량과 이러한 혁신을 주체적으로 이끌 내부조직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종사자 250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실증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형 혁신역량의 하위 요소 중 흡수능력, 관계능력, 조직역량의 하위요소 중 CEO의 혁신성, 종업원의 혁신성, 의사결정 개방성 모두 중소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증분능력은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흡수능력, 관계능력, CEO의 혁신성, 의사결정 개방성 모두 중소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증분능력과 종업원 혁신성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사결정 개방성과 흡수능력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 및 비재무적 성과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EO의 기술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기업의 기술적 역량 매개효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on Management Performances:Focusing on mediating effect technological capability in SMEs)

  • 이인기;양동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2호
    • /
    • pp.167-182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전략적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최고경영자의 역량 중 기술적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기술적 역량이 최고경영자 기술적 역량과 기업성과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총 표본은 기술보증기금에서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 데이타를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CEO의 기술적 역량은 기업의 기술적 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일수록, 동업종종사경험이 많을수록 연구개발 활동에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고, 기술파급효과와 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기술성과인 특허건수, 출원 중 특허건수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기술적 역량이 CEO의 기술적 역량과 기술성과인 특허건수, 출원중 특허 건수에는 유의한 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CEO의 기술적역 량과 기술적 파급 효과간, CEO의 기술적 역량과 경영성과 간에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EO의 기술적 역량이 기업의 기술적 역량인 기업기술개발 능력과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전문지식에 바탕을 둔 이공계 창업이 일반 창업보다 성공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창업보육센터(BI) 입주심사지표특성과 성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BI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ex Characteristics for Occupancy of Business Incubator(BI) and BI Performanc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BI Competence)

  • 박만희;양동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33-247
    • /
    • 2011
  • 최근 들어 고용 없는 성장 및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업의 산실인 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or : BI)가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BI의 효율적인 운영과 성과측면에도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주로 BI의 성공요소들(Critical Success Factors)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또는 BI의 내부적인 운영 프로그램이나 지원서비스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최근 BI 입주 시 지니고 있는 입주기업들의 잠재적인 역량이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하여 첫째, BI별 입주업체 심사지표특성들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둘째, 입주업체 심사지표특성이 BI의 업무역량 및 매니저의 역량등과 연계되어 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CEO 역량 중 전문성은 사업화 성공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경쟁력과 시장성의 경우 사업화 성공률에 대하여 업무역량(운영강도)이 적용되었을 경우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입주업체 CEO의 자금능력은 중요한 요소로서 사업화 성공률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매니저의 역량을 통하여 정(+)의 조절효과를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