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5

검색결과 3,712건 처리시간 0.043초

CdS, CdSe, ZnS 및 ZnSe 미세결정을 이용한 filter용 유리의 광흡수특성 (Optical absorption of filter glasses colored by CdS, CdSe, ZnS, and ZnSe microcrystallites)

  • 신용태;윤수인
    • 한국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2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CdS, CdSe, ZnS, ZnSe 반도체를 첨가한 SK-16 유리와 ZK-1 유리를 직접 제작하고 열처리하여 유리속에 반도체의 미세결정을 생성시켜 착색유리를 만들고 sharp-cut용 광학 filter로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CdS, CdSe, ZnS 및 ZnSe 반도체를 첨가한 SK-16유리는 열처리돈도를 달리하였을 경우 광흡수단을 변화시킬 수 있는 범위가 30nm정도로 아주 좁았다. 그러나 $CdS_{1-x}Se_x$를 첨가한 SK-16 유리는 x값을 변화시키면서 열처리 함으로써 광흡수단을 ~130nm범위에서 변화시킬 수 있었고 광흡수계수도 높아 sharp-cut용 광학 filter용으로 좋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CdSe와 $CdS_{0.5}Se_{0.5}$ 반도체를 첨가한 ZK-1 유리는 열처리온도를 달리 함으로서 흡수단을 변화시킬 수 있는 범위가 ~100nm나 되고 광흡수게수도 아주 높아 sharp-cut용 광학 fiter로 아주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고마리와 소리쟁이에 의한 $Cd^{2+}$$Pb^{2+}$의 흡수 및 phytochelatin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bsorption of $Cd^{2+}$ and $Pb^{2+}$ by Persicaria thunbergii and Rumex crispus, and Their Phytochelatin)

  • 강경홍;김인성;구정숙
    • 환경생물
    • /
    • 제18권2호
    • /
    • pp.269-277
    • /
    • 2000
  • 고마리와 소리쟁이에 Cd$^{2+}$와 Pb$^{2+}$를 각각 5 및 10mM로 5일간 처리한 결과, 고마리에서는 중금속 5mM처리구의 경우 Pb$^{2+}$가 Cd$^{2+}$보다 약 3.5배, 10mM의 경우 약 2.9배로 Pb$^{2+}$의 농축량이 높게 검출된 반면, 소리쟁이는 Cd$^{2+}$ 5mM에서 약 1.49$\mu\textrm{g}$/g, 10mM에서 약 2.90$\mu\textrm{g}$/g그리고 Pb$^{2+}$ 5mM에서 약 1.83$\mu\textrm{g}$/g, 10mM에서 약 2.73$\mu\textrm{g}$/g로 검출되어 처리농도별 Cd$^{2+}$와 Pb$^{2+}$의 농축량은 비슷하였다. 고마리와 소리쟁의 배양액(pH 6.5)에 Cd$^{2+}$와 Pb$^{2+}$를 5및 10mM로 혼합하여 처리한 후 각 실험구 토양의 중금속 잔류율과 pH는 대조구에 비해 고마리를 배양하며 Cd$^{2+}$5mM을 처리한 경우 약 77.1%와 pH 6.39, 10mM을 처리한 경우 약 90.2%와 PH 5.97 그리고 Pb$^{2+}$ 5mM을 처리한 경우 약 81.1%와 pH 6.00, 10mM을 처리한 경우 약 85.7%와 pH 5.80, 소리쟁이를 배양하며 Cd$^{2+}$ 5mM을 처리한 경우 약 83.9%와 pH 6.32, 10mM을 처리한 경우 약 93.7%와 pH 6.02 그리고 Pb$^{2+}$ 5mM을 처리한 경우 약 88.6%와 pH 6.27, 10mM을 처리한 경우 약 90.0%와 pH 6.02정도였다. Phytochelatin은 고마리와 소리쟁이에서 모두 Cd$^{2+}$와 Pb$^{2+}$ 무처리구에 비해 5와 10mM처리구에서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식물재료 내에서 중금속에 의해 유도된 Phytochelatin의 분자량은 고마리의 경우 Cd$^{2+}$에 의해서는 약 4,300-8,600 da, Pb$^{2+}$에 의해서는 약 3,200-9,700 da, 소리쟁이 의 경우 Cd$^{2+}$에서는 약 4,300 da, Pb$^{2+}$에 의해서는 약 3,200-7,500 da 정도였다.

  • PDF

난황 콜레스테롤 및 계란 품질에 관한 식이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효과 (Effect of Dietary β-Cyclodextrin on Egg Quality and Cholesterol Content of Egg Yolks)

  • 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14-620
    • /
    • 2004
  • 본 연구의 주목적은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 및 계란 품질에 관한 식이내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D)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29주령 산란계 100마리를 이용하여 각각 20마리씩의 5그룹으로 나누어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실험 10주기간 동안에 각각의 산란 케이지 내에서 수용하였다. 산란계의 식이는 순수한 $\beta$CD를 0, 3, 5, 7 또는 10% 함유하는 5개의 처리구로 나누었다. 암탉의 식이섭취량, 산란율, 난중은 $\beta$CD 무첨가구와 $\beta$CD 3, 5, 및 7% 첨가구 사이에 서로 비슷하였으나 $\beta$CD 1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식이요구율을 계란 1개당으로 표시했을 때 식이내 $\beta$CD 첨가수준과 차이는 없었으나 $\beta$CD 10%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손상되었다(p<0.05). $\beta$CD 첨가는 호우유니트, 난황색 및 난각두께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난황 g당 콜레스테롤 함량은 $\beta$CD 무첨가구와 비교할 때 $\beta$CD 3, 5, 7 및 10% 첨가구에서 각각 3.76, 5.12, 5.49 및 6.48 mg씩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계란 60 g당 콜레스테롤 함량은 $\beta$CD 무첨가구와 비교할 때 $\beta$CD 3, 5, 7 및 10% 첨가구에서 각각 54, 71, 77 및 86 mg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가장 획기적인 효과는 산란계 식이내 $\beta$CD 5%와 7% 첨가구에 의해서 난황 콜레스테롤 함량이 각각 28.19% 및 30.23%까지 감소한 관찰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beta$CD의 첨가 급여는 난황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출 수 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진 기능성 계란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대한 유해(有害) 중금속(重金屬)의 영향(影響) - 발아 및 묘대기(苗垈期) 생육(生育)에 대하여 - (Influence of Toxic Heavy Metals on Germination of Rice Seeds and Growth of Rice Seedling)

  • 김복진;하영래;김정옥;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9-126
    • /
    • 1979
  • 유해(有害) 중금속(重金屬)이 수도의 발아 및 묘대기(苗垈期)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중금속(重金屬) 원소별(元素別)로 농도(濃度)를 달리한 일정(一定)한 용액(溶液)을 계속(繼續) 공급(供給)하여 발아 및 묘(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발아에 과잉(過剩)의 해(害)를 유발하는 중금속(重金屬)의 처리농도는 Cd; 0.05ppm 이하(以下), Cu; 0.05ppm 이하(以下), Ni; 0.5ppm 이하(以下), Co; 0.5~1.0 ppm, Cr; 0.5ppm~1.0ppm, Mn: 1.0ppm 이하(以下), Zn; 0.5~5.0ppm Pb; 0.5~5.0ppm으로 발아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Cd>Cu>Ni>Co>Cr>Mn>Zn$$\geq_-$$Pb의 순(順)이었다. 2) 건물중(乾物重)의 감소(減少)를 유발하는 중금속(重金屬)의 처리 농도(濃度)는 Cd;0.05ppm 이하(以下), Ni, Cr, Co; 0.5ppm 이하(以下), Cu; 0.5~5ppm, Zn; 0.5~5ppm, Pb; 5~20ppm, Mn; 10~25ppm, 으로 건물중(乾物重)에 미치는 영향(影響)의 정도는 Ni>Cd>Cr>Co>Cu$$\geq_-$$Zn>Pb>Mn의 순(順)이었다. 3) 건물중(乾物重)의 감소(減少)를 유발하는 건물중(乾物中)의 중금속(重金屬)의 농도(濃度)는 Cd; 0.05~15.5ppm, Ni; 1.50~25.0ppm, Pb: 24.0~28.0ppm, Cu; 26.5~62.5ppm Zn; 470~645ppm, Mn; 231~500ppm, Co; 15.0ppm 이하(以下)였다. 4) 0.5ppm의 처리농도에서 각종(各種) 유해(有害) 중금속(重金屬)의 흡수(吸收) 축적(蓄積)은 Cr이 trace Co; 15ppm, Cd; 17.5ppm, Pb; 24.0ppm, Ni; 25. ppm, Cu; 84.5ppm, Zn; 470.0ppm으로 수도에 의(依)한 흡수정도(吸收程度)는 Zn>Cu>Ni>Pb>Cd>Co>Cr> 의 순(順)이었다. 5) 근활력(根活力)에 대해 과잉(過剩)의 해(害)를 유발하는 중금속(重金屬)의 농도(濃度)는 Ca;0.05ppm 이하(以下), Cu; 0.05~0.5ppm, Cr; 0.5ppm 이하(以下), Ni; 0.5~1.0ppm, Co; 0.5~1.0ppm, Zn; 0.5ppm 이상(以上), Pb; 0.5~5.0ppm, Mn; 1~10ppm으로 근활력(根活力)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정도(程度)는 Cd>Cu>Cr>Zn>Ni>Co>Pb>Mn의 순(順)이었다.

  • PDF

CdTe 표면의 산화과정의 초기단계 (The Initial Stages of the Oxidation of the CdTe surfaces)

  • 김형도;오세정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0-59
    • /
    • 1992
  • X선 광전자 분광방법(XPS)에 의하여 CdTe의 절개된 (110) 표면과 스퍼터링된 표 면을 산소에 노출시키면서 CdTe 표면의 산화과정의 초기단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e 3d5/2, Cd 3d5/2, O 1s, Cd MNN 오제 스펙트럼 등의 분석으로부터 산화의 초기단계에서 산 소원자 두 개가 Te 원자 한 개에 결합하고 있음을 보았다.

  • PDF

CdTe박막의 근접승화 제조조건에 따른 CdS/CdTe 태양전지의 광전압 특성 (Effect of CdTe Deposition Conditions by Close spaced Sublimation on Photovoltaic Properties of CdS/CdTe Solar Cells)

  • 한병욱;안진형;안병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493-498
    • /
    • 1998
  • 인쇄 및 소결법으로 제조한 Te-rich CdTe 소스를 근접 승화시켜 CdTe막을 Cd 기판 위에 증착하였다. 기판온도, 태양전지의 유효면적, 그리고 CdTD막과 ITO막의 두께를 변화시켜 CdTe 박막제조한 후 CdS/CdTe 태양전지의 광전압 특성을 연구하였다. 최적기판온도와 CdTe 두께는 각각 $600^{\circ}C$와 5-6${\mu}m$이다. 근접승화 동안 기판온도를 변화시키는 경우는 Cds와 접합부에 CdTe의 입자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CdTe 증착초기에 기판온도를 62$0^{\circ}C$로 유지한 후, 이로 인해 발생될수 있는 핀홀을 줄이기 위하여 $540^{\circ}C$로 낮게 기판의 온도를 떨어뜨린후 기존의 막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620^{\circ}C$에서 어닐링 시키는 "two-wave"온도 곡선을 사용하였을 때 단락전류밀도가 증가하였다. CdTe 막의 두께가 $6\mu\textrm{m}$보다 커지면 CdTe 의 벌크 저항이 커져 태양전지의 피라미터를 감소시켰다. 이때 CdTe 막의 비저항은 3$\times$$10^{4}$$\Omega$cm이었다. 태양전지의 유효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개방 전압은 일정하나 ITO면저항의 증가에 의해 단락 전류밀도와 충실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 ITO의 최적 두께는 300-450nm 이었다. 유효면적 0.5$\textrm{cm}^2$에서 9.4%의 효율을 얻을수 있었으며 충실도와 효율 증가를 위해서는 직결저항의 감소가 필수적임을 알았다.

  • PDF

신경모세종의 분화에 따른 인체 CD99의 표현의 증가 (The increased expression of CD99 in a differentiated neuroblastoma cell line)

  • 최은영;이임순
    • IMMUNE NETWORK
    • /
    • 제1권1호
    • /
    • pp.53-60
    • /
    • 2001
  • Background: The human mic2 gene is a pseudoautosomal gene that encodes a cell surface antigen, CD99. High levels of CD99 constitute a tumor marker in Ewing s sarcoma (ES). We have recently demonstrated that CD99-induced apoptosis occurs only in undifferentiated ES cells, not in differentiated ES cells, raising the possibility of the involvement of CD99 in neural ontogeny. Methods: To elucid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of CD99 and the differentiation of neural cells 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 expression of CD99 is regulated, we analyzed the differential patterns of CD99 expression in SH-SY5Y by treatment of 12-O-tetradecanoyl-13-phorbol acetate (TPA) and retinoic acid. In addition, to explore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CD 99 during neural cell differentiation, SH-SY5Y cells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with a CD99 promoter-driven luciferase construct, and treated with the inducers. Results: In immunoblotting and flow cytometry, the expression level of CD99 was increased on differentiated SH-SY5Y cells induced by TPA and retinoic acid. The luciferase activity was elevated by the treatment with TPA, known to mature SH-SY5Y cells toward a sympathetic neuronal lineage, whereas retinoic acid inducing a sympathetic chromaffin lineage displayed little effect.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CD99 might be expressed only on cells maturing toward a neuronal lineage among differentiating primitive neuronal cell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CD99 seems to be regulat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during the differentiation.

  • PDF

배양기내(培養器內)에서 모래밭버섯균(菌)의 Cd 축적(蓄積)과 내성(耐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d Accumulation and Tolerance of Pisolithus Tinctorius in Vitro)

  • 한심희;이경준;현정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83-89
    • /
    • 2001
  • 본 연구는 외생균근균 중 중금속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모래밭버섯균의 Cd 축적과 내성 특성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모래밭버섯균은 1997년 전남 무안의 곰솔림에서 분리한 것으로 MMN 배지에 $CdSO_4{\cdot}5H_2O$을 0, 0.2, 0.5, 2, $10{\mu}g/m{\ell}$로 첨가하여 기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을 시작한 후 일주일 간격으로 24일 동안 생장량과 내성지수를 측정하였으며, 40일 후에는 균사를 수확하여 Cd 함량,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 glutathione reductase(GR) 활성을 측정 하였다. 기내 배양된 모래밭버섯균은 Cd $2{\mu}g/m{\ell}$ 처리에서 생장이 감소하였으며, Cd $10{\mu}g/m{\ell}$의 처리에서는 생장이 거의 정지하였다. 대조구와 Cd 처리구의 생장량 비로 결정된 모래밭버섯균의 내성지수는 Cd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Cd $0.5{\mu}g/m{\ell}$와 Cd $2{\mu}g/m{\ell}$ 처리구에서는 14일 경과 후 다시 증가하였다. 모래밭버섯균의 균사내 Cd 농도는 Cd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Cd $10{\mu}g/m{\ell}$ 처리의 균사내 Cd 농도는 $854{\mu}g/g$으로, Cd $0.5{\mu}g/m{\ell}$ 처리구의 균사내 농도 $12.3{\mu}g/g$보다 70배 높았다. 모래밭버섯균의 SOD 활성은 Cd 농도별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GR 활성은 Cd $0.5{\mu}g/m{\ell}$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Cd $2{\mu}g/m{\ell}$에서는 대조구보다 낮았다. 결론적으로 모래밭버섯균은 Cd의 흡수가 뛰어나며, Cd에 대한 내성은 비교적 저농도에서 항산화효소의 합성 증가와 같은 독성 제거 기작을 통하여 나타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모래밭버섯균은 저농도로 오염된 중금속 오염지의 식생 복원에 이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 PDF

CD43 Expression Regulated by IL-12 Signaling Is Associated with Survival of CD8 T Cells

  • Lee, Jee-Boong;Chang, Jun
    • IMMUNE NETWORK
    • /
    • 제10권5호
    • /
    • pp.153-163
    • /
    • 2010
  • Background: In addition to TCR and costimulatory signals, cytokine signals are requir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activated CD8 T cells into memory T cells and their survival. Previously, we have shown that IL-12 priming during initial antigenic stimulation significantly enhanced the survival of activated CD8 T cells and increased the memory cell popul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mechanisms by which IL-12 priming contributes to activation and survival of CD8 T cells. Methods: We observed dramatically decreased expression of CD43 in activated CD8 T cells by IL-12 priming. We purified $CD43^{lo}$ and $CD43^{hi}$ cells after IL-12 priming and analyzed the function and survival of each population both in vivo and in vitro. Results: Compared to $CD43^{hi}$ effector cells, $CD43^{lo}$ effector CD8 T cells exhibited reduced cytolytic activity and lower granzyme B expression but showed increased survival. $CD43^{lo}$ effector CD8 T cells also showed increased in vivo expansion after adoptive transfer and antigen challenge. The enhanced survival of $CD43^{lo}$ CD8 T cells was also partly associated with CD62L expression. Conclusion: We suggest that CD43 expression regulated by IL-12 prim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on and survival of CD8 T cells.

카드뮴으로 유발된 생쥐 간독성에 대한 키토산올리고당의 효과 (Effects of Chitosanoligosaccharide on the Mouse Hepatotoxicity Induced by Cadmium)

  • 윤중식;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61-376
    • /
    • 2002
  • 본 연구는 카드뮴으로 유발된 생쥐 간중독에 대한 키토산올리고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Mouse를 대상으로 카드뮴 (5.0 mg/kg; i.p.) 단독투여군(group Cd), 카드뮴과 키토산올리고당 (0.5% solution) 동시투여군 (group Cd+Chi)으로 구분한 후 간손상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간조직 중의 카드뮴 농도와 metallothionein 농도를 비교측정하였다. 또한 간조직의 형태학적 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조직학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간조직의 카드뮴 농도는 Cd군에 비해 Cd+Chi군에서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간조직의 MT 농도는 Cd군이 Cd+Chi군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다. 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Cd군에서 미토콘드리아는 심한 팽윤현상이 나타났으며, RER의 분절과 리보조옴 탈락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Cd+Chi군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다양한 형태의 미토콘드리아가 분포되어 있었으며, 리보조옴이 부착된 채로 전형적인 층판구조를 형성한 RER이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키토산올리고당이 생쥐 간조직에 미치는 카드뮴의 독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