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TV 감시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5초

카메라 모델링과 3차원 공간 분석에 기반한 CCTV 시스템 감시 성능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n Surveillance Performance of CCTV Systems Based on Camera Modeling and 3D Spatial Analysis)

  • 최경아;이임평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3-162
    • /
    • 2014
  • 다양한 분야에서 CCTV가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CCTV의 감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감시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상당히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CCTV 시스템이 대상 공간을 주어진 감시 목적에 부합하게 잘 감시하는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대상 공간의 특정한 위치에서 특정한 방향을 바라보는 객체가 CCTV로 얼마나 정밀하게 관측되는 가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감시 해상도를 정의한다. 정의된 감시 해상도를 대상 공간에서 관심 있는 모든 위치와 방향에 대해 계산하여 감시 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최적의 해상도 이상이 성취되는 비율로써 대상 공간에 대한 감시 성능 지수를 산출한다. 제시된 방법을 적용하여 대형 건물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CCTV 시스템의 감시 성능을 평가하고 가시화하여 분석하고 개선하는 사례를 기술한다. 제안된 방법은 대상 공간이 감시 목적에 맞게 효과적으로 감시되고 있는지 정량화하여 평가하고, 대상 영역을 요구 성능으로 감시하기 위한 CCTV 시스템 설계의 최적화에 기여한다.

CCTV와 프라이버시 - 안전을 위한 도구인가, 감시의 눈인가? - (CCTV and Privacy - Tools for Security or Eyes of Surveillance? -)

  • 이윤복
    • 철학연구
    • /
    • 제143권
    • /
    • pp.215-244
    • /
    • 2017
  • 과학기술은 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한 유용한 수단이기도 하지만, 그러나 또한 그것은 종종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천이 되기도 한다. 과학기술의 산물인 CCTV의 경우에도 사정은 동일하다. 공적인 장소에 설치된 CCTV는 범죄를 예방하고, 그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함으로써 우리의 공적인 공간을 안전하게 만드는데 크게 공헌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그것이 이와 같은 밝은 측면만을 지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또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와 소위 감시사회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어두운 측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CCTV에 관한 논의에 있어서 핵심적인 주제는 프라이버시, 안전, 감시가 될 것이다. 공적 장소에서의 CCTV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또한 프라이버시 침해의 위험성도 동시에 지닌다. CCTV가 지닌 이러한 문제는 안전과 프라이버시 사이의 균형 혹은 조화에서 해결의 실마리가 찾아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그에 대한 윤리적 논의와 그에 근거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결국 각자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구성원들의 숙의를 통한 규범의 마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다른 한편 CCTV의 확산은 네오맑시즘이나 푸고적인 접근에서 보여주듯이 소위 감시사회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동시에 지닌다. 이러한 위험의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CCTV에 대한 정치사회철학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결국 이런 위험은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사실을 자각한 주권자로서의 시민들이 잠재적 감시권력을 감시 혹은 견제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교통정보 수집 및 감시 동시운영을 위한 CCTV 카메라 자율자세 보정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CTV Camera Autonomous Posture Calibration Algorithm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Monitoring)

  • 김준규;정준호;한학용;신치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15-125
    • /
    • 2023
  • 본 논문은 교통상태 감시 등 교통관제를 위해 설정한 CCTV 카메라의 화각 상태에서 교통량, 속도 등 교통정보 수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CCTV 카메라 자세보정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것이다. 개발한 자율자세보정 알고리즘은 차량인식 및 추적기법을 이용하여 도로를 식별하고, 운영자의 교통감시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한 화각을 결정한다.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검증은 현장에 설치한 CCTV를 이용하였으며, 교통감시 및 교통정보 수집을 위해 각각 설정한 화각에 대해 자율자세보정 알고리즘이 자동 산출한 화각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운영자 감시를 위한 화각은 상호 96%의 일치성을 보였다. 교통정보의 경우는 교통량 및 속도의 정확도가 각각 96%, 95%로 산출됐으며 수동 설정한 화각과 비교할 때 약 2%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제안 알고리즘을 통해 관제용 CCTV를 이용하여 교통정보 수집 및 교통상황 감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범죄발생지점의 공간적 특성분석을 통한 인위적 감시지역의 선정 (A Selection of Artificial Surveillance Zone through the Spatial Features Analysis of Crime Occurrence Place)

  • 김동문;박재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3-90
    • /
    • 2010
  • 현대사회는 도시환경의 급격하고 복잡한 변화의 결과로 각종 범죄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의 치안 담당자들은 경찰 인력의 부족과 과중한 업무 속에서도 효율적인 범죄예방과 감시활동을 위해 경찰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24시간 동안 일정한 지역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 등의 인위적인 감시도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범죄를 감시하고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나 감시도구 설치를 위한 체계적인 기준의 미비와 사생활 침해라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CCTV 등의 인위적 감시도구와 범죄 발생지점의 공간적 특성, GIS의 공간분석 기법 등을 이용하여 범죄 모니터링이 가능한 인위적 감시지역을 선정하였으며, 그 결과 CCTV 설치대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기존에 설치된 위치도 공간적 분포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u-City 환경에서 지능형 CCTV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구현 및 감시방법 (A Monitoring Way and Installation of Monitoring System using Intelligent CCTV under the u-City Environment)

  • 김익순;유재덕;김배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295-303
    • /
    • 2008
  • 개개인의 사생활 보호와 인권존중이라는 명분하에 감시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인해 그동안 침체되었던 CCTV 시장이 911 테러 이후 보안에 대한 중요성 제고와 사회적 범죄 예방에 대한 의식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국면을 맡고 있는 상황에 국내의 첨단 IT기술과의 접목을 통한지능형 감시시스템으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원격지에서 사각지대 없이 촬영된 영상을 인터넷을 통하여 어느 지역에서도 실시간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어 연구하고자 한다.

  • PDF

공간정보기반 CCTV 제원정보 자동 매핑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Mapping Algorithm using CCTV Information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 Cho, Myeongheum;Park, Youngjin;Lee, Junwoo;Kim, KyeHy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81-18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시범지역의 CCTV 제원정보를 전수조사 하여 CCTV 위치, 주감시방향, 감시거리, 최대감시거리, Tele mode 화각, Wide mode 화각 등 CCTV 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기본요소를 DB화 하였다. 조사된 CCTV제원 정보를 기초로 하여 공간정보 기반으로 도식화, 시각화 할 수 있는 자동 매핑 알고리즘 제안하였다.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일부 연구지역의 CCTV 위치가 약 11% 중복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CCTV 12대 가운데 중복된 CCTV는 총 5대로 도출되었다. 향후, 제시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CCTV제원 정보를 지도에 표출하여 CCTV 위치 재설계 및 감시방향 변경 등 보다 과학적인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veillance Camera System for Privacy Protection)

  • 문해민;반성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1779-1786
    • /
    • 2009
  • 최근 테러 및 범죄의 증가로 CCTV를 이용한 보안 감시시스템에 대한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CCTV에는 얼굴이나 행동패턴과 같은 개인의 프라이버시 정보가 기록되는데, 이 정보가 노출될 시 프라이버시 침해뿐만 아니라 범죄에 이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CCTV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기존 연구를 분석한 후,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한 RFID 기반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스크램블링(scrambling) 기술과 RFID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동시에 감시로써의 기능도 유지하게 되는 특징을 지닌다.

엣지 블록체인 기반의 CCTV 영상 프라이버시 보호 기법 (CCTV Video Privacy Protection Scheme Based on Edge Blockchain)

  • 이동혁;박남제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01-113
    • /
    • 2019
  • 최근의 지능형 영상감시 기술은 인공지능 기반 영상분석을 통하여 기존에 제공하지 못했던 선제적 예측감시 등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지능형 영상감시에 있어 보안성의 확보는 필수적이며, 원본 CCTV 영상 데이터에 대한 조작이 발생할 경우,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지능형 영상감시환경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CCTV 영상데이터의 위변조 방지를 보장하며, 엣지 블록체인을 통하여 ROI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하여 객체의 프라이버시 노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영상 중복제거가 가능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고 스토리지를 절감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복수의 동체 추적을 위한 지능형 영상보안 시스템 (An intelligent video security system for the tracking of multiple moving objects)

  • 김병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359-366
    • /
    • 2013
  • 영상보안은 CCTV 카메라, 디지털 저장장치, 영상분석 및 인식기술 등의 발전과 시장 확대로 인하여 실시간 감시 시스템이나 지능형 영상보안 시스템 등의 보다 진화된 기술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CCTV 카메라 시스템에서 회전이 가능한 PTZ 카메라는 줌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물체에 대한 정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나 사각 지대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이동하는 물체에 대한 감시가 불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지능형 동체추적 CCTV 시스템 및 영상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체 영역을 감시하는 하나의 고정 카메라와 두 개 이상의 PTZ 카메라를 사용하여 광범위 영역에서 동시에 이동하는 다수의 물체를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는 지능형 영상 보안 시스템을 제안한다.

과학리포트 - 보편화된 감시장치

  • 이광영
    • 과학과기술
    • /
    • 제30권9호통권340호
    • /
    • pp.16-17
    • /
    • 1997
  • 감시장치가 보편화되어 이제는 은행 등 공공시설이나 가정에서 CCTV를 통해 범죄예방과 범인정체 파악에 활용되고 있으며 교통위반과 고용인 생산활동감시수단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 CCTV는 유선과 무선 2종이 있는데 흑백은 15~30만원, 컬러는 30~1백만원이며 구입할 수 있다. 그런데 가장 발전된 도청은 장치없이 레이저광선을 쏘아서 대화내용을 잡아내는 방법으로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