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125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여성의 연령별 골밀도와 그에 미치는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I) 골밀도와 영양소 섭취 및 에너지 소비량의 관계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Nutrient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on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Women in Taegu)

  • 이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6호
    • /
    • pp.622-633
    • /
    • 1996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BMD) by age and the dietary factors influcencing on BMD in Korean women in Taegu. The subjects were 242 healthy female in the range of 7-67 years old, and were divided into 4 age groups. BMD of lumbar of lumbar spine, femur(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and total body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The nutrient intake measured by convenient method was similar to or more than the level of RDA.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 and BMD was observed. Particularly for lumbar spine and total body in group 4 (50-60yr), such as energy, carbohyrate, protein, fat, Ca, animal Ca, meat Ca, Fe, thiamin and niacin were fou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y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protein and lumbar spine and total body BMD in group 4, between ascorbic acid and total body BMD in group 2(17-34 yr). Energy expenditure showed better corrlations with BMD rather than nutrient intake. BMD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ubjects consuming a mean dietary Ca intake more than 125% of RDA compared with less than 75% of RDA. In high Ca intake group ($\geq$125% of RDA), there were th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nimal (meat) Ca and BMD in each bone of 7-9 years. The excessive intake of animal protein in this age group was foun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BMD and past milk consumptin were significant in all skeletal sites of group 1(7-16 yr).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most effective way of preventing osteoporosis and the fractures is to maximize peak bone mass in early life and to minimize bone loss through the balanced adequate intake of Ca and other nutrients and regular physical activity.

  • PDF

Extremely Increased Serum Carbohydrate Antigen 19-9 Levels Caused by New or Resistant Infections to Previous Antibiotics in Chronic Lung Diseases

  • Shin, Ji Young;Yoo, Su Jin;Park, Bo Mi;Jung, Sung Su;Kim, Ju Ock;Lee, Jeong E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3호
    • /
    • pp.125-127
    • /
    • 2013
  • In this paper, we describe 72-year-old female patient without evidence of malignant disease presented with significantly elevated serum carbohydrate antigen (CA) 19-9 levels by respiratory infections. She was diagnosed with respiratory infections due to Mycobacterium avium complex and Pseudomonas aeruginosa. The serum CA 19-9 levels remarkably increased (1,453-5,300 U/mL; reference range, <37 U/mL) by respiratory infection and abruptly decreased (357-534 U/mL) whenever infection was controlled by specific treatments. This case suggests that serum CA 19-9 levels may be used as a diagnostic marker to indicate new or resistant infections to previous antibiotics in chronic lung diseases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chest X-ray findings.

Prohexadione-calcium 처리에 따른 성목기 '후지'/M.9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 (Photosynthesis,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9 Mature Apple Trees in Response to Prohexadione-calcium Treatments)

  • 사공동훈;송양익;박무용;권헌중;김목종;윤태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762-770
    • /
    • 2014
  • 본 시험은 prohexadione-calcium(Pro-Ca) 살포가 성목기 '후지'/M.9 사과나무의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Pro-Ca은 $100-400mg{\cdot}L^{-1}$ 농도로 정단신초 길이가 5-10cm 정도 생장한 낙화기에 1회 수관전체 살포하거나 혹은 100, 125, $150mg{\cdot}L^{-1}$ 농도로 낙화기와 낙화 후 4-8주 경에 2회 살포하였다. 일반적으로 Pro-Ca 처리는 평균 신초장을 감소시켰으며, 그 정도는 처리농도에 비례하였다. 무처리에 비해 Pro-Ca $400mg{\cdot}L^{-1}$ 처리는 평균 신초장을 15-22% 정도 감소시켰으나, Pro-Ca $200mg{\cdot}L^{-1}$ 처리와는 차이가 없었다. 신초의 2차 생장발생률은 Pro-Ca 처리구가 무처리보다 높았다. 무처리에 비해 Pro-Ca 처리는 광합성속도를 5-10% 정도 향상시켰고, 또한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착색을 증진시켰다. 그러나 $400mg{\cdot}L^{-1}$ 처리는 과중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는데, 이는 Pro-Ca $400mg{\cdot}L^{-1}$ 처리구의 신초 2차 발생률이 무처리 및 Pro-Ca $200mg{\cdot}L^{-1}$ 처리구 보다 높았기 때문이었다.

셀룰로오스 분리막을 통한 순수 이산화탄소 메탄 및 혼합기체의 투과 특성 연구 (The Study of Permeation Characteristics for Pure Carbon Dioxide and Methane, and Gas Mixture in Cellulosic Membrane)

  • 김현준;김홍일;강용수;홍석인
    • 공업화학
    • /
    • 제7권4호
    • /
    • pp.605-613
    • /
    • 1996
  • Cellulose acetate(CA) 비대칭막, CA 복합막 그리고 cellulose triacetate(CTA) 비대칭막을 통한 순수 이산화탄소 및 메탄의 투과 특성을 측정하여, 투과성능의 운전압력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혼합기체($CO_2/CH_4=57.6/42.4$)에 대한 투과 특성을 조사하여, 이를 순수 기체의 투과 특성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은 25~125 psig의 분압과 상온에서 실험하였다. CA 복합막과 CTA 막을 통한 기체의 투과거동은 CA 막의 투과 거동과 비슷하였다. CA 막, CA 복합막 그리고 CTA 막을 통한 순수 이산화탄소의 투과속도는 상부분압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메탄의 경우에는 상부분압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하였다. 그러나 혼합기체의 경우 이산화탄소에 의한 가소화 효과와 각 기체의 경쟁효과에 의해 순수 기체와는 다른 투과거동을 보였다. 각각의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비교 할 때, CTA 막의 분리인자와 투과속도가 CA 막의 값들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A 복합막의 투과속도가 CA 막의 값보다 높은 값을 가졌다. 그러나 CTA 막의 경우 기계적 강도가 매우 낮았다. 결국 본 연구에 사용된 CA 복합막이 투과 플럭스가 크므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분리용 막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

방사면역측정법과 화학발광면역측정법간의 숙련도 비교평가 (The Evaluation of Proficiency Test between Radioimmunoassay and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 노경운;김태훈;김지영;김현주;이호영;최준영;이병일;최재걸;이동수
    • 핵의학기술
    • /
    • 제15권2호
    • /
    • pp.116-124
    • /
    • 2011
  • 핵의학 검체검사 외부정도관리 숙련도시험을 평가 지표인 정밀도 및 회수율 측정을 학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외부정도 관리혈청과 정확도 기반 WHO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하여 핵의학검사실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방사면역측정법과 진단검사의학과에서 자동화장비를 이용하는 주된 방법인 화학발광면역측정법을 2009년, 2010년 각각 2회씩 총 4회를 시행하였다. 2009년도 종양 표지자 5종에서 측정 간 정밀도는 RIA는 평균 $14.8{\pm}4.2%$, EIA(CLIA)는 평균 $19.2{\pm}6.9%$ 이며, 두 방법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010년도 종양 표지자와 갑상선 기능검사 9종에서 RIA는 평균 $13.8{\pm}6.1%$, EIA(CLIA)는 평균 $15.5{\pm}7.7%$로 RIA 검사는 AFP, CEA, PSA, CA 125, $T_3$, $T_4$, TSH 종목에서 측정 간 정밀도 허용범위인 20% 이내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고, 허용범위를 벗어난 CA 19-9는 p value 0.34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010년도 WHO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한 RIA 검사 회수율 측정에서 AFP, PSA, $T_4$, TSH는 92~103%로 양호한 회수율을 보였다. CEA, CA 125, CA 19-9는 WHO 인증표준물질이 아닌 상품화된 정도관리물질을 사용하여 낮은 회수율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T_3$ 종목에서 RIA는 $118{\pm}21.1%$를 보였으나, EIA(CLIA)에서는 $145{\pm}22.9%$로 과대평가된 높은 회수율을 보였고, TSH 종목에서 RIA는 $103{\pm}9.6%$로 좋은 회수율을 보였지만, EIA(CLIA)는 $67{\pm}15.3%$로 낮은 회수율을 보였다. 방사면역측정법은 자동화장비를 이용한 화학발광면역측정법과의 숙련도 비교평가에서 측정 간 정밀도는 허용범위인 20% 이내 또는 두 방법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회수율은 WHO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종목에서 90~110%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고, 이외 종목에서도 두 방법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따라서 방사면역측정법은 임상의에게 저렴한 비용으로 정확한 결과를 신속하게 보고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핵의학 체외진단키트에 대한 성능평가를 WHO 인증표준물질과 외부정도관리 숙련도 시험과 병행하여 수행함으로서 KOLAS 국제공인메디칼시험기관으로 인정받고 국제화와 검사실 표준화를 통하여 질 향상을 이루어야 한다.

  • PDF

Alginate와 pectin 첨가에 의한 콩묵의 텍스쳐 특성 (Textural Properties of Soygel with Added Alginate and Pectin)

  • 최희숙;박혜진;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6-341
    • /
    • 1995
  • Alginate, pectin과 Ca염이 콩묵의 텍스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콩묵은 전지대두분(300 mesh) 분산액에 sodium alginate나 pectin 및 Ca염을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Sodium alginate나 pectin을 전지대두분 분산액에 첨가했을 때 견고성, 부착성, 응집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가장 균일한 콩묵은 전지 대두분의 $12{\sim}15%$의 sodium alginate 또는 pectin을 첨가했을 때 얻어진 반면 sodium alginate와 pectin의 혼합 첨가는 텍스쳐 특성을 감소시켰다. 순위법에 의한 콩묵의 관능적 특성은 12% sodium alginate를 첨가하고 전지대두분 1g당 0.125g의 $CaSO_4$로 제조한 콩묵이 탄력성, 균일성, 부드러움성, 기호도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콩묵의 최적 제조조건은 전지대두분의 10배의 수분을 첨가한 분산액에 대두분의 12% sodium alginate를 혼합한 후 대두분의 12.5% $CaSO_{4}$ 또는 Ca $gluconate-CaSO_4$(50 : 50)를 첨가하여 $4^{\circ}C$에서 냉각시킨 것이다.

  • PDF

Magnetic Property of BixCa1-xMnO3: Experimental and First Principles Calculation Study

  • Na, Sung-Ho;Kim, Dong-Ji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4권1호
    • /
    • pp.1-6
    • /
    • 2009
  • The magnetic properties of ${Bi_x}{Ca_{1-x}}{MnO_3}$ for x = 0.12, 0.13, 0.14, 0.15, and 0.16 were examined by measuring magnetic susceptibility, resistivity and electron magnetic resonance at different temperatures. ${Bi_x}{Ca_{1-x}}{MnO_3}$ showed complicated magnetic structure that varies with temperature and composition, particularly around Bi composition x. 0.1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he magnetic and physical properties of ${Bi_x}{Ca_{1-x}}{MnO_3}$ change in this region. In addition, first principles calculations of the magnetic phase of ${Bi_x}{Ca_{1-x}}{MnO_3}$ for x = 0, 0.125, 0.25 were carried out, and the spin state, electric and magnetic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Indicates Advanced Disease for Uterine Papillary Serous Tumors Arising from Polyps

  • Ilker, Selcuk;Elmas, Korkmaz;Emre, Ozgu;Mengu, Turker;Erkaya, Salim;Tayfun, Gungo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257-4260
    • /
    • 2015
  • Background: Uterine papillary serous tumors are rarely seen and behave aggressively. Our aim was to evaluate uterine papillary serous tumors arising from polyp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opathological data of patients with uterine serous cancer arising from a polyp at the Gynecological Oncology Department of Zekai Tahir Burak Women's Health Education and Research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We analyzed patients according to FIGO 2009 staging system as stage 1A and higher than stage 1A (3 and 6, respectively). All the patients were postmenopausal. Mean CA-125, CA-19.9 and CA15.3 levels were elevated in higher than stage 1A group. However we did not find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ge, parity, polyp size, CA-125, CA-15.3, CA-19.9 and CEA levels.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LVSI) showed predictivity for advanced disease (p=0.025). Conclusions: The histopathologic nature of uterine serous carcinoma is a unique entity. LVSI is a prognosticator for defining an advanced stage uterine papillary tumor.

일부 폐경 후 여성의 영양소 섭취수준에 따른 골밀도와 소변 중 골대사 지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Bone Mineral Density and Urinary Bone Metabolic Makers according to the Nutrients Intake Levels in Postmenopausal Women)

  • 김미현;이다홍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8호
    • /
    • pp.719-727
    • /
    • 2007
  • 영양소 섭취수준과 골밀도 및 골대사 지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폐경 후 여성 22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영양소 섭취량을 한국영양섭취기준의 권장섭취량 대비 75% 미만을 섭취하는 군과 $75{\sim}125%$ 섭취군, 125% 이상을 섭취하는 군으로 구분하여 영양소 섭취수준에 따른 골밀도, 골대사 지표물질인 소변의 디옥시피리디놀린, 칼슘의 배설량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대상자의 골밀도 측정결과, 요추($L2{\sim}L4$)는 $0.86g/cm^2$이었으며, 대퇴경부가 $0.61g/cm^2$, 대퇴전자부는 $0.48g/cm^2$, 와드삼각부는 $0.42g/cm^2$를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자를 정상군(T값${\geq}-1$), 골감소증(-2.5${\leq}-2.5$)으로 구분한 결과, 와드삼각부는 전체 대상자중 79.1%, 대퇴경부는 전체의 67.6%가 골다공증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영양소섭취수준에 따른 골밀도를 비교한 결과, 단백질을 권장섭취량의 75% 미만 섭취하는 연구대상자의 대퇴경부 골밀도가 권장섭취량의 $75{\sim}125%$와 125% 이상을 섭취하는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3) 소변 디옥시피리디놀린 배설량은 단백질을 권장섭취량의 $75{\sim}125%$ 섭취하는 군에서 75% 미만과 125% 이상 섭취하는 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배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또한 칼슘을 75% 미만 섭취한 군과 125% 이상 섭취한 군보다 $75{\sim}125%$ 섭취한 군에서 소변의 디옥시피리디놀린의 배설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4) 소변 칼슘배설량은 단백질 섭취수준이 권장섭취량의 75% 미만 섭취 군과 125% 이상 섭취 군보다 $75{\sim}125%$ 섭취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비타민 C의 경우도 권장섭취량의 75% 미만과 125% 이상 섭취군보다 $75{\sim}125%$ 섭취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5) 연령 보정 후 단백질, 칼슘의 권장섭취량에 대한 비율은 대퇴경부 골밀도(각 p<0.05, p<0.01)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단백질(p<0.01)과 비타민 C(p<0.01), 나이아신(p<0.05)의 섭취량은 소변 중 칼슘 배설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폐경 후 여성에게서 영양소 섭취수준에 따라 골대사 지표물질의 농도에도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단백질의 섭취수준과 칼슘, 비타민 C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쳐 부족하거나, 과잉되지 않는 적정 섭취 범위 내에서 골용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경 이후 여성의 골격건강을 위하여 영양소의 적정섭취가 중요하며 부족뿐만 아니라 건강을 염려한 특정영양소의 과잉 섭취도 바람직하지 않은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Urinary Concentrations of Human Epidydimis Secretory Protein 4 (He4) in The Diagnosis of Ovarian Cancer: A Case-Control Study

  • Macuks, Ronalds;Baidekalna, Ieva;Donina, Simo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695-4698
    • /
    • 2012
  • Objective: To analyze differential diagnostic accuracy of urinary human epidydimis secretory protein 4 (HE4) in patients with ovarian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case-control study 23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37 patients with benign ovarian tumors and 18 women in the control group were included. Serum CA125 values and urinary concentrations of HE4were assessed quantitatively. Urinary creatinine concentrations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were also determined and used to calculate ratios to HE4. Results: Higher urinary HE4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late stage ovarian cancer (p=0.001) and also in patients with early stage ovarian cancer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 benign ovarian tumors (p=0.044). On analysis where all ovarian cancer patients were included, higher diagnostic accuracy was observed with calculated ratio of HE4 to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to unchanged urinary HE4 concentrations -AUC 0.861 vs. 0.858. When discriminatory accuracy was calculated for urinary HE4/GFR ratio and unchanged urinary HE4 concentrations, the last demonstrated a higher area under the curve - 0.701 vs. 0.602. The urinary HE4/creatinine ratio had lower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than unchanged concentrations of urinary HE4. However, HE4 serum concentration was more accurate for discrimination of patients with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when compared to urinary HE4 and CA125 in sera (AUCs were 0.868 for serum HE4 and 0.856 and 0.653 for urinary HE4 and CA125, respectively). Conclusions: Ovarian cancer patients have higher urinary concentrations of human epidydimis secretory protein 4 than patients with benign ovarian tumors. Urinary HE4 has comparable discriminatory accuracy with serum HE4 for benign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and can be recommended as a non-invasive ovarian cancer risk assessment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