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34 monoclonal antibody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PEGA/BMA 공중합체의 코팅을 통해 CD34 단일클론항체가 고정화된 폴리우레탄 표면 (CD34 Monoclonal Antibody-Immobilization on Polyurethane Surface by Poly(PEGA-co-BMA) Coating)

  • 정윤기;황인규;박기동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602-607
    • /
    • 2009
  • 심혈관용 소재로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포획을 통해 in vivo 내피세포화가 가능한 표면을 가진 폴리우레탄 표면을 개발하였다.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점착을 유도하는 CD34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mAb)를 표면에 도입하기 위해, poly (poly (ethylene glycol) acrylate-co-butyl methacrylate), poly (PEGA-co-BMA) 공중합체가 합성되었고, 이를 폴리우레탄 표면에 코팅하여 CD34 단일클론항체를 화학적으로 고정화하였다. 중합된 공중합체의 $^1H$-NMR 분석은 원하는 조성을 가진 poly(PEGA-co-BMA)의 합성이 가능함을 확인해 주었다. 이전 연구에서 개발된 PEG가 그래프트된 폴리우레탄과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조된 poly(PEGA-co-BMA)가 코팅된 폴리우레탄 표면이 CD34 mAb의 고정화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CD34 mAb의 표면밀도와 활성도가 32배 이상 증가된 결과를 통해 증명되었다. 개질된 폴리우레탄 표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XPS와 물 접촉각, AFM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각각의 개질된 표면에 따른 표면의 특이적 성질을 잘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poly(PEGA-co-BMA)의 코팅을 통해 제조된 표면이 CD34 mAb의 고정화에 효과적임을 설명하였으며, 실제로 심혈관용 소재의 개발에 적용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다.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onoclonal Antibody (27H2) Recognizing Human CD34 Class III Epitope

  • Hong, Kwon-Pyo;Kang, Sung-Hee;Lee, Kyoung-Mee;Ji, Gil-Yong;Yoon, Sang-Soon;Kim, Jong-Suk;Son, Bo-Ra;Lee, Dong-Geun;Lee, Ok-Jun;Song, Hyung-Geun
    • IMMUNE NETWORK
    • /
    • 제10권6호
    • /
    • pp.239-246
    • /
    • 2010
  • Background: Monoclonal antibodies (mAbs) recognizing Class III epitope of CD34 are essential for flow cytometric diagnosis of leukemia. Methods: 27H2 mAb was developed from a mouse alternatively immunized with human acute leukemia cell lines, KG1 and Molm-1. Using flow cytometric analysis of various leukemic cell lines and peripheral bloo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frozen tonsil, we characterized 27H2 mAb. Antigen immunoprecipitated with 27H2 mAb immunobloted with anti-CD34 mAb. A case of bone marrow sample of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patient was obtained at CBNU Hospital. For epitope identification enzyme treatment with neuraminidase and O-sialoglycoprotein endopeptidase (OSGE) and blocking assay with known classIII mAb (HPCA-2) were done. Results: Only KG1 and Molm-1 revealed positive immunoreactivit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disclosed strong membranous immunoreactivity on high endothelial venules. Antigen immunoprecipitated by 27H2 mAb showed approximately 100 kDa sized band immunoblotted with anti-CD34 under non-reducing conditions. Epitope recognized by 27H2 mAb disclosed resistancy to both neuraminidase and OSGE treatment and completely blocked with known class III mAb preincubation. CD34 positive leukemic cells in BM of pre B cell ALL patient detected by FITC-conjugated 27H2 and HPCA-2 were identified with similar sensitivity. Conclusion: A novel murine mAb recognizing class III epitope of human CD34 with high affinity, which is useful for flow cytometric diagnosis of leukemia, was developed.

돼지에서 plasma protein에 의한 세포성면역 증진효과에 관한 연구 1. 혈액내 백혈구 아군 및 세포별 분포율 (Enhancement of cell-mediated immunity by administration of plasma protein in pigs 1. Proportion of leukocyte subpopulations and cells expressing adhesion molecules in peripheral blood)

  • 양창근;김순재;문진산;정석찬;박용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5-286
    • /
    • 1994
  • Plasma protein which has been known as one of nonspecific immunostimulators was added to feedstuff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cellular immune response in porcine immune system. A total of 40 piglets, 20 male and 20 female each, were fed for 30 days with or without plasma protein. The peripheral bloo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investigation of leukocyte subpopulations and their activities by using a panel of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porcine leukocyte differentiation antigens and flow cytometry.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1. Total weight gain, daily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e for 10 day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o 56%, 20% and 22% in the piglets fed plasma protein, respectively. 2. A significant increase in N (null or non T/non B) cells was also noticed. Leukocyte proportion from piglets fed plasma protein was 20.2-24.7%, otherwise that from piglets fed without plasma protein was 12.3-13.4%, respectively. 3.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B cells and cells expressing poCD1 was not found in piglets fed plasma protein. 4. Reaction with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adhesion molecules, poCD11a, poCD11b, poCD44 and poCD45A and poCD45B, has shown that leukocyte subpopulation from piglets fed plasma protein did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rom piglets fed without plasma protein. 5. Total proportion of granulocytes and monocytes was about 50% in both group and the proportion after treated with Hypaque/Ficoll was 2.7% and 5.8% in each group, respectively.

  • PDF

Flow cytometric immunophenotyping of canine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DMSCs) and feline ADMSCs using anti-human antibodies

  • Ko, Minho;Lee, Kwon Young;Kim, Sae Hoon;Kim, Manho;Choi, Jung Hoon;Im, Wooseok;Chung, Jin Yo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3-37
    • /
    • 2018
  • Various trial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therapies for serious untreatable diseases. Among these, those using stem cells have shown great promise, and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DMSCs) are easier to obtain than other types of stem cells. Prior to clinical trials, characterization of ADMSCs with monoclonal antibodies should be perform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use species-specific antibodies for veterinaria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anel of human antibodies applicable for use in immuno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canine adipose-derived stem cells and feline ADMSCs extracted from subcutaneous adipose tissue collected during ovariohysterectomy. For flow cytometric immunophenotyping, the third passages of canine ADMSC and feline ADMSC and human CD31, CD34, CD42, CD44, CD62 and CD133 antibodies were used. Of these, CD133 reacted with canine cells (3.74%) and feline cells (1.34%). CD133 is known as a marker related with more primitive stem cell phenotype than other CD series. Because this human CD133 was not a species-specific antibody, accurate percentages of immunoreactivity were not confirmed.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human CD133 as a meaningful marker in canine and feline ADMSCs.

임파구 CD38의 효소학적 연구 (Enzymatic study on lymphocyte CD38)

  • 박향란;김종주;안년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34
    • /
    • 1998
  • Murine CD38 is a 42 kDa type II glycoprotein expressed on cell surface of both B and T lymphocytes. CD38 is a multifunctional enzyme that catalyzes the formation and hydrolysis of cyclic adenosine diphosphoribose (cADPR): ADP-ribosyl cyclase activity of CD38 catalyzes the formation of cADPR from NAD and cADPR hydrolase activity of CD38 catalyzes the hydrolysis of cADPR to ADP-ribose (ADPR). And also, CD38 has the catalytic activity of NAD glycohydrolase (NADase) which catalyzes the hydrolysis of catalyzes the formation and hydrolysis of cyclic adenosine diphosphoribose (cADPR): ADP-ribosyl cyclase activity of CD38 catalyzes the formation of cADPR from NAD to ADPR.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urify CD38 from mouse lymphocytes by using the immobilized anti-CD38 monoclonal antibody. The single step immuno-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 resulted in homogeneous purification, showing a single protein of 42 kDa on a SDS polyacrylamide gel.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inhibitors on the enzyme activities of the purified CD38. Cibacron blue (0.5 mM) inhibited all three enzyme activities of CD38, NADase, ADP-ribosyl cyclase and cADPR hydrolase activities. ADPR (2 mM) showed inhibitory effect on both cADPR hydrolase activity and NADase, but not on ADP-ribosyl cyclase activity. However, ATP (2 mM) inhibited only cADPR hydrolase activity. $Zn^{2+}$ (1 mM) showed similar inhibitory effect as that of ADPR, but activated cyclas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D38 has three different catalytic activity domains which might be differentially regulated by their specific inhibitors.

  • PDF

보존된 동종동맥편 조직의 면역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Immunogenicity of Preserved Aortic Allograft)

  • 전예지;박영훈;강영선;최희숙;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173-1181
    • /
    • 1996
  • 동종동맥판의 보존기법이 발전하면서 상당한 정도의 생육성이 보존되며, 특히 면역반응의 주된 요인인 내피세포 생육성이 약 50%이상 보존되기 때문에 보존처리된 동종동맥판 내피세포의 면역능력을 평가하는것이 동종동맥판의 임상적변화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필요할 것이다. 실험은 200~250gm의 Sprague-Dawley Rat를 사용하였다. Rat로부터 적출한 동맥벽을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냉장보존법과 냉동보존법을 사용하여 2주일간 보존하였으며 보존처리전(No treat)과 멸균처리후(sterile),냉장 보존후 1(1day), 2(2day), 7(7day), 14일째(14day), 2주간의 냉동보존후(cryo)에 표본을 채취하여 보존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면역표현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혈관조직으로부터 내피세포를 분리한 뒤 면역조직화학검사(Immunohistochemical study)를 하였다. 혈관내피세포의 항원 표현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anti-MHC class I antibody(MRC OX-18)과 anti-MHC class II antibody(MRC OX-6), anti-ICAM antibody를 사용하였다. 처리된 내피세포를 Flow cytomwtry로 분석하여 항체가 부착된 내피세포의 비율을 알아냄으로써 내피세포의 항원성(antigenic expression)을 조사하였다. 또한 보존처리된 동종동맥판에 의한 생체내에서의 면역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보존처리전(No treat), 멸균처리 후 2일 보존후(2 day), 7일 보존후(7 day), 14일 보존 후(14 day), 냉동보존(cryo)된 동종동맥판을 Mouse에 이식한 후 일정기간(1, 2, 3, 4, 6, 8주)이 경과된 시점에서 혈중의 CD4$^{+}$, CD8$^{+}$ T cell분포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Mouse의 미정맥에서 채취한 혈액에 monoclonal antibody를 처리한 뒤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lymphocyte중의 CD4$^{+}$, CD8$^{+}$ T cell 비율을 측정하였다. 내피세포의 MHC Class I 표현정도는 No treat에서 23.95%였고, sterile에서 48.08%로 증가한 뒤 14day 까지 36.02%로, cryo에서도 35.53% 로 증가되어 있었다(p=0.0183). MHC Class II 표현정도는 No treat에서 9.72%, sterile에서 10.13%이였고 14day 에서 10.27%, cryo 에서 13.39% 였다(P=0.1599). ICAM-1 표현정도는 No treat에서 15.02%, sterile에서 19.85%였고, 14day에서 35.33%, cryo에서 34.67% 로 증가하였다(P=0.001). 정상 Mouse에서 CD4$^{+}$, CD8$^{+}$ T-cell분포는 각각 42.13%, 25.57% 였고 CD4$^{+}$/CD8$^{+}$ ratio는 1.64였다. 동종동맥을 이식받은 Mouse의 정맥혈중 CD4$^{+}$ T-cell분포는 No treat군에서 1주에서 8주사이에 49.23% 에서 36.8%사이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p=0.955), 2 day군에서는 30.36%로 감소하였고(p=0.0001), 7day군에서는 32.8%로 감소하였고(p=0.008), 14 day 군은 26.92%로 감소(p=0.0001), cryo군은 29.56%로 감소하였다(p=0.0018). CD8$^{+}$T-cell은 모든 군에서 1주에서 8주 사이에 42.32%에서 58.92%사이로 증가하였다(p=0.0001~0.0002). CD4$^{+}$/CD8$^{+}$ ratio는 모든 군에서 1주에 1.22 에서 2.28 사이에 있었으나 8주후에는 모든 군에서 0.47에서 0.95 사이로 감소하였다(p=0.0001). 즉, 보존처리된 동종동맥판의 내피세포는 보존처리과정의 초기에는 MHC class I과 II항원효과를 동시에 보이고, 보존기간이 길어지면서 MHC class II항원효과는 변함이 없으나 MHC class I 항원효과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CD4$^{+}$ T-cell은 보존처리 기간 중 소폭의 변환를 보임에 반하여 CD8$^{+}$ T-cell은 보존처리된 기간에 관계없이 이식된 후 8주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4$^{\circ}C$에 냉장보존한 군과 냉동보존한 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볼 때 동종동맥판을 체내에 이식할 경우 내피세포에 의한 MHC class I 항원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 PDF

보중익기탕 추출물의 대식세포 분화 유도 효과 (Stimulation of Macrophage Differentiation by Bu-Zhong-Yi-Qi- Tang Extract)

  • 강혜인;신성해;조영숙;조성기;변명우;이성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30-335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생쥐에서 분리한 골수 세포의 분화에 보중익기탕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GM-CSF와 IL-3는 대식세포의 형성을 자극하는데 관여한다. 보중익기탕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GM-CSF와 IL-3로 분화하는 colony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anti-CD11b 항체로 염색한 결과 분화한 세포는 대식 세포의 특이적 세포표면 단백질 인 CD11b(Mac-1)를 발현하고 있었다. 또한 보중익기탕 추출물은 대식세포가 생산하는 IL-6와 일산화질소(nitric oxide)의 분비량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오래 전부터 전통 처방제로 사용되어온 보중익기탕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유도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nfliximab: 불응성 크론병 치료법으로서의 유용성과 Top-down 관해 유도 요법으로서의 가능성 (Infliximab: The Benefit for Refractory Crohn Disease and Top-down Induction Therapy in Severe Crohn Disease)

  • 이지현;이해정;박성은;최연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1호
    • /
    • pp.28-35
    • /
    • 2008
  • 목 적: 종양 괴사 인자(TNF-${\alpha}$)에 대한 단 클론 항체인 infliximab으로 소아의 난치성 크론병에서의 치료와 관해 유도 치료제로서의 효과에 대한 치료 경험을 보고 하고자 한다. 방 법: 2001년 3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크론병으로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 중 기존 약제에 관해 유도되지 않는 불응성 크론병(스테로이드 의존성 포함)과 중증 활성 크론병을 가진 16명에서 infliximab (Remicade$^{(R)}$) 5 mg/kg를 관해 유도(0, 2, 8주) 주입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8주 간격의 유지 치료를 시행하였고 누공성 크론병의 경우 누공의 상태에 따라 비정기적으로 주입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특징 및 치료 전 후의 질병 활성도, Hct, ESR, CRP, albumin을 paired t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16명의 남녀비는 13/3이고 중앙 연령은 13세 (21개월~15세)였다. 투여 적응증은 불응성 크론병 7명(스테로이드 의존성 3명 포함), 중증 활성형 크론병의 관해 유도 7명, 누공성 크론병 2명이었다. Infliximab 투여 횟수는 평균 5.19${\pm}$3.41회(3~15회)였고 크론병 진단 후 infliximab 치료 시행까지의 기간 중앙값은 6.5개월(1개월~54개월)이었다. 환자들의 infliximab 투여 전PCDAI (pediatric crohn disease activity index)는 평균 34.19${\pm}$14.96이었으며 마지막 투여 후 2~4주 이내 PCDAI는 6.88${\pm}$10.31로 투여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p=0.000). 다른 혈액학적 표지자로 ESR (p=0.000), serum albumin (p=0.016), CRP (p=0.009)가 투여 전후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으며 적혈구 용적률 (hematocrit)의 호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75). 고식적인 치료에 관해 유도 되지 않았던 난치성 환자 4명 중 2명에서 관해 유도가 가능하였으며 스테로이드 의존성 환자 3명 중 2명에서 스테로이드 중단 1명에서 스테로이드 감량이 가능하였다. 누공이 동반되거나 중등도 이상의 크론병에서 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다른 면역 조절제 사용 전에 top-down 요법을 시행한 7명 모두에서 6주 이내에 관해가 되었다. 난치성 누공 치료에서도 10명 중 9명에서 호전되었다. 결 론: Infliximab을 사용하여 소아 불응성 크론병에서 관해 유도와 유지 및 스테로이드 감량 또는 중단이 가능하였으며 중등도 이상의 크론병에서 top-down 관해 요법으로도 비교적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장기간의 추적 관찰을 통한 효과 판정 및 부작용 관찰을 요한다.

  • PDF

가습화한 고유량의 이산화탄소가스 통기가 관상동맥 내피세포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umidified High Flow CO2 Gas Insufflation on the Coronary Endothelium)

  • 최재성;김준성;서정욱;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31-138
    • /
    • 2004
  • 이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술에서 출혈로부터 수술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유량의 가스 통기는 관상동맥 내피세포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가스 통기가 유량에 따라서 관상동맥 내피세포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 가습의 추가가 관상동맥 내피세포에 보호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돼지(n=9)를 이용하여 정중흉골 절개 후 좌전하 관상동맥을 노출한 후 4개의 분절로 나누어, 심박동 상태에서 각각의 관상동맥 분절에 절개를 가한 후, 가장 원위부 분절은 가스통기 없이 10분간 노출하였고(대조군), 다음 원위부 분절은 가습 없이 5 L/min의 유량으로(I군), 중앙 분절은 가습하면서 5 L/min의 유량으로 (II군), 근위부 분절은 가습하면서 10 L/min의 유량으로(III군) 각각 10분간 절개부위에 이산화탄소를 통기하였다. 관상동맥 분절들을 적출 후 내피세포층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hematoxyline-eosin 염색, 특수염색인 탄력섬유 염색, CD34 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면역염색 등을 시행하고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상동맥 내막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결과: I, II, III군 모두에서 내탄력판은 손상없이 온전하였으나 관상동맥 내피세포층은 모두에서 유의한 손상이 관찰되었다. 내피세포의 평균 잔존비율은 각각 I군이 20.9$\pm$16.7%, II군이 39.3$\pm$19.6%, III군이 6.8$\pm$5.3%로, II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8), I군은 III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이산화탄소 가스 통기로 인한 관상동맥 손상의 정도는 주로 통기 가스의 유량에 달려있으며, 10 L/min 이상의 고유량의 이산화탄소 가스 통기 시에는 가습을 하더라도 관상동맥 내피세포층의 보호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고 할 수 있다.

반복적인 $^{131}I$ rituximab 방사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 군에서 종양 부위의 영상기반 방사선 흡수선량 평가와 임상적 의의 (Image-Based Assessment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Absorbed Radiation Dose to Tumor in Repeated High-Dose $^{131}I$ Anti-CD20 Monoclonal Antibody (Rituximab) Radioimmunotherapy for Non-Hodgkin's Lymphoma)

  • 변병현;김경민;우상근;최태현;강혜진;오동현;김병일;천기정;최창운;임상무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1호
    • /
    • pp.60-71
    • /
    • 2009
  • 목적: 최근들어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군에서 $^{131}I$ 표지 rituximab을 이용한 반복적인 방사면역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이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131}I$ 표지 rituximab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방사면역치료를 시행받은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군에서 치료전 FDG-PET과 치료후 감마카메라를 이용한 전신 평면방출영상을 이용하여 종양의 흡수선량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모두 4명의 환자들에게 치료용량의 $^{131}I$ 표지 rituximab ($7270.5{\pm}276.5MBq$)을 정맥주사하였다. 방사면역치료의 반복휫수는 3명에서는 3회, 1명에서는 4회였으며, 7개의 측정가능한 종양에 대해 총 21회의 평가가 이루어졌다. 감마카메라를 이용한 전신 평면방출영상을 방사면역치료 후 5분, 5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연속적으로 촬영하였고, FDG PET/CT를 방사면역치료 전 1주일 이내와 방사면역치료 후 30일째 되는 날에 각각 촬영하였다. 방사면역치료 전 PET/CT로부터 관상면의 최대강도투사영상을 얻었고, 이 영상에 AMIDE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전신 평면방출영상을 중첩시켰는데, 이 과정에서 4개의 해부학적 표지자(양측 어깨와 엉덩이)를 이용하였다. 중첩된 영상에서 종양부위와 왼쪽 안쪽 넓적다리(배경영역)의 관심영역을 그리고, 종양자체의 시간-방사능곡선을 구하였다. PET/CT에 포함된 CT영상으로부터 종양의 부피를 측정했으며, 각각의 종양부위의 SUVmax를 구하여 종양부피와 SUVmax의 방사면역 치료 전후 변화율을 평가하였다. 종양의 흡수선량과 부피변화율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방사면역치료 횟수에 따라서 종양의 흡수선량 및 부피 변화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환자군의 종양부위 흡수선량은 $397.7{\pm}646.2\;cGy$ ($53.0{\sim}2853.0\;cGy$)이었다. 방사면역 치료 전 종양의 부피는 $11.3{\pm}9.1\;cc$ ($2.9{\sim}34.2\;cc$)이었고, 치료 후 종양의 부피 변화율은 $-29.8{\pm}44.3%$($-100.0%{\sim}+42.5%$)이었다. 종양의 흡수선량과 부피 변화율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며(p>0.05), 방사면역치료 횟수에 따라서 종양의 흡수선량 및 부피 변화율에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05). 결론: FDG-PET의 최대강도투사영상을 이용하여 종양의 위치와 경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고, 감마카메라 영상과의 중첩을 통해서 효과적인 종양의 흡수선량평가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