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D-986sk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5초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피부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udrania tricuspidata Extracts on the Skin)

  • 최학주;김청택;도민연;랑문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60-274
    • /
    • 2015
  •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에서는 전통 한방약재로 오랫동안 사용된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잎, 줄기, 뿌리부분의 에탄올추출물의 물,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 용해성 분획물에 대한 피부 생리활성에 관한 실험결과이다. 대식세포인 macrophage(RAW 264.7 cell)에 대하여 이들 분획물들의 nitric oxide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nitric oxide 생성 억제에는 잎부위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과 에탄올분획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 생성 억제에는 모든 분획물들이 효과가 있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생성 억제에는 잎, 줄기, 뿌리부위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들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색종세포인 melanoma cell(B16-F10 cell)에서 멜라닌 생성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처리에서만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체 정상 피부 섬유아세포( CCD986sk cell)에 대하여 콜라겐의 합성 촉진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 줄기, 뿌리부위의 물 분획물과 잎, 줄기의 에탄올 분획물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보였다.

섬유아세포에서의 MMP-2 및 MMP-9 활성 억제에 의한 베르베린의 항주름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berberine by inhibition of MMP-2 and MMP-9 activity in fibroblasts)

  • 장영아;이진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9-15
    • /
    • 2018
  • 우리는 황련에서 분리된 베르베린의 화장품소재로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산화와 항주름 효능을 분석하였다. 시료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수행하였으며 항산화와 항주름 활성평가를 위해 ROS 생성능, hyaluronic acid 생성능, MMP-2, -9, TIMP-1,-2, $TNF-{\alpha}$의 발현을 각각 측정하였다. 베르베린에 대한 자외선의 세포 독성은 CCD-986sk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MTT 분석으로 측정되었고, 세포 독성이 $25{\mu}g/mL$의 농도 미만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베르베린이 ROS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고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베르베린은 주름 형성과 관련된 MMP-2 및 MMP-9의 protein 단계 및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TIMP-1 및 TIMP-2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프로 pro-inflammatory cytokine 으로 알려진 $TNF-{\alpha}$에 대한 베르베린의 억제효능을 실험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TNF-{\alpha}$ 유전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베르베린은 활성산소종의 억제와 TIMP-1과 -2의 발현 조절에 의한 MMP-2,-9의 감소로 항산화 및 항주름에 효과가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고 사료된다.

피부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실크단백질 탐색 (Effect of Bombyx mori, Antheraea Yamamai and Antheraea pernyi Silk Protein in Skin Fibroblast Cell Proliferation After Injury)

  • 한상미;이광길;여주홍;권해용;우순옥;백하주;박관규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72-76
    • /
    • 2004
  • 가잠과 천잠 및 작잠의 실크 단백질 분획물로부터 피부섬유아세포에 대한 증식 효과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가잠 및 천${\cdot}$작잠 단백질로부터 다양한 분자량대의 실크 단백질을 순수 분리 분획화 하여 사람 피부세포(human skin fibroblast; CCD-986sk)에 기계적 상처를 준 후 처리한 결과, 평균분자량(Mw)이 300-500 및 950-1500 분획군이 세포 증식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확인${\cdot}$선발하였다. 2. 가잠의 경우 평균 분자량 590(BM-1), 1400(BM-2)에서, 천잠은 340(AY-1), 940(AY-2), 작잠에서는 300(AP-1), 1440(AP-2)에서 $10\;{\mu}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경우 피부섬유 아세포의 증식이 무처리구에 비하여 40% 이상의 증식 효과를 갖았다. 또한 유효 농도 범위에서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 대해서는 세포독성을 지니지 않았다. 3. 아미노산 조성에 있어 저분자량 AY-1 분획의 전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은 Tyr 함량이 매우 높게(25-48 g/100g)나타났으며, 작잠의 저분자 분획인 AP-1에서는 Lys 함량이 높게(5.2 g/100g)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4. 동일한 실크 단백질일 경우 저분자량 분획물에서 피부 세포 증식에 좀 더 효과적이였다.

인간피부 섬유아세포에서 UVB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와 기질금속단백질가수분해효소 발현에 블루베리의 저해능 (Inhibitory Activity of Blueberries on UVB-induced Oxidative Stres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Express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 장영아;김세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21-1328
    • /
    • 2019
  • 자외선B(UVB: 290-320 nm) 방사선으로도 알려진 중간 파장 태양광선은 인간에게 조기 노화 및 산화손상에 의존하는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다. UVB가 유발하는 반응성 산소종(ROS)의 형성은 종종 이러한 광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결과로 MMP-1과 MMP-3와 같은 매트릭스 금속단백질(MMP)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효소들은 인간의 섬유질에서 type 1형 콜라겐을 분해한다.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EEB)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평가했다. 블루베리의 항산화 실험은 DPPH 분석과 CCD-986sk 세포를 사용하여 ROS 생성을 평가했다. 블루베리의 주름방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MMP-1 생성과 type 1형 procollagen 합성을 평가하고 Western Blot과 RT- PCR을 통해 MMP 1, 3의 발현량을 평가하였다. EEB는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의 소거능을 보이며 UVB에 유도된 ROS의 생성을 저해하였다. 또한 EEB는 procollagen 생성감소 및 MMP-1 생성량의 증가 등 광노화 및 피부암과 관련된 UVB로 야기되는 과정을 억제하였다. 더 정확히 말하면, EEB (50㎍/ml)는 MMP-1과 -3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EEB의 항노화 효과는 항산화 작용에 기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EEB가 type 1형 procollagen, MMP-1, MMP-3의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UVB가 유발하는 노화로부터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제주 자생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항산화, 항염증과 항주름 평가 (The evaluation of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nti-wrinkle activity of Jeju Native Achyranthes japonica Nakai)

  • 엄미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09-1218
    • /
    • 2021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우슬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항염증, 항주름 효과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식물 재료는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우슬 뿌리(Achyranthes japonica Nakai roots, AJNR)와 우슬 줄기(Achyranthes japonica Nakai stalks, AJNS)로부터 추출하였다. RAW 264.7 세포를 배양하여 추출물의 Nitric oxide assay를 진행하였고, 섬유아세포 CCD-986sk를 배양하여 추출물의 MMP-1 assay,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assay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항산화 활성은 우슬 뿌리와 우슬 줄기 모두 우수하였고, 뿌리는 함염증 효과가 월등하게 우수하였으며 줄기는 뿌리에 비해 MMP-1 저해 활성과 Type I procollagen 합성 효과가 조금 더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 우슬 뿌리와 우슬 줄기의 항산화 활성은 유사한 수준으로 우수하였고, 뿌리의 항염 활성은 줄기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MMP-1 저해 활성과 Type I procollagen 합성 효과는 대체적으로 우수하였는데 줄기가 뿌리에 비해 가 조금 더 뛰어났다. 그러므로 우슬은 항산화, 항염증, 항주름의 활성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석류추출물의 항산화와 MMPs 단백질 발현 억제 및 액정 유화물에서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nt and MMPs Protein Expression Inhibitive Effect of Punica granatum L. Extract and Its Stabilization with Liquid Crystal Emulsion)

  • 노진선;염현지;오민정;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4-17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석류추출물의 기능성 활성 검증 및 화장품 개발을 위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l의 농도에서 60.6%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ug/ml의 농도에서 93.9%의 소거능을 보였다. 또한 elastase 억제 활성과 collagenase 억제 활성은 1,000 ㎍/ml의 농도에서 각각 30%와 47.2%의 억제 활성을 보였다. 석류추출물이 섬유아세포(CCD-986sk)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MTT법으로 세포 생존성을 측정한 결과, 500 ㎍/ml 이하의 농도에서 130% 이상의 생존율이 확인됐다. 석류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세포에서 MMP-1, MMP-2, MMP-3의 단백질 발현은 100 ㎍/ml의 농도에서 각각 23.2%, 81.9%, 69.2%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석류추출물이 0.1% (w/v)의 농도로 함유된 O/W 액정크림을 제조하여 4, 25, 45, 50℃에서 pH, 시간에 따른 변화, 온도별 안정성 등의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1개월간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석류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사람유래 섬유아세포에서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의 MMP-1과 PIP의 발현에 대한 연구 (MMP-1 and PIP Expressions from Ethanol Extract of Hydnocarpus anthelmintica Pierre in Human Fibroblast Cells)

  • 최은영;장영아;김세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38-946
    • /
    • 2022
  • 본 연구는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주름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추출물 1,000 ㎍/ml 농도에서 각각 73.5%와 74.4%의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주름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추출물 1,000 ㎍/ml 농도에서 78.8%의 유의할만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추출물에 대한 세포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수행하였으며, 50 ㎍/ml 이하의 농도에서 약 91.7%의 생존율을 보여, 이후의 세포 실험은 50 ㎍/ml 이하의 농도에서 진행하였다. 섬유아세포인 CCD-986sk에 UVB (20 mJ/cm2)의 자극을 주고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치한 후 procollagen type I과 MMP-1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고자 ELISA 및 RT-PCR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은 PIP의 생합성과 mRNA 발현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UVB만 자극한 Cont (각각의 생합성율은 50.3%와 45.8%)과 비교하였을 때 50 ㎍/ml의 농도에서 각각 약 64.2%와 83.4%의 생합성을 보였다. MMP-1의 protein과 mRNA 발현에 대한 결과는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했음을 확인하였으며, 50 ㎍/ml의 농도에서 각각 약 48.7%와 35.9%의 낮은 발현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풍자 에탄올 추출물이 주름억제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갈랑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효과 및 W/O형 에멀젼에서 항산화 효과의 보존성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Alpinia galanga L. rhizome extracts and preservation of antioxidant effects in W/O type emulsion)

  • 윤선영;김봉환;장영아;김세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24-435
    • /
    • 2023
  • 본 연구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갈랑가 뿌리 70% 에탄올 추출물(AG.E) 100 ㎍/mL 농도에서 81.8%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AG.E 50 ㎍/mL의 낮은 농도에서 L-Ascorbic acid (AA)와 유사한 99.8%로 확인되었다.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lagenase와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둘 모두에서 AG.E는 50 ㎍/mL의 낮은 농도부터 epigallocatechin (EGCG)보다 더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0 ㎍/mL 농도에서 EGCG 대비 3배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CCD-986sk 세포내에서 AG.E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UVB로 자극한 다양한 실험에서도 우수한 항노화 효과가 얻어졌다. RT-PCR을 통한 유전자 발현 분석 실험에서 COL1A mRNA 발현량은 AG.E 20 ㎍/mL 저농도에서 무첨가 대비 2.90배 증가시키는 결과가 얻어져 항노화관련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제형에 소재의 적용 시 생리활성의 경시적 보전성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AG.E 및 AA등을 안정한 W/O type emulsion에 첨가하여 25 ℃ 항온조에 보관하면서 1일차, 30일차, 60일차에 DPPH와 ABTS+ 라디칼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경시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높은수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베타카로틴 함유 제제의 약효 연구 - 뷰티카로틴 제제에 대하여 - (Study on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eparations Containing Beta-carotene - On $Beautycarotene^{TM}$ Preparations -)

  • 은재순;서승용;오석흥;김요한;유진주;조형권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012-101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reparations containing beta-carotene, $Beautycarotene^{TM}$. $Beautycarotene^{TM}$ increased the collagen synthesis in CCD-986sk cell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vitro system. In addition, it enhanced the viability of murine thymocytes and the population of splenic $CD4^+$ cells. Also, it increased the phagocytic activity of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eautycarotene^{TM}$ can have a protective effect of skin via the diverse action, such as the stimulatory action of collagen synthesis, antioxidative action, tyrosinase inhibitory action and immune regulatory action.

복합 고온 전처리 더덕 추출물의 미백 활성 탐색 (Screening of Skin Whitening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by Complex Steaming Process)

  • 김지선;김지웅;권희석;임혜원;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4-60
    • /
    • 2013
  • According to previous reports,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could be increased by a steaming proces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whitening activities of C. lanceolata by high pressure and stepwise steaming complex process. The complex processed C. lanceolata showed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acitivity as 45.21%, and for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complex processed C. lanceolata contained higher than those from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or steaming process alone. The Cytotoxicity of all C. lanceolata extracts also showed low cytotoxicity against human fibroblast cell (CCD-986sk) as 4.49 ~ 10.40%. In whitening activity, high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was estimated as 25.08% by adding the extracts from complex process. We found that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mplex processed C. lancolata extract was higher than those obtained from conventional extraction and a steaming process because various kinds of antioxidant compounds could be easily released by combined process, compared to one of each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