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x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5초

토마토에서 칼슘수송체와 칼슘결합단백질 공동발현에 의한 칼슘결핍유사증상의 완화 (Restriction of Ca2+ deficiency-like symptoms by co-expressing a Ca2+ transporter and a Ca2+-binding protein in tomato)

  • 한증술;강호주;김창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549-555
    • /
    • 2010
  • 본 연구는 칼슘 수송체의 하나인 sCAX1과 칼슘결합단백질의 하나인 CRT가 토마토에서 발현했을 때 tip-burn과 배꼽썩음병 (BER)이 토마토의 전 생육기간에 걸쳐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관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고, 최종 연구 결과는 CRT 공동발현이 sCAX1 발현에 의해 야기된 병징을 억제시킬 수 있음을 확인시켰다. 양분공급이 불량한 환경하에 놓인 sCAX1 단독 발현 토마토 식물체는 그 근단 조직, 정단 조직 및 과실의 암술부착부위 조직에 토마토 재배 농가포장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칼슘결핍 증상과 일치하는 괴사현상을 나타내었다. sCAX1 형질전환체와 비형질전화체를 각각 대목과 접수로 달리 사용한 교호접목 실험을 통해 sCAX1 발현에 따른 tip-burn 병징이 토양으로부터의 칼슘이온 흡수에 장애를 받아 생긴 결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을 통해 CRT 발현 토마토를 획득한 후 CRT가 sCAX1에 의한 불량한 특성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양자간 교배조합을 작성하였다. sCAX1과 CRT를 토마토에서 공동발현 시켰을 때 완벽하지는 않지만 양극 조직의 괴사와 BER이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sCAX1 발현에 의해 방해 받은 세포 내 칼슘 이온 관련 어떤 기구는 CRT 공동발현을 통해 복구될 수 있다는 하나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CAX1 유전자가 도입된 사과 '홍로' 형질전환체 (Introduction of CAX1 into 'Hongro' Apple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

  • 김정희;신일섭;조강희;김세희;김대현;황정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34-539
    • /
    • 2010
  • 사과 국내 육성 품종인 '홍로'의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고 칼슘이 강화된 '홍로' 형질전환체를 육성하기 위하여 CAX1 유전자 전환을 실시하였다. 접종에 사용되는 절편체는 기내에서 증식 배양 중인 신초의 유엽을 사용하는 경우가 생육기 수체의 유엽을 사용하는 것보다 높은 재분화율을 보여 효과적이었다. 항생제가 첨가된 재분화 선발 배지에서 재분화된 신초들을 대상으로 PCR을 실시한 결과 5개체에서 유전자 도입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을 Southern blot 분석한 결과 2개체에서 안정적으로 유전자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전자의 정량적 발현 분석을 위해 real-time PCR을 실시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형질전환체 모두에서 CAX1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량이 높게 나타났다. 형질 전환체의 칼슘 분석 결과 기내 증식 잎과 결실된 과실의 과육과 잎에서 칼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Modest calcium increase in tomatoes expressing a variant of Arabidopsis cation/$H^+$ antiporter

  • Chung, Mi-Young;Han, Jeung-Sul;Giovannoni, James;Liu, Yang;Kim, Chang-Kil;Lim, Ki-Byung;Chung, Jae-Dong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1호
    • /
    • pp.15-21
    • /
    • 2010
  • The over-expression of Arabidopsis CAX1 and CAX2 causes transgenic tomato plants to reveal severe $Ca^{2+}$ deficiency-like symptoms such as tip-burn and/or blossom end rot, despite there being sufficient $Ca^{2+}$ in each plant part. To correct the symptoms and to moderately enhance the calcium level, a worldwide vegetable tomato was genetically engineered using a modified Arabidopsis cation/$H^+$ antiporter sCAX2A, a mutant form of Arabidopsis CAX2. Compared with the wild-type, the sCAX2A-expressing tomato plants demonstrated elevated $Ca^{2+}$ levels in the fruits with almost no changes in the levels of $Mn^{2+}$, $Cu^{2+}$, and $Fe^{2+}$. Moreover, expression of sCAX2A in tomato plan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alterations in their morphological phenotypes. Unlike 35S::sCAX1 construct, sCAX2A antiporter gene driven by 35S promoter can be a valuable tool for enriching $Ca^{2+}$ contents in the tomato fruit without additional accumulation of the undesirable cations.

Programming of adaptive repair process chains using repair features and function blocks

  • Spocker, Gunter;Schreiner, Thorsten;Huwer, Tobias;Arntz, Kristian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3권1호
    • /
    • pp.53-62
    • /
    • 2016
  • The current trends of product customization and repair of high value parts with individual defects demand automation and a high degree of flexibility of the involved manufacturing process chains.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requirements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manufacturing process chains by distinguishing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process chains. The established way of modeling and programming processes with CAx systems and existing approaches is shown. Furthermore, the different types of possible adaptions of a manufacturing process chain are shown and considered as a cascaded control loop. Following this it is discussed which key requirements of repair process chains are unresolved by existing approaches. To overcome the deficits this paper introduces repair features which comprise the idea of geometric features and defines analytical auxiliary geometries based on the measurement input data. This meets challenges normally caused by working directly on reconstructed geometries in the form of triangulated surfaces which are prone to artifacts. Embedded into function blocks, this allows the use of traditional approaches for manufacturing process chains to be applied to adaptive repair process chains.

CAX 1 형질전환체 벼의 In Vivo에서 주요특성 분석 (Major character analysis of CAX 1 (cation exchanger 1) transgenic rice plants in In Vivo)

  • 김경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75-383
    • /
    • 2009
  • CAX1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벼는 T3 세대까지 34계통을 모식물인 일품벼와 공시하였고, 그 외 종자 내 칼슘함량 조사를 비롯한 5가지 실험에서 이전에 실시한 Southern 분석 결과 CAX1 prove의 band 양상이 뚜렷이 나타난 7계 통(T-14, T-15, T-17, T-18, T-19, T-20, T-24)을 $T_4{\sim}T_6$ 계통에서 공시하였다. 앞으로 $T_7$ 세대에 대한 특성조사를 거쳐 $Ca^{2+}$함량이 안정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계통을 선발하여 세대육성하면 칼슘과 관련된 유전자의 내재해성 작물의 기초자료 이용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품질 고급화 및 안정성 향상 그리고 병충해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오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_4$ 세대에서 형질이 안정적으로 발현되면서 모품종과 유사하고 농업적 형질이 우수한 5 계통을 선발하여 $T_6$세대까지 농업적인 생육 안정성(수장, 수수, 간장)은 15, 17, 18, 24 계통들은 출수기가 모품종인 일품벼와 비슷한 경향이었고 14, 19, 20계통들은 일품벼보다 6~11일까지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형질전환체 7 계통의 간장을 조사한 결과 14 계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모품종인 일품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CAX1 형질전환체인 $T_5{\sim}T_6$세대에서 병저항성은 일품 모품종보다 벼도열병(blast)과 벼잎집무늬마름병(sheath blight)의 방제가가 낮게 나왔으며, 벼도열병은 2 년간 모두 모품종에 대비해 T-14, 17, 18, 19, 20은 방제가가 높게 나타나 병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벼잎집무늬마름병은 T-14, 19, 20, 24 계통이 방제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벼도열병과 벼잎집무늬마름병 모두 방제가가 높은 계통은 T-14, 19, 20 으로 조사되었다. 저온처리 된 벼의 초장 조사에서 각각 온실과 $17^{\circ}C$의 두 조건에 있어서 온실에서의 초장 조사와 생존 개체수를 대비해 볼 때 일품벼와 형질전환체 모두 정상적인 발육상태를 보였으나, 저온조건에서 초장 조사는 일품벼에 비해 $T_6$-19을 제외한 형질전환 계통들이 양호하였으며 $T_6$-18, 24 계통은 내한성 품종인 상주벼와 유사하거나 조금 차이가 났다. 종자내의 캄슘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T_3{\sim}T_7$ 종자를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는 $T_3$ 종자에서 452.2~1,376.2%로 칼슘함량이 증가되었고 분자 marker에 의해 선발하여 된 T7종자까지 분석한바 13.4~68.0%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동차산업의 디지털 개발 프로세스 구축

  • 강병식
    • 기계저널
    • /
    • 제53권1호
    • /
    • pp.51-55
    • /
    • 2013
  • 자동차산업은 CAx(CAS, CAD, CAE, CAM, CAT)로 대변되는 디지털 기법들을 '80년대부터 도입하여 개발효율을 높이고 제품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해 왔다. 현재는 특정기법을 활용한 해당 부문의 업무효율을 높이는 단계를 넘어서, CAx 기법들을 차량개발프로세스에 접목하여 전체 개발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관점의 디지털 개발 프로세스 구축이, 선진 자동차사의 관심사이다.

  • PDF

Expression of Arabidiopsis CAX4 in tomato fruits increases calcium level with no accumulation of other metallic cations

  • Jeong, Se-Woon;Han, Jeung-Sul;Kim, Kyung-Min;Oh, Jung-Youl;Kim, Byung-Oh;Kim, Chang-Kil;Chung, Jae-Do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337-343
    • /
    • 2008
  • We generated transgenic tomato plants with Arabidopsis thaliana $H^+$/cation exchanger gene (C4X4) by Agrobactrium-mediated transformation. We confirmed transgene copy number and transcription by Southern and Northern blot analyses. The intact CAX4-expressing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fruits contained 63-71% more calcium ($Ca^{2+}$) than wild-type fruits. Moreover, ectopic expression of C4X4 in tomato frui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crease of the four kinds of metallic cations analyzed ($Mg^{2+}$, $Fe^{2+}$, $Mn^{2+}$, and $Cu^{2+})$. The C4X4-expressing tomato plants including their fruits did not show any morphological alternations during whole growth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e enhanced Ca-substrate specificity of CAX4 exchanger in tomato. Therefore, intact CAX4 exchanger can be a useful tool for $Ca^{2+}$ nutrient enrichment of tomato fruits with reduced accumulation of undesirable cations.

사방정계 $Sr_{0.6}Ca_{0.4}CuO_2$ 화합물의 결정구조해석 (Crystal structure analysis of orthohombic $Sr_{0.6}Ca_{0.4}CuO_2$ compound)

  • Park, H.M.;Goetz, D.;Hahn, Th.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0-29
    • /
    • 1996
  • (Sr1-xCax)CuO2 단결정을 융제법으로 제조하고 단결정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그 결정구조를 밝혔다. 이 화합물의 결정축계는 사방정계(orthorhombic system)이며, 공간군은 Cmcm(63), 그리고 격자상수 a, b, c는 각각 3.4645Å, 16.1417Å, 3.8727Å이었다. (Sr1-xCax)CuO2 화합물에서 Sr대신 치환되는 Ca이온의 한계를 구조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X-선 회절(CAD4),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EDAX) and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EPMA) 등을 사용하였다. Ca가 치환됨에 따른 Cu-O 결합길이의 변화로부터 Ca의 치환한계를 결정하였는데 그 한계치는 Xca≒0.73이었다.

  • PDF

분자육종기법에 의해 선발된 형질전환 벼 계통의 작물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Agronomy Traits to Transgenic Rice Selected by Molecular Breeding Method)

  • 이현숙;강현구;박영희;정희영;김창길;한증술;손재근;김경민;박규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88-394
    • /
    • 2008
  • Arabidopsis thaliana $Ca^{2+}/H^+$ 수송체 유전자인 CAX 1(cation exchanger 1)이 도입된 벼 형질전환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grobacterium 이용 형질전환 CAX 1 벼 $T_5$ 세대를 대상으로 CAX 1밴드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농업적인 특징인 수장, 수수 및 간장은 모품종(일품)과 유사하였으며, 종자의 칼슘 함량도 높았다. 미립의 크기와 천립중은 모품종보다 약간 크나 거의 일치하고, 저온저항성과 도열병에 대한 내병성이 나타났다. $T_5$ 세대에서 형질이 안정적으로 발현되면서 모품종과 유사하고 농업적 형질이 우수한 3 계통을 선발하였다. 앞으로 $T_6$ 세대에 대한 특성조사를 거쳐 $Ca^{2+}$ 함량이 안정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계통을 선발하여 세대육성하면 칼슘과 관련된 유전자의 내재해성 작물의 기초자료 이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