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iness Model Canva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2초

프로슈머관점에서의 단독주택 건축비즈니스모델 캔버스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rchitectural Business Model Canvas of Urban Single Houses on the Viewpoints of Prosumers)

  • 황준호;한희;황찬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505-1514
    • /
    • 2013
  • 본 논문은 지식경제시대의 생산소비자개념으로 프로슈머관점에서 본 단독주택의 건축비즈니스모델 캔버스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최신 주택시장의 실태를 조사하여 단독주택건축의 특성을 공동주택과 비교하였고, 둘째, 고객에서 생산소비자인 프로슈머의 관점으로 전환하여 단독주택 건축비즈니스 문제점을 도출한 후 셋째, 기존 단독주택건축 비즈니스프로세스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경영디자인기반의 건축 비즈니스모델 캔버스를 통한 건축비즈니스모델의 새로운 방안을 도출하였다.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mproving the Well-being through Humanizing Digital Entrepreneurship Program

  • MUHIBBULLAH, Md.;MAMUN, Abdullah Al;AFROZ, Rafi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201-1213
    • /
    • 2021
  • This paper describes the intent of learners to acquire university education, the basis for selecting study courses, the means to assess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what the challenges faced by the learners are, as well a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he design and system thinking approach has been adapted to address the well-being issues of B40 young people in Bangladesh, through understanding their need, followed by building conceptual business models using modeling tools, i.e., Business Model Canvas (BMC) and Value Proposition Canvas (VPC) model.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and the role of a Malaysian University to solve problems of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 Bangladesh and what initiatives should be taken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paper offers a validated conceptual Malaysian University of the Future (UotF) business model with the focus on international community engagement programs to help Bangladeshi students to acquire knowledge, abilities, skills, and values toward developing a harmonious and sustainable society.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e presentation of a conceptual, validated business model in both BMC and VPC formats. This conceptual business model can further be applied to civic engagement operations by other universities.

지속가능한 소셜벤처를 위한 TLBMC(트리플 레이어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활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for the Social Ventures through using TLBMC(Triple Layered Business Model Canvas))

  • 전혜진;박재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55-6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인 미션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미션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소셜벤처의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여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셜벤처 창업가들의 경영사례를 분석하여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환경적, 사회적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 정립을 하고 지속가능성을 높일 기회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분석 도구로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널리 활용되고 인정받고 있는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에서 확장된 TLBMC(Triple Layered Business Model Canvas)를 활용하여 조사했다. TLBMC는 Alexandre & Raymond(2016)가 제안한 것으로 수평적 수직적 연관성을 가지며 총체적인 시각을 가지는 데 도움이 된다. TLBMC를 활용해본 결과 각각의 소셜벤처가 추가로 고민해야 할 요소나 불필요한 요소 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창업 초기 부터 안정화 단계에 각각 다른 의미를 다가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셜벤처 창업가들은 TLBMC를 활용하여 이해관계자 및 직원들에게 경제적, 사회적 및 환경적인 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여 전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소통과 협력을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벤처를 준비하는 창업자나 연구자가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관점을 고루 가질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소셜벤처 운영에 있어 서는 창업가의 방향성 및 가치를 재정립하여 조직 내외의 역할을 분명하게 하도록 돕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BMC를 활용한 공유경제 기반의 스마트워크센터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Smart Work Center Model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Using the BMC(Business Model Canvas))

  • 이유미;임명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4호
    • /
    • pp.165-189
    • /
    • 2013
  • The advance of the smart working environment came the expectation that it would innovate and revolutionize the way people work, particularly in a society where smart work is readily available for creating a collaborative and 'connected' business. One of the core infrastructure elements for making smart work a viable option is the smart work center, the promotion of which requires a new form of 'smart work center business model' that can satisfy the purposes of both public services and private businesses. This calls for collabo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Recently a number of businesses have been making significant headway in the creation of a new environment for business support and collaboration by adopting a sharing economy business model in their offices. The so-called 'Coworking Space' is an advanced form of business environment in the emerging 'smart work' era, and comes with the benefits of reduced costs as a result of sharing office space and knowledge sharing through the use of human networks. This paper describes the framework of a 'smart work center business model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using a BMC (Business Model Canva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smart work center and the sharing economy. It was on the basis of this framework that a smart work center model for business incubation and startup, a private smart work center model for childcare services, and a community marketplace model with a global network were developed.

소규모 창업기업의 사업진단과 컨설팅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캔버스의 활용 사례연구 (A Consulting Case Study on the Small Start-up through using the Business Model Canvas)

  • 표원지;하환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561-569
    • /
    • 2015
  • 소규모 창업기업은 사업을 진행하면서 자신의 비즈니스모델을 자체 검증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영학적 배경지식이 부족한 상태에서는 더더욱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소규모 창업기업은 자신들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비즈니스모델을 스스로 분석하여 경영진단을 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을 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모델 개발에 활용되고 있는 비즈니스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를 통해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비즈니스모델캔버스는 기업이 어떻게 수익을 창출하는지 그 원리를 9개의 블록으로 간단하게 도식화한 것이다. 이 모델은 비즈니스모델을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업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확인하여 개선안을 도출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모델캔버스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 창업기업의 비즈니스모델을 분석하고 사업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전략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창업교육을 위한 창업사례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농산물을 활용한 6차 산업 창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 (6th Industry Start-up Business Model Development using Agricultural Products)

  • 김희동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11-72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o beyond the policy support of the traditional sixth industry and to build a business model of the farmers' business by establishing the business model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ixth industry utilizing agricultural products of individual farmers. First, we defined the business model of the 6th agricultural industry, and secondly set up two models via FGI based on the 9 block model of BMC (Business Model Canvas), and applied feasibility, cost appropriate, differentiation poi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ard-working business, sales consolidation, consumer-centric model set. Third, using the Delphi method in each area of 9 Block, the final 21 components were set. Through this BMC model, it was shown that discrimination and accessibility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6th agricultural field foundation business model.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물인터넷 산업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기업측면의 비즈니스 모델혁신 방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y of IoT Industry Developm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the direction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 정민의;유성진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2호
    • /
    • pp.57-7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중 가장 활발하게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산업을 대상으로 비즈모델 혁신방향 중심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글로벌 트렌드 분석을 위해 PEST분석을 활용하여 정책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이슈를 도출하였고, Gartner,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등 ICT관련 조사 분석기관의 사물인터넷산업에 대한 미래전망을 제시하였는데, 사물인터넷은 인프라 및 플랫폼을 기반으로 산업인터넷(IIoT), 소물인터넷(IoST) 등으로 네트워크 기술경쟁이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급변하는 산업계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한 다양한 경영학적 방법론들을 검토하였고, '적용성', '민첩성', '다양성', '연계성' 4가지 기준을 가지고 전문가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Business Model Canvas 모델이 비즈니스 모델 혁신 방법론으로 가장 적합하다는 AHP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Business Model Canvas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위한 방법론으로 비교적 최근에 제시된 경영전략이며, 9개의 블록 접근 방식을 통해 비즈니스모델의 가치를 식별하며, 비즈니스의 4대 핵심 영역인 고객, 주문, 인프라, 사업타당성 분석 등을 포괄한다. 결론적으로 ICT융합산업 분야에서 어떠한 Business Model Canvas 모델을 방향으로 적용할지에 대한 고찰을 기술하였다.

A study on the O2O Commerce Business Process with Business Model Canvas

  • PARK, Hyun-S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5호
    • /
    • pp.89-98
    • /
    • 2020
  • Purpose: The growth of online commerce is now becoming a major threat and a new opportunity for retailers. Existing offline retailers struggle to cope with new online retailers' threats by utilizing offline infrastructure. Besides, online retailers expand their online strengths to offline sales by opening their offline stores. Many retailers are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O2O business and the resulting changes. Thu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O2O business model and process that retailers can adop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onsidering the features of products that retailers sell, this paper divides O2O business process with the following criteria: delivery lead-time and delivery area. And This research uses the business model canvas to define the features of O2O commerce business process. This paper also uses nine key elements in the business model canvas for analyzing the structure of O2O commerce business.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e delivery model of retailers respond to offline customer orders and summarizes the following results. (1) Considering characteristics such as logistics process, delivery area, and product type, we define the features of O2O business models: wide-area (warehouse) based O2O business model, regional area (store) based O2O business model and time-separated O2O business model. (2) This study checks the availability of the business model through the business cases of O2O business models. (3)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O2O business model of domestic retail companies by the factors defined in the business model canvas. Conclusions: Retailers can adopt the O2O business process to fit their business requirements and strategy. The online retailers who deal with normal consumer products mainly have the wide-area based O2O business model. The wide-area based O2O business model can be suitable for retailers who manage inventory centrally. The time-separated O2O business model can be a good solution for fresh food retailers to operate the logistics process efficiently. And to shorten the delivery lead-time of fresh foods, the regional area based O2O business model can be fit to the retailer that utilizes its offline logistics or sales infrastructure. It may be much more important for retailers to share the inventory information with other branches and to change the role of offline stores.

핀테크의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Business Model of Fintech - Focus on the Business model canvas -)

  • 류정민;서용모;조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171-1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핀테크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을 도출하고 국내의 핀테크 산업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략을 제안하려 한다. 비즈니스 모델은 전략적적인 차원에서 제시되고 있지만 결국 기업이 가치를 창출하는 데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개념적 특성과 구성요소들을 검토하고 핀테크의 산업분야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 내용을 통해 핀테크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의 방향성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exander Osterwalder 등이 제안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이용하여 핀테크의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분석하였다. 이 제안된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는 목표고객, 가치제안, 채널, 고객관계, 핵심 자원, 핵심 활동, 핵심 파트너십, 수익원 및 비용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기반으로 핀테크 산업의 성공적인 시장진입과 정착을 위한 개념적 정의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핀테크의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들의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의 지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모델 설계 도구: 소셜벤처 사례를 중심으로 (The Tool to Design Sustainable Business Models: A Case Study for the Social Ventures)

  • 박재환;전혜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1호
    • /
    • pp.187-198
    • /
    • 2019
  •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위해서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도전과 기회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비즈니스모델 캔버스는 사회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과 관계없이 '성공'으로 식별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원칙과 지침이 추가되지 않으면 새로운 한계에 직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인 미션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미션을 함께 수행해야 하는 소셜벤처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설계를 위한 도구들을 살펴보고 활용도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셜벤처 창업가들의 경영사례를 분석하여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세 가지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을 정립하여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탐색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TLBMC (Triple Layered Business Model Canvas)를 사용하여 소셜벤처가 지녀야할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관점으로 다양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경제적 요소를 사회적, 환경적 요구와 연결 가능한 기회를 살펴보았다. 둘째, 소셜벤처의 특성인 환경적 사회적 관점을 실무에 활용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셋째, 소셜벤처 비즈니스 모델의 경험 자료를 구축했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특징인 참여자의 관점, 참여자의 의미, 참여자의 다양한 주관적 견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여, 도출된 전반적인 의미에 대해 연구자의 주장으로 결론이 마무리되는 사례연구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새로운 접근법은 향후 지속가능한 성공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설계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실증연구를 위한 기초단계로서 소셜벤처 비즈니스 모델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의 기회를 이해하기 위해 향후 더 많은 사례연구와 개선된 도구에 대한 검증과 피드백에 관련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