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iness Innovation Platform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5초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기업 텐센트의 성장 전략 : 모방형 혁신과 M&A를 중심으로 (Entertainment Contents Corporation Tencent's Growth Strategy : Focusing on Imitative Innovation and M&A)

  • 리우위;권상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3
    • /
    • 2020
  • 텐센트는 콘텐츠의 확장 및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 편의를 위해 인터넷 기반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이다. 2000년 이후 텐센트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과 혁신을 지속적으로 거두었다. 특히, 선도 제품·서비스를 모방, 개선하는 모방형 혁신과 인수합병을 바탕으로 텐센트는 사업 전반에 걸쳐 시장의 리더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감안, 텐센트의 성장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를 진행, 학문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텐센트는 꾸준히 선도 기업의 온라인 게임과 SNS 등을 모방하면서 자사의 고유한 서비스를 보완하는 모방형 혁신을 통해 위챗 메신저 플랫폼 등을 기반으로 다른 제품 및 서비스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모방형 혁신 전략은 텐센트가 다른 기업보다 더 빠른 속도로 탁월한 성장을 달성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아울러, 텐센트의 인수합병(M&A) 추진력은 텐센트 최고 경영진의 비전과 유연한 조직문화에 의해 강력한 기업 성장의 추동력으로 작용하며 텐센트의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게임, 금융, 전자상거래 및 글로벌 시장 확대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는 텐센트의 성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안했지만 연구의 한계도 일부 있어 이들 요소는 반드시 후속 연구를 설계할 때 반영, 더 중요한 교훈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지능 정보화 혁신 성공을 위한 공무원-AI 협업 플랫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Officials-AI Collaboration Platform for the Government's Successful Intelligent Informatization Innovation)

  • 오창익;유기중;안준영;김동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1-122
    • /
    • 2023
  • Since the organization of civil servants has been divided and strat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reaucracy, it is inevitable that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will increase when new tasks arise. Even in the process of informatization, only the processing method was brought online while leaving the existing business processing procedures as they were, so there was no reduction in manpower through informatization. In order to maintain or upgrade the current administrative services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civil servants, it is inevitable to use AI technology. By using data and AI to integrate the 'powers and responsibilities assigned to the officials in charge', manpower can be reduced, and the reduced costs can be reinvested in the collection, analysis, and utilization of on-site data to further promote intelligent informatization. In this study, as a way for the government's success in intelligent informatization innovation, we proposed a 'Civil Servants-AI Collaboration Platform'. This Platform based on the civil servant proposal system as a reward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igent informatization that are different from the informatization. By establishing a 'Civil Servants-AI Collaboration Platform',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the short-term evaluation method by superiors can be improved to a data-driven always-on evaluation method, thereby alleviating the rigid hierarchy of government organizations. In addition, through the operation of Collaboration Platform, it will become common to define and solve problems using data and AI, and the intelligence informatization of government organizations will be activated.

플랫폼 기반 비즈니스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미래를 위한 가이드라인 (Research Trend and Futuristic Guideline of Platform-Based Business in Korea)

  • 남수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1호
    • /
    • pp.93-114
    • /
    • 2020
  • 플랫폼은 기존 전통적인 선형적 파이프라인 기반 비즈니스 모델에 대응하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최근의 4차 산업혁명시대에 효율성 주도의 파이프라인 기반은 조정 주도의 플랫폼 기반으로 변환되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플랫폼 성공사례는 애풀, 구글, 아마존, 우버 등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규모가 크지 않은 기업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로의 전환 전략을 찾기가 쉽지 않다. 플랫폼 비즈니스의 핵심은 네트워크 효과를 경영활동에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랫폼 비즈니스는 경영활동 기능에서 네트워크 효과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와 유사하다. 플랫폼 관련 연구는 최근 활발하고 다양하다. 그러나 이 분야의 연구 동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수행된 플랫폼 관련 연구를 통하여 연구동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연구가설과 명제를 제시하였다. 데이터는 연구논문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시스템에서 "플랫폼" 혹은 "platform"을 키워드 속성으로부터 얻었다. 수집된 논문집합은 "경영학" 분야로 국한하여 구성하였다. 선택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된 플랫폼 요소, 플랫폼 유형, 주요 연구 내용 등에 대해 56개의 논문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56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탐색적인 연구가설을 검증하였고, 명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연구자들에게 연구 영역 중,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온 성숙 영역과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무자들에게는 파이프라인 비즈니스로부터 플랫폼 기반 비즈니스로 변화를 추구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다. 가이드라인의 핵심은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IT플랫폼 시스템을 기반으로 소비자와 공급자 네트워크를 점진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과 수집된 데이터의 구분 및 주요 연구내용 등 주관적인 판단 요소가 많아 추론적이 아닌 탐색적 연구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화장품산업 초기 기술창업기업의 성장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6개월챌린지플랫폼사업의 지원기업 중심으로 (Case Study on the Growth Factors of Young Technology Startups in the Cosmetics Industry: Focusing on the Six-month Challenge Platform project of Chungbuk Creation Economic Innovation Center)

  • 정도윤;엄기용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2호
    • /
    • pp.197-216
    • /
    • 2019
  •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focusing on supporting technology startups to solve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such as low growth, declining economic growth rate, rising youth unemployment rate and lack of new growth engine. Although the failure rate of young technology startups is very high, relevant researches are still scant.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has identified four growth factors of technology startups: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technical superiority and originality of business items, focused marketing strategy, and follow-up government support projects. Five young technology startup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he cosmetics industry which were supported by the Six-month Challenge Platform project of Chungbuk Creation Economic Innovation Center. The main findings of the ca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duct development through inhouse R&D rather than external contracted R&D was beneficial to acquiring follow-up government support projects and external investment. Second, choosing a small niche market and concentrating marketing efforts on the target market had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And, third, relevance of entrepreneurs' college major and technological originality of business items were confirmed to influence firm performance positively in the early stag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young technology startups survive successfully and establish a foothold for growth in their early stage.

전환적 지역혁신론의 탐색과 지역에너지 전환의 적용: 오스트리아 귀씽과 덴마크 에스비아르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and Applying Local Energy Transition: The Case Studies of Gussing, Austria and Esbjerg, Denmark)

  • 한재각;이정필;하바라;송위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291-333
    • /
    • 2019
  • 지금까지 추진되었던 지역혁신정책들은 지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문제와는 별개로 진행되었다. 지역혁신정책은 지역을 산업입지로 바라보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기업들의 혁신활동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최근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새로운 혁신정책 패러다임인 '전환적 혁신정책'이 등장하면서 지역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에서 출발하는 지역혁신 정책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지역이 직면한 기후 위기나 에너지 문제와 같은 사회문제 해결과 시스템 전환을 지역혁신의 출발점으로 설정하는 지역혁신론을 다룬다. 전환적 혁신정책론과 지역혁신 연구에서 이루어진 성과들을 종합하여 '전환적 지역혁신론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틀을 제시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그 내용을 심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사회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는 전환플랫폼 개념에 대해서 주목하면서, 오스트리아 귀씽과 덴마크 에스비아르의 사례를 분석하고 토론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사례가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도 토론해 본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 유형 (Types of business model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정상희;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1권1호
    • /
    • pp.1-14
    • /
    • 2018
  • 4차 산업혁명이 쓰나미와 같이 우리 기업에 큰 변화를 주고 있다. 디지털시대로 대변되는 CPS시스템은 물리적인 영역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해 과거에 상상하지 못했던 비즈니스를 현실로 만들어 내고 있다. 이로 인해 4차 산업혁명시대의 비즈니스 모델은 이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혁신 이론 연구의 흐름을 시대별 흐름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이후 디지털시대의 비즈니스 혁신 모델을 이전 시대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하였으며, 기존 비즈니스 모델들로는 디지털 시대의 모형을 설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보다 많은 실증적인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하겠지만 마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이 가장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응용하여 4가지 유형의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여 해당 사례를 살펴보았다. Type A : sharing outcome with customer로 고객 성과 창출 기반에 따라 차등적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모델이며, Type B : Value Chain Digitalization로 제품, 서비스 및 SCM 디지털화로 보다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 서비스를 고객에 제공함으로 경쟁우위를 가지는 모델이며, Type C : Digital Platform는 가장 큰 파급효과를 가져다 주는 모델로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공유 경제 창출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여 더 확실한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모델이다. 마지막으로 Type D : Sharing Resources는 관련 산업 내 파트너와 협업으로 경쟁 우위 모델 구축하는 모델로 다른 파트너의 핵심 역량과 자신의 핵심 역량을 서로 보완하는 가장 효과적인 성공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다수의 요소 기술과 수많은 유니콘, 데카콘 기업들이 자신들이 속해 있는 산업별 차별적 디지털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대표기업의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을 상세 분석하여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 보다는 단편적으로 나열함에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더 구체적인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디지털시대의 비즈니스모델을 더욱더 상세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산업별로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산업간 비교분석을 해볼 필요 역시 있다.

XBRL Adoption Process in Malaysia Using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 ILIAS, Azleen;GHANI, Erlane K.;AZHAR, Zubi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263-271
    • /
    • 2021
  • The study examined the XBRL adoption process of Malaysian Business Reporting System (MBRS) by utilizing Everett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 (DOI) theory. The study focused on the three phases, namely, knowledge gathering and persuasion phase, decision-making phase, and implementation phase of XBRL adoption process gathered from a government agency in Malaysia. This study employ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incorporat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our members of the regulator. The results reveal that the regulator has realized the advantages, management support, and need to skills development in phase one. On the other hand, in phase two, it finds the way the regulator makes decision related to XBRL taxonomy and submission template, platform, tools and software. Through phase three, the regulator is concerned with the complexity of XBRL taxonomy, resources, external support, promotion, stakeholder involvement, limited trading pressure, critical mass, and professional bodies. The factors from each phase suggest an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experience of XBRL through the development of MBRS that provides a success story to the other government agencies and regulators in Malaysia. This study provides several insights on the factor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adoption of XBRL and the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adoption process.

뉴노멀 시대의 디지털 기반 전략경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based Strategic Management on the New Normal Era)

  • 노규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51-160
    • /
    • 2021
  • 본 연구는 뉴노멀 시대에의 경쟁우위 확보 및 생존을 위한 전략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경영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조사와 기업 CEO 10인의 집중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19에 의한 뉴노멀과 이로 인해 야기된 경영환경 변화 트렌드 및 대응 전략 유형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역과 분야에서 전개될 수 있는 전략 대안 가운데 기업의 디지털 기반 경영 및 사업 수준의 전략 대안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였다. 기업 수준의 디지털 기반 전략 대안으로는 사업구조 리디자인 전략, 회복탄력성 강화 전략, ESG 경영전략,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제시하였다. 사업 수준의 디지털 기반 전략 대안으로는 산업구조 리딩의 디지털전략, 디지털 혁신의 경쟁전략, 개방형 혁신의 플랫폼 전략, 고객 가치 지향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의 전략을 보다 체계화하고자 하는 시도였다는 점과 어려운 상황을 슬기롭게 대처해야 하는 기업들의 전략적 대응을 보다 체계적으로 시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여를 하였다.

Strategic Approaches to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An Exploratory Study of the China (Anhui) Pilot Free Trade Zone

  • LEE, Jung 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7호
    • /
    • pp.41-52
    • /
    • 2022
  • This paper analyzes the advantages and opportunities of regional development prospects of the China (Anhui) Pilot Free Trade Zone. In addition, it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Anhui Pilot Free Trade Zone. The establishment of the Anhui Pilot Free Trade Zone is a major platform for Anhui Province, China, to serve the nation's opening-up strategy to the world and an opportunity for the Anhui region to enhance the level of an open economy. The development plan points out that the Anhui Pilot Free Trade Zone 1) takes institutional innovation as the core, 2)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innovation-driven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the Yangtze River Delta regional integration development strategy, and 3) plays a vital node role in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4) accelerates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ources, advanced manufacturing and strategic emerging industr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ree critical achievements as follows: 1) optim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business environment have progressed, 2) the conversion rat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hievements has increased, and 3) advanced high-tech manufacturing and strategic emerging industries are clustered and developed.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소재 뿌리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 of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ed on Corporate Ppuri Companies in the Metropolitan Area)

  • 서선영;윤선중;서종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5-252
    • /
    • 2022
  • 본 연구는 뿌리기업의 기술혁신 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금속 중심 공정기술 분야와 신소재·플랫폼 공정기술 분야의 두 집단 간에 기업성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표본은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설문지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기초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두 집단 간 평균 차이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금속중심 공정기술 분야보다 신소재 플랫폼 공정기술 분야가 기업성과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혁신 체제, 기술축적 역량, 마케팅 역량, 생산화 역량이 비재무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연구개발 역량, 기술축적 역량, 제품화 역량, 마케팅 역량이 재무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정기술 플랫폼 분야가 비재무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