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BD

검색결과 630건 처리시간 0.059초

CBD를 활용한 웹 기반 분산 시스템 연구 (A Study On Web Based Distributed System Using Component Based Development)

  • 유진무;조병인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1-248
    • /
    • 2003
  •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가 소프트웨어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을 받으면서 최근 수년간 CBD를 적용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국방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표준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국방 CBD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방 CBD 방법론'에 대하여 소개한다. 방법론의 개발 프로세스 및 특징을 설명하고, 국방정보체계 개발에 적용되고 있는 국제 표준과의 연관성을 설명한다. 또한 방법론의 적용 사례로서 시범 개발한 상황보고 저작기를 소개한다. 웹 환경에서 컴포넌트 기반의 분산 시스템으로 구축된 상황보고 저작기의 아키텍쳐에 대해 설명하고, 웹 서비스 기술의 활용 사례를 설명한다.

  • PDF

시스템엔지니어링과 CBD 방법론을 활용한 함정 승조원 수 추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Estimating warship manpower using Systems Engineering an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 황인혁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7권2호
    • /
    • pp.61-68
    • /
    • 2021
  • A decrease in the fertility rate leads to a reduction of troops, so the need to efficiently operate the troops is grow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for estimating warship manpower. In this study, system developmen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BD methodology. The user requirements were defined and the system function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was derived. And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the CBD methodology and the systems engineering process were compared. As a result, similarities were confirmed in the analysis and concept design stages, so the possibility of merging the two processes was suggested.

A Review on Studies of Marijuana for Alzheimer's Disease - Focusing on CBD, THC

  • Kim, Seok Hee;Yang, Jin Won;Kim, Kyung Han;Kim, Jong Uk;Yook, Tae Ha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5-230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research trend of dementia treatment using cannabi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s of cannabis use for medical purposes in the future. Methods: This study searched publications, which were registered to databases or published by Aug 22, 2019, and targeted the full-text or abstracts of these publications. We selected the final nine studies met all selection criteria. Results: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CBD components of cannabis might be useful to treat and prevent AD because CBD components could suppress the main causal factors of AD. Moreover, it was suggested that using CBD and THC together could be more useful than using CBD or THC alone. Conclusion: We hope that there will be a solid foundation to use cannabis for medical use by continuously evalua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cannabis for clinical purposes as a dementia treatment substance and cannabis can be used as a positive tool.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CBD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성능분석 (A Flexbile and Extensible CBD Application Framework and Performance Analysis)

  • 이용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3권1호
    • /
    • pp.46-58
    • /
    • 2007
  • 최근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들은 지속적으로 요구사항들이 변경되는 대규모의 복잡한 시스템이며 컴포넌트 기반이나 제품계열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과 같이 아키텍처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에서 생산성이나 유지보수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BD(Component Base Development) 기반의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유지보수 시 생산성과 유지보수 향상을 위해 필요한 유연성과 확장성 품질속성을 가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이들 품질속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을 아키텍처 모델을 통해 설명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최근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프레임워크(Framework)로 잘 알려진 Struts와 JBean이라 불리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성능을 비교했다. JBean 프레임워크는 프리젠테이션 프레임워크와 비즈니스 로직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정한 실험을 위해 JBean에서 비즈니스 로직 프레임워크에 관련된 모듈을 제거하고 단지 프리젠테이션단 프레임워크만 가지고 실험을 한 결과 JBean의 프리젠테이션 단 프레임워크가 평균 초당 18개의 거래를 더 처리하고 있다.

CBD 아키텍쳐 기반의 컴포넌트 저장소 프로토타이핑 (Prototyping for Component Repository Based on CBD Architecture)

  • 김행곤;차정은;최문경;김철홍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583-586
    • /
    • 2000
  • 대부분의 응용 시스템들이 인터넷과 웹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 운영됨에 따라 상호운영성을 허용하고 동적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방법론 및 툴 지원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CBD : Component Based Development)은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장 이상적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CBD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컴포넌트 저장소는 컴포넌트의 개발과 유통, 활용을 위한 컴포넌트 및 관련 모든 프로덕트 정보들의 통합적인 관리 중심체이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CBD의 전개를 위해서는 정규화된 컴포넌트 참조 아키텍쳐에 기반한 저장소 구축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CBD 방법론에 의한 컴포넌트 저장소 구축을 목적으로 저장 아키텍쳐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한 저장소 프로토타이핑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컴포넌트 기능성 영역의 수직적 관점과 라이프사이클 관점의 수평적 관점이 혼합된 아키텍쳐를 정의하고 이에 식별, 정의되어진 컴포넌트를 적용한다.

  • PDF

국방 CBD 방법론의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체크리스트 연구 (A Study on Checklist for Improving Interoperability of Advanced Defense Component Development Methodology(ADDMe))

  • 류동국;김영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5호
    • /
    • pp.745-754
    • /
    • 2005
  • 국방 정보 시스템은 임무 중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을 증진하고 CBD 방법론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하여 군에서는 일종의 컴포넌트 뱅크 개념인 공통운용환경(COE)의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공통운용환경의 개발을 위해 설계된 ADDMe는 기존의 CBD 방법론들을 비교, 분석, 종합하여 국방 환경에 적합하게 고안된 새로운 국방 CBD 방법론이다. 본 논문은 국방 CBD 방법론인 ADDMe를 소개하고 ADDMe를 적용하여 개발된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향상하기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시한다. 상호운용 체크리스트는 ADDMe의 세부 개발 단계별로 적용되어 국방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항상시킨다.

마자인 함유처방과 처방 투여 실험동물의 혈액에서 THC, CBD 성분 측정

  • 김동구;진종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121
    • /
    • 2022
  • 마자인(麻子仁)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대마(Cannabis sativa L.)의 종자로써, 治血虛津虧, 腸燥便秘하며, 中風汗出, 逐水, 利小便, 破積血, 復血脈, 乳婦産後餘疾, 長髮 등에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마자인 종자의 외피에는 환각성분인 Tetrahydrocannabinol (THC) 및 뇌전증과 다발성경화증 등 희귀, 난치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Cannabidiol (CBD)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외피를 제거한 마자인은 햄프씨드(Hemp Seed)로써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마자인은 의약품으로써 사용이 되고 있다. 마자인은 윤조탕, 자윤환, 마자인환 등 다양한 한의학 처방에 사용되지만, 외피에 함유되어있는 THC 및 CBD의 함유량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마자인 함유처방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실험방법을 설계하였다. 우선 의약품으로 유통되는 마자인의 외피에 THC 및 CBD 성분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마자인을 다양한 용매별 (물, 헥산 등)로 추출한 후 LC/MS를 이용해 성분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마자인 함유 처방 (마자인환, 자윤환, 윤조탕 등)을 복용하였을 경우 혈중에 THC 및 CBD 성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마자인 함유 /처방을 투여한 후 혈액을 채취한다. 마찬가지로 성분 유무를 측정하는 방법은 LC/MS를 이용해 확인한다.

  • PDF

Effects of reversible metastable defect induced by illumination on Cu(In,Ga)Se2 solar cell with CBD-ZnS buffer layer

  • Lee, Woo-Jung;Yu, Hye-Jung;Cho, Dae-Hyung;Wi, Jae-Hyung;Han, Won-Seok;Yoo, Jisu;Yi, Yeonjin;Song, Jung-Hoon;Chung, Yong-Duck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31-431
    • /
    • 2016
  • Typical Cu(In,Ga)Se2 (CIGS)-based solar cells have a buffer layer between CIGS absorber layer and transparent ZnO front electrod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cell performance. Among various buffer materials, chemical bath deposition (CBD)-ZnS is being steadily studied to alternative to conventional CdS and the efficiency of CBD-ZnS/CIGS solar cell shows the comparable values with that of CdS/CIGS solar cell. The intriguing thing is that reversible changes occur after exposure to illumination due to the metastable defect states in completed ZnS/CIGS solar cell, which induces an improvement of solar cell performance. Thus, it implies that the understanding of metastable defects in CBD-ZnS/CIGS solar cell is important issue. In this study, we fabricate the ITO/i-ZnO/CBD-ZnS/CIGS/Mo/SLG solar cells by controlling the NH4OH mole concentration (from 2 M to 3.5 M) of CBD-ZnS buffer layer and observe their conversion efficiency with and without light soaking for 1 hr. From the results, NH4OH mole concentration and light exposure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CBD-ZnS/CIGS solar cell performa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at which layer can contain metastable defect states to influence on solar cell performance, impedance spectroscopy and capacitance profiling technique with exposure to illumination have been applied to CBD-ZnS/CIGS solar cell. These techniques give a very useful information on the density of states within the bandgap of CIGS, free carriers density, and light-induced metastable effects. Here, we present the rearranged charge distribution after exposure to illumination and suggest the origin of the metastable defect states in CBD-ZnS/CIGS solar cell.

  • PDF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Bacillus subtilis CBD2의 생육특성 및 amylase 활성 (Amylase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CBD2 isolated from Doenjang)

  • 양수진;이대훈;박혜미;정희경;박창수;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6-29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식품산업에 적용 가능한 amylase의 발굴을 위하여 된장으로부터 amyl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였고, 분리된 미생물들의 동정을 통하여 GRAS 미생물로 부터 생산되는 amylase에 대한 효소 특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균주 유래 16S ribosomal RNA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B. subtilis로 동정되어 본 균주를B. subtilis CBD2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CBD2 균주의 생육에 미치는 배지 성분에 대한 특성을 검토한 결과 본 균주는 pH 7.0, NaCl 3%, glucose 10%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균주의 amylase 생산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본 균주는 soluble starch, corn starch, maize amylopectin 및 wheat starch 중에서 soluble starch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amylase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CBD2유래 amylase의 활성에 미치는 반응조건을 검토한 결과 본 균주 유래 amylase는 pH 8.0 그리고 $5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기질특이성에 대한 검토에서는 corn starch>wheat starch>soluble starch>maize amylopectin 순으로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CBD2가 생성하는 amylase 효소와 corn starch 기질 반응에 대한 전분 분해능 및 당 생성율 변화에서는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전분 분해능 및 당 생성율을 나타내어 corn starch를 이용한 효소 반응은 24시간이 가장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균주는 GRAS 미생물인B. subtilis이었으며 본 균주 유래의 amylase 특성을 활용한다면 향 후 식품산업에 있어서 전분 분해 관련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서울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자본환원율을 이용한 시장 효율성과 CAPM의 검증 (Verification of Market's Efficiency and CAPM using Capitalization Rate at Commercial Real Estate Market in Seoul)

  • 박종권;이재수;전재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0-99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의 상업용 부동산인 오피스 빌딩 및 소매용 부동산 자산을 대상으로 체계적 위험과 자본환원율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함으로써 시장의 효율성과 CAPM의 적용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투자의 위험을 수반하는 자본자산의 기대수익률 결정이론인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을 토대로 서울의 3대 오피스 빌딩 시장인 강남권, 여의도 마포권, 도심권 그리고 기타권역과 소매용 부동산의 3대 시장인 강남권, 신촌 마포권, 도심권 그리고 기타 권역에 대하여, 시장포트폴리오인 증권시장선과 권역별 초과자본환원율로 산정된 증권특성선을 비교 및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오피스 빌딩 시장에서 GBD 권역을 제외한 나머지 권역들(YBD 권역, CBD 권역 그리고 기타 권역), 소매용 부동산 시장에서는 SBD 권역 및 CBD 권역에서 체계적 위험이 증가할수록 분기초과자본환원율이 감소하여 시장이 효율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오피스 빌딩 시장의 4개 권역(강남권의 GBD 권역, 마포 여의도권의 YBD 권역, 도심권의 CBD 권역, 그리고 기타 권역)과 소매용 부동산 시장의 4개 권역(강남권의 GBD 권역, 마포 신촌권의 SBD권역, 도심권의 CBD 권역, 그리고 기타 권역) 모두에서 CAPM이 성립하지 않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