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mplant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3초

임플랜트 고정체와 지대나사간의 부식특성에 관한 연구 (CORROSION CHARACTERISTICS BETWEEN IMPLANT FIXTURE AND ABUTMENT SCREW)

  • 기수진;권혁신;최한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5-9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between implant fixture and two types of abutment screw ; gold screw, titanium screw. The anodic polarization behavior, the galvanic corrosion behavior, and the crevice corrosion behavior of prepared samples were investigated using potentiosta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nodic polarization behavior of samples; The primary passivation potential of implant fixture was -420mV, implant abutment was -560mV. titanium screw was -370mV and gold screw was -230mV. All samples were shown to have a high corrosion potential and good formation of passive film. The critical passive current density of gold screw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amples and the sample of gold screw showed a unstable passive film formation at passive region. 2. Galvanic corrosion behavior of samples; Contact current density between implant fixture and titanium screw showed $8.023{\times}10^{-5}C/cm^2$. Contact current density between implant fixture and gold screw showed $5.142{\times}10^{-5}C/cm^2$. 3. Crevice corrosion behavior of samples; The crevice corrosion resistance of sample using titanium screw was higher than that of sample using gold screw, and a severe corrosion morphologies were observed at the fixture-screw interface by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PDF

분리형 미니 임플란트를 이용한 효과적인 악간고정법의 소개 (TWO PART MINI-IMPLANT AS AN EFFICIENT TOOL FOR INTERMAXILLARY FIXATION)

  • 이원;김인수;서운경;허현아;김성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5호
    • /
    • pp.477-482
    • /
    • 2006
  • The new type of orthodontic mini-implant named C-implant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one-component mini-implant in the intermaxillary fixation (IMF) cases because of its particular design. The small size, two-part design, efficiency, and low cost of the C-implant make it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IMF cases easily such as fracture reduction and orthognathic surgery. The two part design resists highly to the fracture or deformation during implantation and removal. The long span head allows the patient to easily attach intermaxillary elastics, so that the patient can apply intermaxillary elastics for traction easily. Through this article, we tried to show the possibility of this appliance as a good adjunct for the IMF screw.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로 인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에 관한 연구 (Study of heat transfer to the implant-bone interface induced by grinding of occlusal surface of implant gold prosthesis)

  • 조재영;강선녀;정창모;윤미정;허중보;전영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9-35
    • /
    • 2012
  • 연구 목적: 임플란트-골 계면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은 골유착을 저해하여 임플란트의 실패를 유발한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시 임플란트-골 계면으로의 열전달 양상과 냉각 방식의 효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온도 감지 장치 제작을 위하여 Internal cone 연결형태의 임플란트에 16개의 K형 열전대를 부착하여 아크릴릭 레진에 포매하였다. 치과용 금 합금과 주조용 abutment를 사용하여 교합면에 3개의 요철을 가지는 시편을 10개 제작하였고, 연결 나사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와 연결한 뒤 온도 감지 장치를 $37^{\circ}C$ 유지되는 수조에 위치시켰다. 저속 핸드피스와 green stone bur를 이용하여 30초 동안 보철물의 요철을 삭제하였는데, 무냉각군, 공기 냉각 군, 물 분사 냉각 군으로 나누어 요철을 삭제하였다. 보철물이 삭제 되는 동안 임플란트의 부위별로 온도가 0.05초 간격으로 기록되었고, 삭제를 멈춘 뒤에도 무 냉각 군의 경우 임계 온도인 $47^{\circ}C$ 이하로 온도가 하강할 때까지, 공기 냉각군과 물 분사 냉각군의 경우 삭제 중단 후 30초 동안 추가로 온도를 기록하였다. 냉각 방식에 따른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를 알아보고, 임플란트의 부위별 온도변화의 유의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Turkey HSD 이용하여 95% 유의수준에서 사후 검증하였다. 결과: 무 냉각 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circ}C$ 이상으로 상승하였으며, 임플란트의 경부에서 유의하게 높은 열이 측정되었다(P>.05). 공기냉각군과물분사냉각군은 임플란트-골 계면의 온도가 $47^{\circ}C$ 이하로 유지되었다. 무 냉각 군에서 임플란트 경부의 온도가 $47^{\circ}C$에 도달되는 데는 약 $10.8{\pm}1.5$초가 소요되었다. 공기 냉각 군과 물 분사 냉각 군 사이에서는 임플란트-골 계면 온도의 유의차가 없었다(P>.05).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임플란트 금 합금 보철물의 교합면 삭제 시, 임플란트 주위 조직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임계 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냉각 방식은 공기 냉각과 물 분사 냉각 모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반복하중에 따른 수종 임플란트의 피로파절에 관한 연구 (Fatigue fracture of different dental implant system under cyclic loading)

  • 박원주;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4-434
    • /
    • 2009
  • 연구목적: 임플란트는 수직교합 하중에는 비교적 잘 견디나 측방하중에 대해서는 약한 역학적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임플란트의 재료 특성과 기하학적 형태에 따른 응력 분석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연구재료 및 방법: 외부육각구조를 갖는 28개의 임플란트를 7개씩 4군으로 나누어 그 제품에 적합한 UCLA gold abutment를 이용해, 제3형 금합금으로 보철 물을 제작하였고, A군 (3i, FULL $OSSEOTITE^{(R)}$-Implant), B군 (Nobelbiocare, Branemark $System^{(R)}$Mk III Groovy RP), C군 (Neobiotec, $SinusQuick^{(TM)}$ EB), D군 (Osstem, US-II)으로 분류하였다. 고정체와 지대주나사, 지대주를 연결한 후 수직적으로 절단하여 연마한 후 미세경도계를 이용하여 10군데에서 경도측정을 실시하였고, 동적하중 피로시험기를 이용하여 60-600 N범위로 파절시까지 동적 하중을 가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지대주나사 및 고정체의 파절 양상과 파절 위치 등을 관찰하였고, 유한요소분석을 통해 고정체와 지대주 나사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와 파절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고정체 경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245.3, 289.7, 281.3, 300.4 Hv로 D군이 가장 높았고, A군이 가장 낮았다. 지대주 나사의 경도는 A, B, C, D군에서 각각 340.00, 317.62, 306.5, 306.2 Hv로 A군이 가장 높고, D군이 가장 낮았다. 2. 모든 실험군에서 임플란트 고정체의 파절은 응력이 집중되는 고정체 3-4번째 나사산 홈 (valley) 부위 또는 내면의 사공간부와 일치하는 부위에서 발생되었고, 피로수명은 A, B, C, D군에서 각각 31585, 47311, 30141, 105371로 D군이 가장 높았으며, A, B, C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3. 파절양상은 B군과D군에서는 고정체와 나사 모두에서 수직 (longitudinal)파절과 수평 (transverse)파절이 동시에 일어나는 복합 (complex mode) 파절이 관찰 되었고, A와 C군에서는 고정체에서 수평 (transverse mode) 파절만이 관찰되었다. 4. 유한요소분석 결과 인장응력이 가장 높은 고정체 표면부에서 피로 균열이 시발되어 압축응력이 가장 높은 반대편 부위로 피로균열이 전파되었으며, 최대 유효 응력값은 C군이 가장 높았고, B군에서 가장 낮았다. 결론: 피질골 높이와 일치하는 임플란트 고정체 부위에서 최대 인장 주응력이 발생되며, 고정체 사공간부 (dead space)가 최대 인장 주응력이 작용하는 지그 표면과 일치할 때 피로파절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악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임플란트 주위의 골소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나 골흡수가 일어나 사공간부 수준까지 진행된다면 임플란트의 파절 빈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플란트 환자의 분포 및 식립부 유형 (The Distribution of Implant Patients and the Type of Implant Site)

  • 박지은;윤정호;정의원;김창성;조규성;채중규;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819-836
    • /
    • 2004
  • Nowdays, the awareness of implant treatment has grown rapidly among dentists and patients alike in Korea, as it becomes a widely accepted treatment. The reason is that unlike crown and bridge or denture treatment, implant treatment helps preserve existing bone and improve masticatory functions. So, It is needed understanding about the type, distribution of implant patient. The following results on patient type and implant distribution were compiled from 4433 implant cases of 1596 patients treated at the periodontal dept. of Y University Hospital during 1992 to 2004. 1. There are no dissimilarities between men and women, with patients in their 40, 50s accounting for 52.5% of patients and 57.5% of implant treatments; the largest share of patients and implant treatments. 2. Mn. posterior area accounted for 54.9% of implant treatments followed by Mx. posterior area(27.6%), Mx anterior area(11.9%) and Mn anterior area(5.6%). 3. Partial edentulous patients treated by single crown and bridge-type prosthesis accounted for 97.5% and fully edentulous patient accounted for the remaining 2.5%. 4. The major cause of tooth loss is periodontal disease, followed by dental caries, trauma and congenital missing. Also, older people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tooth loss due to periodontal disease rather than dental caries. 5. In the distribution of bone quality for maxillae, type III was most, followed by type II, r type IV and r type I. As for mandible, type II was most, followed by type III, type IV and for type I. 6. In the distribution of bone quantity for maxillae, type C was most, followed by type B, type D, type A, and for type E. As for mandible, type B was 52% most, followed by type C, type D, type A and type E. 7. The majority of implants were those of 1O-14mm in length (85.2%) and regular diameter in width (64%). The results provided us with basic data on patient type, implant distribution, bone condition, etc. We wish that our results coupled with other research data helps assist in the further study for better implant success/survival rates, etc.

치아임플란트 시술 후 삼차신경에서의 전류인지역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of Trigeminal Nerve after Tooth Implantation)

  • 임현대;이정현;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187-200
    • /
    • 2007
  • 이 연구는 치과임플란트 시술후에 발생할수 있는 감각이상의 평가를 위하여 뉴로미터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임플란트 시술후의 감각신경 평가에 개관적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6년 대전 썬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중에 임플란트 술식을 시행한 환자 44명과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Neurometer^{(R)}$ CPT/C (Neurotron, Inc., Baltimore, Maryland, U.S.A.)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전과 시술후 발사시에 2000 Hz, 250 Hz, 5 Hz,주파수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측정 부위는 임플란트 시술부위에 따라 삼차신경의 상악신경 분지와 하악신경 분지에 적용하였다. Neurometer는 세가지의 주파수 (2000 Hz, 250 Hz, 5 Hz)를 적용할 수 있는데, 각 주파수별로 대상자가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가장 낮은 전류의 세기를 전류인지역치로 기록하였다. 각 신경섬유별 전류인지역치는 $A{\beta}$섬유의 경우 2000 Hz, $A{\delta}$섬유의 경우 250 Hz의 전류자극 하에서 특징적으로 반응하며, C섬유의 경우 5 Hz의 전류자극 하에서 반응한다. 전류인지역치 검사는 삼차신경 영역에 있어서도 말초신경 손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말초신경부위에 특징적인 주파수의 전류를 발생시켜 선택적인 신경 섬유를 자극한다. 서로 다른 굵기의 신경 섬유들은 각기 다른 빈도의 전류자극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데, 각기 다른 주파수의 전류자극을 적용하며, 각 전류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A{\beta},\;A{\delta}$, C신경 섬유의 반응 역치를 개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전류인지역치를 통한 평가에서는 전류인지 역치의 증감을 측정하여 감각과민이나 감각감퇴등의 감각이상을 진단할 수 있다. 임플란트 시술전후의 전류인지역치를 평가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플란트 시술 전후의 평가에서는 좌우 상하악 각각의 2000 Hz, 250 Hz, 5 Hz에서의 전류인지역치는 전반적으로 수술 후가 증가되었으며, 하악에서는 2000 Hz와 5 Hz에서 수술후에의 전류인지역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전신질환을 가지고있거나 그로 인하여 투약중인 군에서는 임플란트 수술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에 비해서는 좌측 2000 Hz와 5 Hz에서 임플란트 시술군이 전류인지역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조군과 임플란트 수술군의 수술전의 전류인지역치 측정치의 비교에서는 우측 2000 Hz, 5 Hz에서 임플란트 시술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대조군과 임플란트 수술후의 전류 인지 역치 평가에서는 2000 Hz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남자가 여자보다는 전류인지역치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며, 임플란트 시술군내에서도 남녀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군에서 좌측 2000 Hz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임플란트 시술 전후의 전류인지 평가에서 남녀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자군에서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고, 여자군에서 우측 5 Hz, 좌측 2000 Hz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5. 감각신경이 있다고 호소하는 군과 아닌 군과의 비교에서는 감각이상을 호소하는 군이 전체적으로 전류인지역치가 증가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VAS상에 증가를 보이는 군의 수술전후의 전류인지측정 평가에서는 우측 5 Hz에서 임플란트 시술후 전류인지역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VAS 표시가 수술전후에 모두 0 인 경우에 좌측 2000 Hz에서 수술후의 전류인지역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연구는 뉴로미터를 이용하여 치아 임플란트 시술후에 발생할 수 있는 감각이상을 평가 할수 있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전류인지역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서로 다른 형태의 임플란트의 식립토크가 골에 미치는 열변화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rmal changes in bone by various insertion torques with different implant designs)

  • 김민호;여인성;김성훈;한중석;이재봉;양재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68-176
    • /
    • 2011
  • 연구 목적: 임플란트 식립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열변화는 임플란트의 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 식립토크에 따른 열변화 양상을 파악함으로 임플란트의 형태에 따른 차이점과 적절한 식립토크가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로는 두께 15 - 20 mm의 소 견갑골을 가로 35 mm, 세로 40 - 50 mm 크기가 되도록 골편으로 자르고 이중에 피질골의 두께가 2 - 3 mm 되는 표본을 선정한 후 표본의 반을 $36.5^{\circ}C$ 수조에 실온 $25^{\circ}C$에 노출 시켜 내부 온도는 평균 $36.5^{\circ}C$, 표면온도 $28^{\circ}C$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4.5{\times}10\;mm$의 외부육각을 가지는 Br${\aa}$nemark 형태의 임플란트와 $4.8{\times}10\;mm$의 Microthread 형태를 지니는 내부연결 형태의 임플란트를 과도한 식립토크로 식립하고 온도 측정은 계측점에서 0.2 mm 이내에 열전대를 위치시켜 기록하였다. 삼차원유한요소 분석은 골의 형태를 가로 4 cm, 세로 4 cm, 높이 2 cm의 직육면체로 가정하고, 직육면체 윗면에서 2 mm까지를 피질골, 그 아랫부분을 해면골이라고 가정하였다. 마찰열은 매식이 종료된 상황에서 골에 남는 cavity 모양을 기초로 경계조건을 부여하였다. CAD 프로그램인 SolidWork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고, 이를 유한요소 구조해석용 프로그램인 Abaqus 6.9-1로 불러들여 해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In vitro실험에서 Microthread type의 임플란트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최고점 온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임플란트의 형태에 따른 마찰열 발생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유한요소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Br${\aa}$nemark 형태의 임플란트의 경우 50 Ncm이상에서 Microthread를 가지는 형태의 경우에는 35 Ncm이상에서 Eriksson 등이 보고한 역치를 초과하는 온도가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Microthread type 이 식립토크에 따른 온도 증가가 더 민감함을 알 수 있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서로 다른 형태의 임플란트 식립시에 임플란트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삽입토크를 부여하는 것이 성공적인 임플란트 시술에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Microthread를 갖는 임플란트 형태는 높은 초기고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과도한 식립 토크로 인한 열 손상 가능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골량과 골질의 신중한 평가와 적절한 수술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임플란트 환자의 유형 및 분포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Implant Patient's Type and Implant Distribution)

  • 홍성재;백정원;김창성;최성호;이근우;채중규;김종관;조규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539-554
    • /
    • 2002
  • It has been approximately 40 years since $Br{{\aa}}nemark$ first introduced osseo-integration for implants in the early 1960s. Unlike crown and bridge or denture treatment, implant treatment helps preserve existing bone and improve masticatory functions. Thus, the awareness of implant treatment has grown rapidly among dentists and patients alike in Korea, as it becomes a widely accepted treatment. The following results on patients type and implant distribution were compiled from 1814 implant cases of 640 patients treated at the periodontal dept. of Y University Hospital during 1992 to 2001. 1. There are no dissimilarities between men and women, with patients in their 40,50s accounting for 49% of patients and 56% of implant treatments; the largest share of patients and implant treatments. 2. Mn. posterior area accounted for 59% of implant treatments followed by Mx. posterior area(21%), Mx anterior area(l4%) and Mn anterior area 2%. 3. Partial edentulous patients treated by single crown and bridge-type prosthesis accounted for 98% and fully edentulous patient accounted for the remaining 2% 4. The major cause of tooth loss is periodontal disease, followed by dental caries, trauma and congenital missing. Compared to women, men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tooth loss due to periodontal disease. Also, older people are more likely to suffer from tooth loss due to periodontal disease rather than dental caries. 5. The distribution of bone quality for maxillae was 52% for type III, followed by 23% for type II, 20% for type IV and 0% for type I. As for mandible, the distribution was 52% for type II, followed by 37% for type III, 7% for type IV and 4% for type I. 6. The distribution of bone quantity for maxillae was 49% for type C, followed by 34% for type B, 14% for type D, 3% for type A, and 0% for type E. As for mandible, the distribution was 52% for type B, followed by 35% for type C, 6% for type D, 3% for type A and 0% for type E. 7. The majority of implants were those of 10-14mm in length (80%) and regular diameter in width (79%). The results provided us with basic data on patient type, implant distribution, bone condition, etc. We wish that our results coupled with other research data helps assist in the further study for better implant success/survival rates, etc.

타이타늄 치근형 매식체에 대한 골유착 과정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A HISTOLOGIC STUDY OF THE OSSEOINTEGRATION PROCESS TO THE TITANIUM TOOTH ROOT IMPLANT)

  • 안창영;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8
    • /
    • 1990
  • The severe atrophic edentulism with poor neuromuscular control militates against successful conventional denture therapy. To such situation, a prescribing of dental implant treatment has been considered with some probability. Implant materials used as a trial for dental implants includes metals, plastic polymers and ceram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istologic response in osseointegration process at titanium implant-tissue interface based on biocompatibility at specific period of sequential natures which were divided into a half month, one, month, two months, three months and immediate as a base line. In this study, unilateral lower left premolar and molar teeth were extraced in three dogs. After allowing to heal for 6 months, three kinds of osseointegrated implant, $Br{\aa}nemark$, Corevent and kimplant(a prototype of SNU implant study)were inserted in each dog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bove sequence from front to back. The specimens were taken from those dogs at the same time since implant were inserted quite reverse order of the specified periods, and decalcified and processed for histologic examination for the light microscopy and the electron microscopy. The microscopic histologic findings at the interface between titanium implants and tissue were interpretated as follows : A. Light microscopic findings : a. Immediate : Implant were surrounded by compact bone and spongy bone. Microcrak was observed in the superficial bone tissue. Osteocytes were disappeared and bone lacunae were observed as a vacant space in some parts. In the contacting with the spongy bone, bone trabeculae and bone marrow were in contact with the implant. b. A half Month : Osteoblasts exist as a monolayer in th inner bone trabeculae and do bone additiocn. Osteoblasts&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in some parts. c. One Month : The presence of osteoclasts decreased. Osteoblasts did active bone fromation, and bone marrow was in contact with the implant in the many places. d. Two Months : Bone formation was advanced in comparison with the b and c. The presence of osteoclsts was not observed. e. Three Months : The superficial bone tissue contacted with the implants was entirely composed by the compact bone. B.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 a. A half month and one month group : In the parts of the active bone formation, osteoblasts with the well developed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apparatus were arranged in the monolayer. In the parts of the bone resorption, ruffled border was well developed and many osteoclasts with the well-developed golgi apparatus, mitochondria, vacuole, vesicle and lysosome were existed. b. Three months group : No osteoblasts were observed in the superficial bone tissue. Bone matrix with collaen fiber was observed. c. No significant dirrerence in the histologic findings was observed in $Br{\aa}nemark$, Core-vent and kimplant.

  • PDF

치과용 임플란트 지대주 재료에 따른 지지골 응력의 3차원 유한요소 분석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stress on supporting bone by the abutment materials of dental implant)

  • 이명곤;김갑진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dental implants on the supporting bone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when three different abutment materials were applied to the implant system. Methods: Three different dental implant models were fabricated by applying Ti, PEEK, and CRE-PEEK (60% carbon-reinforced PEEK) to abutment material. The abutment and connecting screw from the fixture was applied with a tightening torque of 20 Ncm. And then, total loads of 150 N were applied in an $30^{\circ}oblique$ direction (to the vertical). The structural stability of dental implants on the supporting bone was analyzed using Von Mises stress and principal stress values. Results: The maximum tensile stress of the cortical bone was highest at 12.6 MPa in the PEEK abutment (Model-B). Ti abutment (Model-A) and CRE-PEEK abutment (Model-C) showed similar stress distributions (10.6 and 10.3 MPa, respectively). And the maximum compressive principal stress was similar in all models. The Von Mises stress value delivered to the bone around the implant was highest at 16.5 MPa in Model-B. On the other hand, Model-A and C showed similar stress distributions (14.0 and 13.8 MPa,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applied to the abutment was highest at 629.8 MPa in Model-A. The stress distribution in Model-C was 573.9 MPa. Whereas, Model-B showed the lowest value at 165.6 MPa. Conclusion : The dental implant supporting bone system using PEEK material seems to have the possibility of supporting bone fracture. It was found that the CRE-PEEK abutment can reduce the elastic deformation and reduce the stress value of the interfacial b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