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D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19초

CED에 의한 계면굴절균열의 진전거동 (An Extension Behavior of an Interface Kinked Crack by CED)

  • 권오헌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15
    • /
    • 1996
  • The characteristics on the extension of the CED(Crack energy density) concept to the interface kinked crack problems in a dissimilar material are examined. Each mode contributions of CED are found by symmetric and antisymmetric components and domain independent integrals. Finite element calculation is carried out to simulate the Interface kinked crack growth on bimaterial. The focus is the establishment of fracture criterion with CED and finding the orientation of crack extension. From the results, a prediction about the extension behavior of an interface kinked crack can be done. And we show that CED can be a parameter to indicate fracture criterion at an Interface kinked crack.

  • PDF

CED에 의한 계면굴절균열의 진전거동평가 (The Evaluation of the Kinked Interface Crack Behavior in Dissimilar Materials by CED)

  • 권오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1권3호
    • /
    • pp.414-422
    • /
    • 1997
  • The characteristics on the extension of the CED(Crack Energy Density) concept to the interface kinked crack problems in a dissimilar are examined. Each mode contributions of CED are found by symmetric and antisymmetric conponents and domain independent integrals. Finite element calculation is carried out to simulate the interface kinked crack growth on a bimaterial. The focus is the establishment of fracture criterion with CED and finding the orientation of crack extension. From the results, a prediction about the extension behavior of an interface kinked crack can be done. And we show that CED can be a parameter to indicate fracture criterion at an interface kinked crack.

균열에너지밀도에 의한 이종재 계면균열의 기초적 검토 (A Fundamental Analysis of an Interface Crack by Crack Energy Density)

  • 권오헌;도변승언;서창민;김영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8호
    • /
    • pp.1458-1467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균질재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이종재에서도 그 성질이 보존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계면균열에서의 CED의 기본적 성질을 검토한후, 각 모드 인자 의 분리법과 평가법을 CED를 통해 제시한다. 또 제시한 수법을 이용하여 우선 탄성 균열 모델에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CED 및 각 모드 인자의 평가 및 기초적 검토를 실시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한다.

저항전분이 인체내 영양생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sistant Starch on Physic-Nutrition Availability in Human)

  • 오승호;신말식;최인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9호
    • /
    • pp.932-942
    • /
    • 2002
  •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resistant starches on the physio-nutrition in women, nin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investigated using cellulose (CED), resistant starch 3 (RS3D) and resistant starch 4 (RS4D) diets. Each woman's daily intake and excretions of energy, protein and lipid were mesured together with the apparent digestibility and the amounts of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h are as follows. The daily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S4D (Resistant starch 4 diet) compared with the CED(Cellulose) and the RS3D (Resistant starch 3 diet). The metabolic energy in those periods with RS added to their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reas the metabolic energy in the period CED was significantly low. The daily protein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S4D compared with the CED and the RS3D.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S4D compared with the CED and the RS3D. The daily lipid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ED compared with the RS3D and the RS4D.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lipid was not significant in that period. The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 of HDL-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not significant in those period. As the above results indicate, while RS3 appear to have similar effect on energy consumption rate, apparent protein digestibility and content of cholesterol in plasma, compared with the CED, but energy consumption rate and apparent digestibility of protein a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S4D compared with the CED. Thus, it appears that cellulose and RS 3 share similar effects on physio-nutrition in human, while RS4 does not have the similar effects. (Korean J Nutrition 35(9) : 932∼942, 2002)

KoCED: 윤리 및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는 기계번역 오류 탐지를 위한 학습 데이터셋 (KoCED: English-Korean Critical Error Detection Dataset)

  • 어수경;최수원;구선민;정다현;박찬준;서재형;문현석;박정배;임희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25-231
    • /
    • 2022
  • 최근 기계번역 분야는 괄목할만한 발전을 보였으나, 번역 결과의 오류가 불완전한 의미의 왜곡으로 이어지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한 반응을 야기하거나 사회적 파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나 오역에 의해 변질된 의미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위법 가능성, 안전에 대한 잘못된 정보 제공의 위험, 종교나 인종 또는 성차별적 발언에 의한 파장은 실생활과 문제가 직결된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기계번역 품질 예측 분야에서는 치명적 오류 감지(Critical Error Detection, CED)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에 관련해서는 연구가 존재하지 않으며, 관련 데이터셋 또한 공개된 바가 없다. AI 기술 수준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사회, 윤리적 요소들을 고려하는 것은 필수이며, 한국어에서도 왜곡된 번역의 무분별한 증식을 낮출 수 있도록 CED 기술이 반드시 도입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어-한국어 기계번역 분야에서의 치명적 오류를 감지하는 KoCED(English-Korean Critical Error Detection) 데이터셋을 구축 및 공개하고자 한다. 또한 구축한 KoCED 데이터셋에 대한 면밀한 통계 분석 및 다국어 언어모델을 활용한 데이터셋의 타당성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제안하는 데이터셋의 효용성을 면밀하게 검증한다.

  • PDF

CED(Cupriethylene diamine)과 NMMO (N-methylmorpholine-N-oxide)를 이용한 셀룰로오스의 중합도 측정법의 비교 (Comparison of cellulose DP measurements using the CED (Cupriethylene diamine) and NMMO(N-methylmorpholine-N-oxide))

  • 이민우;박지순;박동휘;서영범
    • 펄프종이기술
    • /
    • 제42권5호
    • /
    • pp.62-66
    • /
    • 2010
  • Cellulosic materials were dissolved by NMMO(N-methylmorpholine-N-oxide) and CED (Cupriethylene diamine), respectively, to measure their DPs (degrees of polymerization) by using viscometer. We changed cellulose DPs by applying various amounts of low intensity electron-beam radiation to the cellulosic materials. NMMO is environmental-friendly, non-toxic, and biodegradable organic cellulose solvent and used industrially because of its high cellulose dissolving power and high solvent recovery ratio. The cellulose DP measurement results using these two different chemicals were correlated highly ($R^2$ >0.95). It was also found that cellulose with high DP was dissolved more easily in NMMO than CED. In addition, NMMO method gave more higher resolution in the measurement.

방사성요오드의 내부피폭 선량평가 코드 비교계산 (Comparison of Internal Dose Assessment due to Intake of I-131)

  • 김은주;김희근;하각현;이형석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579-583
    • /
    • 2003
  • 본 연구는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선작업에 따른 I-131 흡입후 전신선량계측(Whole Body Counter WBC)한 결과에 따라 각 내부피폭 선량평가 코드를 이용하여 섭취량과 예탁유효선량(CED : Committed Effective Dose)을 계산하였다. 여기에는 국내에서 개발된 KIDAC 코드, 일본의 MONDAL 코드, 영국의 LUDEP 코드와 IMBA 코드가 이용되었다.

  • PDF

최소 오버헤드를 갖는 IEEE 1149.1 TAP 테스트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EEE 1149.1 TAP Test Methodology for Minimum Area Overhead)

  • 김문준;장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11호
    • /
    • pp.61-68
    • /
    • 2004
  • 오늘날 모든 칩들에는 보드레벨 테스트를 위한 IEEE 1149.1 TAP 컨트롤러가 설계되어 내장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보드레벨 테스트뿐만 아니라 기능적 목적을 위해서 TAP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경우도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IEEE 1149.1 TAP 컨트롤러 회로를 테스트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동시 에러 검출 (CED: Concurrent Error Detection) 테스트 기법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여러 종류의 CED 테스트 기법을 IEEE 1149.1 TAP 컨트롤러에 적용하여 최적의 면적 오버헤드를 구현하는 기법에 대해 연구한다. 중복 기법과 패리티 예측 기법, 그리고 혼합 기법을 각각 연구하였으며, 혼합기법이 IEEE 1149.1 TAP 컨트롤러를 테스트하는 데 가장 적합한 CED 기법임을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혼합기법은 앞으로 IEEE 1149.1 TAP 컨트롤러를 테스트하는 데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기법을 더욱 향상시켜 TAP 컨트롤러를 테스트하는 데에 소요되는 면적 오버헤드를 최소화 시켰다.

저항전분이 인체 혈당 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stant Starch on Human Glycemic Response)

  • 이영희;오승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28-535
    • /
    • 2004
  •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resistant starches on human glycemic response, nin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investigated using cellulose (CED), resistant starch 3 (RS3D) and resistant starch 4 (RS4D) diets. Each woman's blood sugar and insulin, triacylglycerol and free fatty in plasma concentration were measured at fasting state, then 15, 30, 45, 60, 75, 90 and 120 minute after each test diet feeding. Glycemic indices of the Cellulose diet (CED: 57.9 $\pm3.00$), the Resistant starch 3 diet (RS3D: 52.6 $\pm7.9$) and the Resistant starch 4 diet (RS4D: 52.9 $\pm10.2$) were similar to each other, but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omparison with those of white wheat bread diet (WWBD: 100). Insulinemic indices of the CED (49.8 $\pm8.2$), RS3D (50.0 $\pm7.3$) and RS4D (72.4 $\pm7.7$)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omparison with the white wheat bread diet (WWBD: 100), but among the dietary fiber diets, the insulinemic index of RS4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ED and the RS3D. Plasma triacylglycerol contents of the CED, RS3D and RS4D including WWBD showed gradual increase in tendency after lowering in early stage of each test diet feeding,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dietary fiber added diet. Plasma free fatty acid contents of the CED, RS3D and RS4D including WWBD showed gradual decrease in tendency after each test diet feeding,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each dietary fiber added diet. In above results, we speculate that resistant starch 3 controls rapid elevation of blood sugar by delaying intestinal digestion and absorption of cellulose, but the result appears to be different from RS4 in comparison. Thus, RS3 intakes may contribute to the diet therapy of diabetic humans, but more studies on RS4 is needed in the futur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4): 528∼535, 2004)

한국인 젊은 여성에서 셀룰로오스 및 펙틴이 식이성 발열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ellulose and Pectin on Diet-induced Thermogenesis in Young Women)

  • 오승호;박정진;최인선;노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4-2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와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이 식사성 열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건강한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이섬유 제한식인 CD를 대조군으로 셀룰로오스식인 CED, 펙틴식인 PTD를 급식시켜 식후 3시간 동안의 DIT와 체온, 심박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자들의 나이는 평균 22.3 1.9세이었고, 신장과 체중은 각각 평균 $159.7{\pm}4.7cm$$52.5{\pm}8.6kg$이었다. 대상자들의 휴식대사량은 평균 $0.79{\pm}0.02kcal/min$이었다. 시간에 따른 DIT는 모든 실험식에서 식후 30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실험식사 섭취 후 3시간 동안 측정한 DIT의 반응면적$(\Delta-AUC)$은 CD, CED 및 PTD가 각각 $59.77{\pm}2.66kcal,\;39.91{\pm}2.65kcal$$47.26{\pm}5.76kcal$를 기록하여 섭취한 열량의 $14.05{\pm}0.62%,\;9.33{\pm}0.62%$$11.07{\pm}1.35%$이었다. 식이섬유를 첨가한 실험군인 CED와 PTD가 CD에 비해 식후 3시간 동안의 DIT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식이섬유간 DIT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실험식사 섭취 후 3시간 동안 측정한 체온의 반응면적$(\Delta-AUC)$은 실험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심박수로 측정한 교감신경계는 CD가 CED 및 PTD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고, 식이섬유 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량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공한 셀룰로오스식과 펙틴식이 식후 열생성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그러나 대상자의 심박수, 체온, 체조성과 같은 제요인과의 상관성을 밝히지 못하여, 이의 기전을 밝히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