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sus Metropolitan Area/Census Agglomeration in Canada

캐나다의 도시권 획정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This work examines the delimitation of metropolitan areas in Canada, focusing on the Census Metropolitan Areas/Census Agglomerations(CMAs/CAs) that the Statistics Canada defines every Census year. The CMA/CA is built upon the functional-area method which is among the three approaches (i.e., density-based, land use-based, functional-area approaches) to the definition of an urban area. Importantly, the delimitation of a CMA/CA employs the Urban Area(UA) which the Statistics Canada defines via density-based and land use-based methods. In particular, the UA which has 10,000 or more residents is the urban core of a CMA/CA. Our examination of the CMA/CA in Canada also presents some points to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delimitation of metropolitan areas in Korea which has yet to be implemented.

본고는 캐나다의 도시권 획정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이 센서스 연도마다 정의하는 Census Metropolitan Area/census Agglomeration(CMA/CA)에 초점을 맞추었다. CMA/CA의 획정은 도시지역의 공간적 정의를 위한 밀도접근, 토지이용 접근, 기능지역 접근 중에서 기능지역 접근에 근거한다. 그러나 CMA/CA는 그 획정과정에서 밀도접근 및 토지이용접근을 토대로 캐나다 통계청이 정의하는 등질지역으로서의 도시지역(Urban Area, UA)을 활용한다는 특성을 갖는다. 실제로 인구 10,000명 이상의 UA는 CMA/CA의 중심부가 된다. 캐나다의 CMA/CA 고찰을 통해, 본고는 우리나라 도시권 획정에 고려할만한 주요사항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