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G. Jung

검색결과 3,260건 처리시간 0.034초

CONVERGENCE OF VISCOSITY APPROXIMATIONS TO FIXED POINTS OF NONEXPANSIVE NONSELF-MAPPINGS IN BANACH SPACES

  • Jung, Jong-Soo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81-95
    • /
    • 2008
  • Let E be a uniformly convex Banach space with a uniformly $G{\hat{a}}teaux$ differentiable norm, C a nonempty closed convex subset of E, and $T\;:\;C\;{\rightarrow}\;E$ a nonexpansive mapping satisfying the weak inwardness condition. Assume that every weakly compact convex subset of E has the fixed point property. For $f\;:\;C\;{\rightarrow}\;C$ a contraction and $t\;{\in}\;(0,\;1)$, let $x_t$ be a unique fixed point of a contraction $T_t\;:\;C\;{\rightarrow}\;E$, defined by $T_tx\;=\;tf(x)\;+\;(1\;-\;t)Tx$, $x\;{\in}\;C$. It is proved that if {$x_t$} is bounded, then $x_t$ converges to a fixed point of T, which is the unique solution of certain variational inequality. Moreover, the strong convergence of other implicit and explicit iterative schemes involving the sunny nonexpansive retraction is also given in a reflexive and strictly convex Banach space with a uniformly $G{\hat{a}}teaux$ differentiable norm.

  • PDF

태양(太陽)에너지를 이용(利用)한 겨울철 미꾸리 성장에 관한 연구(II) (Misgurnus anguillicaudatus(CANTOR) Breeding in Winter Season by Solar Thermal Heating(II))

  • 정현채;선경호;백용선
    • 태양에너지
    • /
    • 제12권3호
    • /
    • pp.94-10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실용화된 경희대 부설 태양에너지 연구소의 신 개발 태양열 온수기로부터 생산된 온수를 이용하여 수온이 낮은 3, 4, 10, 11월 중에는 물론 한 겨울철에도 미꾸리의 최적 성장온도를 유지시켰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장을 위한 최적수온은 체장이 $7{\sim}9cm$이며 체중이 $4{\sim}6g$인 미꾸리는 $21{\sim}23^{\circ}C$이고 체장이 $9{\sim}11cm$이며 체중이 $6{\sim}8g$인 미꾸리는 $23{\sim}25^{\circ}C$이고 체장이 $11{\sim}13cm$이며 체중이 $8{\sim}10g$인 미꾸리는 $25{\sim}27^{\circ}C$이었다. 체중이 $5{\sim}10g$이며 체장이 $8{\sim}13cm$인 미꾸리의 성장속도가 가장 빠르며, 체중이 15g이상이 되면 성장의 둔화를 보였다. 총 개체수의 무게 총량은 1개월간에 $50{\sim}80g$이 증가하였다.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 nalidixic acid, piromidic acid, oxolinic acid의 경구투여 약물동태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pharmacokinetics of nalidixic acid, piromidic acid and oxolinic acid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 정승희;김진우;서정수;최동림;지보영;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7-67
    • /
    • 2010
  • 퀴놀론계 항균제인 nalidixic acid(OA), piromidic acid(PA), oxolinic acid(OA)를 사육수온($13{\pm}1.5^{\circ}C$, $23{\pm}1.5^{\circ}C$)에 따라서 넙치(평균체중 700 g)에 60 mg/kg의 농도로 1회 경구 투여한 다음, 경시적인 혈청내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수온이 $23{\pm}1.5^{\circ}C$의 경우, 투여 후 NA는 10시간째 ($11.55{\mu}g/m\ell$), PA는 24시간째($3.79{\mu}g/m\ell$), OA는 30시간째($1.12{\mu}g/m\ell$)에 각각 최대혈중농도에 도달하였다. 수온이 $13{\pm}1.5^{\circ}C$의 경우, 투여 후 NA는 10시간째($6.36{\mu}g/m\ell$), PA는 15시간째($1.4{\mu}g/m\ell$), OA는 30시간째($1.01{\mu}g/m\ell$)에 각각 최대혈중농도에 도달하였다. NA와 PA의 넙치 혈중내 흡수정도는 수온 $13{\pm}1.5^{\circ}C$보다 수온 $23{\pm}1.5^{\circ}C$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NA의 넙치 혈중내 소실정도는 수온 $13{\pm}1.5^{\circ}C$보다 수온 $23{\pm}1.5^{\circ}C$에서 두드러지게 빨랐다. 한편 OA의 넙치 혈중내 흡수 및 소실정도는 사육수온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A 및 PA는 one-compartment model, OA는 two-compartment model로 해석하여 WinNonlin program을 이용,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parameter)를 조사하였다. 수온이 $23{\pm}1.5^{\circ}C$의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NA, PA, OA가 각각 258.26, 248.12 및 $138.20{\mu}g{\cdot}h/m\el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10.67, 21.15 및 23.95 h, 혈중최고농도($C_{max}$)는 8.91, 3.09 및 $1.06{\mu}g/m\ell$로 계산되었다. 수온이 $13{\pm}1.5^{\circ}C$의 경우, AUC는 NA, PA, OA가 각각 341.45, 103.89 및 $159.10{\mu}g{\cdot}h/m\el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은 7.72, 12.89 및 28.03 h, 혈중최고농도는 6.23, 1.22 및 $1.02{\mu}g/m\ell$로 계산되었다.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C.G.S 공법의 개량효과 예측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mprovement Effect Prediction System of C.G.S Method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 김정훈;홍종욱;변요셉;정의엽;서석현;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9호
    • /
    • pp.31-37
    • /
    • 2013
  • 본 연구는 C.G.S공법 적용 지반을 설치 직경, 설치 간격, 면적 치환율, 지반강성에 따른 모델링을 실시함으로써 주변 지반의 거동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인공신경망의 매개변수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인공신경망 모델을 선정하여 수치해석과 인공신경망 연계를 통한 인공신경망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C.G.S 말뚝 침하량 및 지반 침하량은 직경, 설치 간격, 면적 치환율, 지반강성 별로 일치하여 하나의 곡선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C.G.S 공법 적용 지반의 거동양상이 일정한 형태로 나타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3차원 거동에 대한 인공신경망 학습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인공신경망의 내적인자 연구 결과, 은닉층 뉴런수 10개, 모멘텀 상수 0.2, 학습률의 경우 0.2를 사용할 경우 입력과 출력간의 관계가 적절히 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공신경망 모델의 최적구조를 이용하여 C.G.S 공법의 지반 거동을 평가한 결과는 결정계수 값이 C.G.S 말뚝 침하의 경우는 0.8737, 지반 침하의 경우는 0.7339, 지반 융기의 경우는 0.7212로 나타나 충분한 신뢰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CONFORMAL DEFORMATION ON A SEMI-RIEMANNIAN MANIFOLD (I)

  • Jung, Yoon-Tae;Lee, Soo-Young
    • 대한수학회보
    • /
    • 제38권2호
    • /
    • pp.223-230
    • /
    • 2001
  • In this parper, we considered the uniqueness of positive time-solution to equation ${\Box}_g$u(t,$\chi$) - $c_n$u(t,$\chi$) + $c_n$u(t,$\chi$)$^[\frac{n+3}{n-3}]$ = 0, where $c_n$ = $\frac{n-1}{4n}$ and ${\Box}_g$ is the d'Alembertian for a Lorentzian warped manifold M = {a,$\infty$] $\times_f$ N.

  • PDF

연속/액류방식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감량특성 (Properties of Alkali Hydrolyzed Polyester Fabric by CDR/Liquor-Flow Type)

  • Seo, Mal-Yong;Park, Han-Do;Park, Ki-Su;Han, Sun-Ju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46
    • /
    • 1997
  • In this study, Two types of polyester fabrics were hydrolysed with NaOH using the CDR m/c of pad-steam type and the Sofleena m/c of liquor-flow type to determine the alkali hydrolysis properties of polyester fabr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weight loss of charmeuse was about 0.5% and 2~3% higher than that of pebble with CDR m/c and with Sofleena m/c, respectively. The weft density of pebble decreased about 14picks/inch with CDR m/c and 3picks/inch with Sofleena m/c comparing to the untreated sample at 18% of weight loss, while the weft density of charmeuse decreased about 5picks/inch with CDR m/c and 2picks/inch with Sofleena m/c at 20% of weight toss. K/S value decreased almost identically within about 11% weight loss of pebble and 8% of charmeuse processed with both CDR and Sofleena. However, in the above these weight losses, K/S value of the fabrics processed with Sofleena was higher than that of fabrics processed with CDR. The bending rigidity of warp direction of the fabrics ($2{\times}10^{-2}gf.cm^2 /cm$ higher for charmeuse and ($7{\times}10^{-3}gf.cm^2 /cm$ higher for pebble) processed with CDR m/c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abrics processed with Sofleena m/c.

  • PDF

Bioconversion of Cyanidin-3-Rutinoside to Cyanidin-3-Glucoside in Black Raspberry by Crude α-ʟ-Rhamnosidase from Aspergillus Species

  • Lim, Taehwan;Jung, Hana;Hwang, Keum Tae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1호
    • /
    • pp.1842-1848
    • /
    • 2015
  • Cyanidin-3-glucoside (C3G) has been known to be more bioavailable than cyanidin-3-rutinoside (C3R), the most abundant anthocyanin in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bioavailability of anthocyanins in black raspberry by cleaving ʟ-rhamnose in C3R using crude enzyme extracts (CEEs) from Aspergillus usamii KCTC 6956, A. awamori KCTC 60380, A. niger KCCM 11724, A. oryzae KCCM 12698, and A. kawachii KCCM 32819. The enzyme activities of the CEEs were determined by a spectrophotometric method using ρ-nitrophenyl-rhamnopyranoside and ρ-nitrophenyl-glucopyranoside. The CEE from A. usamii had the highest α-ʟ-rhamnosidase activity with 2.73 U/ml at 60℃, followed by those from A. awamori and A. niger. When bioconversion of C3R to C3G in black raspberry was analyzed by HPLC-DAD, the CEEs from A. usamii and A. awamori hydrolyzed 95.7% and 95.6% of C3R to C3G, respectively, after 2 h incubation. The CEEs from A. kawachii and A. oryzae did not convert C3R to C3G in black raspberry.

도라지 뿌리 중의 지질(脂質) 구성성분(構成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 in Root of Platycodon Glaucum N.)

  • 정옥희;이만정;한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44
    • /
    • 1975
  • This experiment was purposed to examine the natures of lipids in Platycodon glaucum root, one of the well-known vegetable food stuffs in Korea. The results on the lipids obtained as forms of esters of glycerol or sterol and their derivatives by the methods of T. L. C and G. C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ature of lipids was shown as a yellow- brownish color, a little viscosity and the characteristic odor of Platycodon glaucum. 2. In case of the neutral lipid part, it was composed with the ratio of T. G 77.3%, D. G 4.9%, M. G 4.0%, S. E 8.7%, F. F. A 2.5%, and S 2.4%. 3. Considering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T. G, the amount of saturated fatty acids was about 52.0%, and that of unsaturated about 14.0%. And the principal fatty acid of T. G remained primarily as palmitic and stearic acid.

  • PDF

다양한 침지처리가 대두의 미생물 오염 및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Presoaking Treatments on the Microbial Contamination and Germination Ratio of Soybeans)

  • 김태진;김영진;정병문;김응률;최원선;정후길;전호남;성창현;유상호;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80-1285
    • /
    • 2006
  • 다양한 조건으로 대두를 침지하여 대두 발아시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최대한 방지하고 발아율을 높이는 조건을 검토하기 위해 대두를 멸균수, 0.1%의 자몽씨 추출물과 0.1%의 비타민 $B_1$ 유도체(AS5, vitagen)용액 등에 $25^{\circ}C,\;35^{\circ}C,\;45^{\circ}C,\;55^{\circ}C$에서 $3\sim1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25^{\circ}C$, 상대습도 95%의 조건에서 3일 동안 발아시키며 발아율을 관찰하였다. 침지전 대두의 일반 미생물수는 $6.0\times10^5CFU/g$, 대장균군수는 $3.0\times10^5CFU/g$이었고, 대부분의 침지조건에서 미생물 오염 정도는 감소하였다. 침지 대두의 발아율은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미침지 대두보다 발아율이 떨어졌고 $45^{\circ}C$이상에서는 급격히 떨어져 $55^{\circ}C$에서는 발아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이 관찰되었다. 대두의 발아율은 침지용액의 종류와 침지시간 및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대두의 미생물 오염 감소와 초기발아를 유도를 위한 최적 조건은 자몽씨 추출물을 사용하여 $35^{\circ}C$에서 6시간 침지시켰을 때였다.

상대습도 및 저장 온도가 분말녹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Green Tea Powder)

  • 이정민;임상욱;조성환;최성길;허호진;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3-88
    • /
    • 2009
  • 분말 녹차를 상대습도(23, 69, 81%)와 온도(-20, 4, $20^{\circ}C$)를 달리하여 3달간 저장한 후, 1.5 g에 100 mL을 첨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 아스코르브산 함량, 카테킨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상대습도 23%, $4^{\circ}C$의 조건에 저장한 경우에서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 아스코르브산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각각 287.1mg/g, 44.9 mg/g, 36.9 mg/g의 값을 보였다. 이는 저장 초기의 각각의 측정값인 267.5 mg/g, 49.4 mg/g, 24.2 mg/g에 비해 총 페놀과 아스코르브산은 증가하였고, 총 플라바놀 함량은 감소하였다. 카테킨류의 경우에도 상대습도 23%, $4^{\circ}C$에 저장하였을 때 가장 높았는데 주된 카테킨인 EGC와 EGCG는 초기의 16.9와 27.3 mg/g에서 3달 후에는 각각 24.3과 36.5 mg/g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카페인도 같은 조건에서 초기의 20.7 mg/g에서 3달 후에는 30.7 mg/g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높고 온도가 $-20^{\circ}C$$20^{\circ}C$에 저장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각 성분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분말 녹차의 상대습도와 저장 온도가 녹차의 품질 보존에 매우 중요하며, 낮은 습도에서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녹차의 품질 유지에 유리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