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lection of Artificial Surveillance Zone through the Spatial Features Analysis of Crime Occurrence Place

범죄발생지점의 공간적 특성분석을 통한 인위적 감시지역의 선정

  • 김동문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0.08.10
  • Accepted : 2010.09.08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In modern societ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needs to protect the life and property of the people, because the number of various crimes is on the increase due to the sudden and complicated changes of the urban environment. For the needs, security persons in the urban area are expanding the role and skill of police for more effective crime prevention and surveillance, although the number of policeman/woman is insufficient and their tasks are hard. Recently, a system to observe and prevent crime in effective has been introduced by using such an artificial surveillance device as CCTV to monitor focusing on one area for 24 hours. However, the system brings such problems as the insufficiency of systematic criteria to install surveillance device and the invasion of privacy. Therefore, in this study, artificial surveillance zones to monitor crimes are selected by applying spatial features between artificial surveillance devices including CCTV and crime occurrence place, and using GI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As a result of selecting, it's found that the number of CCTV is absolutely insufficient and spatial distribution is not fully considered in the existing location of installed CCTV.

현대사회는 도시환경의 급격하고 복잡한 변화의 결과로 각종 범죄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의 치안 담당자들은 경찰 인력의 부족과 과중한 업무 속에서도 효율적인 범죄예방과 감시활동을 위해 경찰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24시간 동안 일정한 지역을 집중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 등의 인위적인 감시도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범죄를 감시하고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나 감시도구 설치를 위한 체계적인 기준의 미비와 사생활 침해라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CCTV 등의 인위적 감시도구와 범죄 발생지점의 공간적 특성, GIS의 공간분석 기법 등을 이용하여 범죄 모니터링이 가능한 인위적 감시지역을 선정하였으며, 그 결과 CCTV 설치대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기존에 설치된 위치도 공간적 분포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환, 장동국, 문정민(2007), 도시공간의 범죄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 노호래(2005), 범죄예방을 위한 CCTV의 효과적 활용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9호, pp.11-50.
  3. 박철현, 최수형(2009), 서울시 강남구 CCTV설치가 범죄예방에 미치는 효과 연구, 사회학대회 논문집, 한국사회학회, 2009전기사회학대회.
  4. 박현호(2004), CCTV를 통한 도시범죄의 통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도시문제, 제39권 제432호, pp.24-39.
  5. 이경희(1992), 서울의 지역별 범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6. 이상원(2005), 범죄예방론, 대명출판사, 서울, pp.350.
  7. 임민혁, 홍준현(2008),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 효과분석을 통한 범죄예방정책의 방향,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2권 제4호, pp.77-101.
  8. 장동국(2004), 도시공간구조와 공간범죄, 국토계획.
  9. Brown, B. (1995). CCTV in Town Centres: Three Case Studies. Crime Detection and Prevention Series, Paper 68. London: Home Office.
  10. Clarke, R.(1995),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 Harris, C., P. Jones, D. Hillier, and D. Turner (1998). "CCTV Surveillance Systems in Town and City Centre Management." Property Management 16(3):160-165. https://doi.org/10.1108/02637479810232970
  12. Herbert, D. T. and Hyde, S. W.(1985), Environmental Criminology: Testing Some Area Hypotheses,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New Series 10, pp.261.
  13. Squires, P. (1998). An Evaluation of the Ilford Town Centre CCTV System. Brighton, UK: Health and Social Policy Research Cent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