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Urban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3초

캐나다의 도시권 획정 (Census Metropolitan Area/Census Agglomeration in Canada)

  • 변필성;김광익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61-272
    • /
    • 2006
  • 본고는 캐나다의 도시권 획정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이 센서스 연도마다 정의하는 Census Metropolitan Area/census Agglomeration(CMA/CA)에 초점을 맞추었다. CMA/CA의 획정은 도시지역의 공간적 정의를 위한 밀도접근, 토지이용 접근, 기능지역 접근 중에서 기능지역 접근에 근거한다. 그러나 CMA/CA는 그 획정과정에서 밀도접근 및 토지이용접근을 토대로 캐나다 통계청이 정의하는 등질지역으로서의 도시지역(Urban Area, UA)을 활용한다는 특성을 갖는다. 실제로 인구 10,000명 이상의 UA는 CMA/CA의 중심부가 된다. 캐나다의 CMA/CA 고찰을 통해, 본고는 우리나라 도시권 획정에 고려할만한 주요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도시와 농촌지역 일부 여성들의 골격상태와 관련된 영양소 섭취 및 소변 배설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en Dietary Factors, Urinary Levels of Ca, Na and the Bone Status of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s)

  • 유경희;공영애;윤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78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etary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bone status of 28 women in urban and 30 women in rural area. Urinary excretion of hydroxyproline(Hpr) and Calcium(Ca) were measured as biological markers of bone resorption. Mean daily intake levels of total protein, animal protein, total calcium, calcium, calcium from milk and milk products, animal calcium, Ca / P ratio by 24 hr recall meth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urban women. However, mean daily sodium(Na) intak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a Index score and Na Index score by food frequency methods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urban than in rural subjects. While urinary Ca excretion elves of two groups were similar, Na excret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ural women. Mean urniary levels of Ca / creatinine(cr) and Hpr / cr as bone status index were within normal range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However, prevalence of poor bone status as assessed by hydroxyproline was higher in rural women. Na Index, urinary Ca excretion and Ca / cr ratio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ne status(Hpr / cr) in urban women, while only age was related to bone status in rural women. These demonstrated that high Na intake results in increased urinary excretion of Na and Ca and could cause bone resorp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Na Index score and age have greater effect than other variables in urban women and only age has greater effect in rural women.

  • PDF

요인분석 및 CA-Markov기법을 이용한 미래의 도시화 진행 양상 예측기법 개발 (Prediction of the Urbanization Progress Using Factor Analysis and CA-Markov Technique)

  • 박근애;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6호
    • /
    • pp.105-114
    • /
    • 2007
  •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spatial expansion of urban areas by applying CA(Cellular Automata)-Markov technique considering MCE(multi-criteria evaluation) and MOLA(multi-objective land allocation) of factor analysis. For the 10 administration districts$(3677.3km^2)$ including the whole Anseong-cheon watershed, the past six temporal land use data(1973, 1981, 1985, 1990, 1994, 2000) from Landsat satellite images were prepared. During this period, the urban area increased $233.71km^2$. Using the 36 indices composed of topological characteristics, population and land use change, the final factor map of MOLA was produced through 5 maps of MCE. Using 1990 and 1994 land use data, the 2000 predicted urban area of CA-Markov with factor map showed 0.06% improvement of absolute error comparing with that of CA-Markov without factor map. By the CA-Markov technique considering factor map, the 2030 and 2060 urban area increased $58.94km^2(0.78%)\;and\;60.14km^2(0.81%)$ respectively comparing with 2000 urban area$(313.19km^2)$. The 2030 and 2060 paddy area decreased $93.28km^2(2.54%)\;and\;93.65km^2(2.55%)$ respectively comparing with 2000 paddy area$(1383.23km^2)$.

GIS-CA 기법을 이용한 도시확산 지역의 공간적 모의 (Spatial Simulation of Urban Expansion Area using GIS and CA Technologies)

  • 김대식;정하우
    • 농촌계획
    • /
    • 제10권4호
    • /
    • pp.9-18
    • /
    • 2004
  • The purpose or this study is to simulate spatially the urban expansion phenomena with a cellular automata (CA) technique using GIS. A study area, Suwon city, was selected for test of model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with the classified land-use maps of three data years: 1986, 1996, and 2000. The urbanized potential maps were generated with seven criteria of one geographic factor (slope of land), and six accessibility factors (time distances from city, national road, Seoul, station, and built-up boundary), considering their weighting values, which were optimized by WSM (weighted scenario method for intensity order) combined a ranking method and a AHP technique. The optimized weighting values at the urban expansion between 1986 and 1996 were applied to verify the CA model for the other expansion between 1996 and 2000. The results of model application showed that urban sprawl phenomena of the urban expansion toward rural area can be simulated spatially and temporally with several boundary conditions considering various scenarios for the criteria and parameters of the model. Ultimatel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reference data for land-use planning of urban fringe areas.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CA-Urban 모형의 개발 및 침수해석 평가: Portland 도심 적용 사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ellular Automata based urban inundation model CA-Urban : City of Portland case)

  • 이송희;최현진;우현아;노성진;김상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4-334
    • /
    • 2023
  • 도시침수는 사회 기반시설에 파괴적인 영향을 끼치고, 재산 및 인명 피해의 원인이 되므로, 고해상도 고정확도 예측 정보를 활용한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 강도의 증가, 도시의 확장 및 고밀화 등 토지피복 변화, 홍수방어시설의 노후화 등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도시침수의 정확한 재현 및 예측은 여전히 난제로 남아 있다. 천수 방정식(Shallow Water Equations)을 기반으로 하는 물리과정 모형은 신뢰도 높은 예측 결과를 제공할 수 있지만, Courant-Friedrichs-Lewy 조건 등의 제약으로 인해 대규모 도시 지역의 고해상도 실시간 예측에는 적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연산 규칙의 중첩을 통해 복잡계 물리 시스템을 모의하는 셀룰러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CA) 기술에 기반한 도시침수 해석 모형인 CA-Urban을 개발하고, 미국 Oregon 주 북서쪽에 위치한 Portland시의 도심지역에 대해 침수해석의 적용성을 평가한다. 세부적으로는, 기존 셀룰러 오토마타 기반 침수해석알고리즘의 수치 진동(Oscillation) 문제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안정성 향상 방법인 셀 간 최대유량 제한, 가중치 적용 기법, 모형의 계산 효율성 향상을 위한 최적 적응 시간 단계 기법(Adaptive time step)의 적용 결과를 소개한다. 또한, 침투 및 증발산 등 물순환 요소 해석 모듈의 개발 성과 및 방향에 대해서 토의한다.

  • PDF

도시성장모형의 시뮬레이션 자동화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Urban Growth Model's Automation)

  • 윤정미;박정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
    • /
    • 2008
  • 최근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셀룰라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 CA)를 이용한 연구방법이 도시성장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CA는 셀 상태가 전이규칙에 따라 새로운 시점의 상태로 변하는 연산을 반복한다. 또한 퍼지-AHP를 이용하여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고, 유연한 도시성장 모델링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AHP의 경우 가중치 도출까지 의사수렴 작업이 반복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많은 연산 모델링이 필요하고, 도출된 데이터 관리 및 일정 기준 시점마다 일치성을 검증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변수에 상대적 가중치를 부여하는 AHP 단계부터 셀룰라 오토마타를 이용한 도시성장 및 검증과정을 자동화하여 부산시 도시성장을 분석하고 예측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시성장 모델링의 복잡성과 반복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검증과정 부분을 통해 유용성 높은 모델링을 할 수 있으며, 작성된 모듈을 사용하여 이와 유사한 사례 연구에 적용할 수 있다.

  • PDF

공간 연관규칙의 추출과 적용 - 도시성장 예측모델을 사례로 - (Extraction and Application of Spatial Association Rules: A Case Study for Urban Growth Modeling)

  • 조성휘;박수홍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44-456
    • /
    • 2004
  • 최근 GIS 분야에서는 GIS와 동적 프로세스 모델링에 기반한 셀룰라 오토마타(CA)의 결합을 통한 공간모델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의 CA 모델링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핵심이 되는 규칙을 찾아내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와 지식 발견 기법을 이용하여 공간 연관규칙을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의 제시는 CA 모델링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례로 적용한 도시지역 확장 외에 다양한 문제에 대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A-Markov 모형을 이용한 대구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 모델링 (Modeling the Spatial Dynamics of Urban Green Spaces in Daegu with a CA-Markov Model)

  • 서현진;전병운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23-141
    • /
    • 2017
  •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셀룰라 오토마타-마르코프(Cellular Automata: CA-Markov)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제한구역 유지 및 해제 시나리오별 2020년의 녹지를 예측하고, 토지피복 변화탐지기법 및 공간메트릭스를 이용하여 2009년과 2020년간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마르코프 체인(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하여 1998년과 2009년의 환경부 토지피복도에 기초한 토지피복변화의 전이확률을 도출하였다. 마르코프 전이확률을 보다 현실에 가깝게 보정하기 위하여 대구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주는 제약요인을 선정하여 다기준 평가(Multi-Criteria Evaluation: MCE)를 통해 적합성 지도(suitability map)를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 마르코프 전이확률과 적합성 지도를 셀룰라 오토마타 모형과 결합한 CA-Markov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제한구역의 해제 유무에 따른 두 가지 시나리오에 기반을 두고 2020년의 토지피복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타당성은 2009년의 예측된 토지피복도와 2009년의 실제 토지피복도를 비교하여 산출된 Kappa 계수로 검증하였다. 예측된 토지피복 가운데 녹지만을 대상으로 녹지피복변화를 탐지하고 이동창 샘플링을 적용한 공간메트릭스를 산출하여 2009년과 2020년간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도시화 추세가 지속되고 개발제한구역이 유지되는 경우, 달성군, 달서구의 성서, 동구의 안심, 북구의 칠곡 등과 같은 교외 지역에서 2020년에 녹지의 파편화(fragmentation)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되는 경우, 개발제한구역 경계 주변부에서 녹지의 파편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래 대구시의 지속가능한 녹지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공간적 변화 양상을 충분히 고려하여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PDF

중심지리론에 의한 도시근린공원의 세력균점점리론 모형 (Equilibrium Point Model Of Urban Community Parks Based On A Centrality Index Model)

  • 권상준;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0-128
    • /
    • 1993
  • This study suggests one hypothesis: The strength of the catchment forces of urban community parks can be represented as an equilibrium point model, which is derived from a centrality index for. That model was designed by Reilly(1931) and developed by Godlund(1956). An equilibrium point model for the catchments is represented as followed formulae: m=$\frac{CA2}{CA-CB}$ m=$\frac {{{{{L SQRT {{C}_{A}$.$ {C}_{B}} {CA-CB} Here, m is distance from the center of park A to the cetner of park B. r is radius of a circle where the catchment between park A and B is equal pointed traces. CA is index of the centrality of park A from Reilly's Law. CB is an index of the centrality of park B from Reilly's Law. L is an the distance between park A and B. The equilibrium point model is testified in the case of Chong-ju community parks. The testification has been limited to the application to such manifest outdoor recreational facilities as bentches, even though there are statistically and economically problems for a quantitative model to be testified. But the testification could be a rationale for the catchment forces of urban community parks, which was quantitatively represent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wo or there parks should be related with the feasibility of the parks. Therefore, the urban community park should be planned to be located, hiving separately its identity that might be considered with the facility diversification and the locational competitiveness of a park.

  • PDF

부산권 도시성장 잠재지역의 특성 및 토지이용규제 실태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Land Use Regulation of Urban Growth Potential Area in Busan Metropolitan City)

  • 김호용;김지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8-148
    • /
    • 2018
  • 토지이용의 합리화를 위하여 도입된 토지이용규제는 사회경제적인 발전과 함께 복잡다기화 되면서 국민경제생활에 불편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최근 규제 완화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A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부산권 도시성장의 잠재지역을 도출하고, 토지이용 규제지역과 함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토지이용규제 제도가 실제로 도시성장을 억제하고 토지이용의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는지, 또는 국민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다른 요인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외부의 개발압력이 높은 지역에 존재하는 개발제한구역은 토지이용규제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지만, 많은 지역에서 토지이용에 대한 다중규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순기능을 하고 있는 토지이용규제는 최대한 유지하면서, 도시성장 잠재력이 높은 지역에 존재하는 다중규제를 재고하는 등 다양한 접근과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