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an New Port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31초

부산 신항 배후단지 유치산업의 선정에 관한 연구 -한.중.일 국제분업구조와 부산항의 대 중.일 수출입구조 분석에 따른- (A Study on the Selection of Inducement Industry in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Structure in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Export-Import Structure of Busan Port against China and Japan -)

  • 김정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7-130
    • /
    • 2009
  • 부산 신항은 현재 개발 중에 있어 항만배후단지의 효유적인 이용이 부산 신항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부산 신항의 항만배후단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우리나라의 교역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및 일본과의 국제분업구조와 부산항의 대 중국 및 일본과의 수출입구조를 RCA지수와 GL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또한 부산 발전 10대 전략산업 등을 근거로 하여 부산 신항의 항만배후 단지에 유치할 적절한 산업을 선정하려고 한다. 한 중 일 3국의 국제분업구조 분석과 부산항의 대 중국 및 일본의 수출입실적 분석, 그리고 한 중 일 3국의 RCA 및 GL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3국간의 교역에서 한국의 비교우위 품목은 섬유 의류, 귀금속, 펄프 인쇄물, 기계 전기제품 등이며, 한국의 대 중국 및 일본교역에서는 기계 전기제품과 1차금속 비금속제품 등에서 산업내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광학 정밀기구 의료 악기 등이 높은 수출실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산의 10대 전략산업인 의료, 섬유 의류 및 기계는 이미 포함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조선, 우주항공, 지능형 로봇, 나노소재,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 등이 추가될 수 있다. 그 결과 부산 신항의 항만배후단지에 유치할 산업은 저위기술분야인 섬유 의류와 펄프 인쇄물, 중저위기술분야인 귀금속과 1차금속 비금속제품은 물론 중고위기술분야인 기계 전기제품, 자동차, 조선, 고위기술분야인 광학 정밀기구 의료 악기, 나노소재, 연료전기, 우주항공, 지능형 로봇 등을 위주로 하고 이와 연관된 산업도 유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 PDF

부산신항 타부두 환적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연구 (A Study for Efficient Inter-Terminal Transportation in the Busan New Port)

  • 오석문;전형모;박형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279-1287
    • /
    • 2014
  • 한국 정부는 부산신항을 세계 2위의 환적중심 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 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정책 목표 달성의 한 가지 방법으로 타부두 환적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부산신항의 타부두 환적 물동량에 대한 장기 예측결과를 제시한다. 다음 부산신항의 타부두 환적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적 대안으로 Double stack Multiple Trailer System(DMTS)와 궤도식 시스템 대안을 제시한다. 각 시스템 대안의 부산신항에 적용방법을 소개하고, 예측된 타부두 환적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한 대안별 시스템 소요량 및 도입비용을 산출한다. 특히, DMTS의 경제성 분석결과 B/C = 3.7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재무성 분석결과 현행 톤${\cdot}km$ 당 요금을 현행 대비 67%까지 인하할 수 있어 부산신항 타부두 환적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유력한 대안으로 판단된다.

부산항의 재개발 대상지 선정 및 재개발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ng Target Areas & Establishing Directions for Redevelopment of Busan Port)

  • 여기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03-419
    • /
    • 2003
  • 우리나라의 부산항의 경우 과대한 물동량 처리, 이에 따른 체선$.$체화현상의 심화, 항만경쟁력 향상을 위한 신항만건설 등이 종합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기존 부산항지역의 기능이 상당부분 신항만으로 이전되고 난 후에는 선진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항만의 재개발문제가 제기 될 것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항만구역에서의 항만재개발은 국소지역을 대상으로 한 생산성향상 측면의 개발은 시행되고 있으나,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항만재개발을 고려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부산항 기존항만구역에 대한 전반적인 항만재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의 증심준설에 관한 사회적 타당성 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Social Feasibility Of the Dredging the Water-Depth of Busan Port)

  • 김철민;홍한국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9-43
    • /
    • 2008
  • 본 연구는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수심에 대한 증심준설에 대한 사회적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핵심적인 항만 사용자 집단의 니즈를 설문방식에 의해 탐색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터미널운영회사, 선사, 도선사 등 3개 집단에 대해 각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북항의 항로수심 및 접안수심은 공히 16m 수준의 증심, 신항의 항로 수심은 17m 수준의 증심이 필요한 상황이며 우선적 중심이 필요한 부두는 감만, 신선대, 신항 및 자성대로 나타났다.

  • PDF

컨테이너터미널 리모델링 기술검토 : 부산항 사례 (A Technical Review of Container Terminal Remodeling : the Case of Busan Port)

  • 최용석;김우선;하태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9-508
    • /
    • 2006
  • 부산신항만의 개장과 함께 상하이항의 급속한 성장과 센젠항의 서비스와 생산성 신장뿐만 아니라 더욱 활동적인 광양항 등 한국의 항만은 국내외적으로 많은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새로운 항만에 비교해서 부산항의 컨테이너 터미널들은 오래된 장비와 시설물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수준과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생산성 향상을 위한 리모델링에 착수할 필요성이 있다. 리모델링 활동은 게이트, 안벽, 야드, IT시스템 등에 대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적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시도되어야 한다. 영역별 대안들에 대한 기술적 검토를 위하여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하였으며, 리모델링 우선순위, 기술적용 기간, 적용 방향 등을 통해서 컨테이너터미널의 리모델링 활용계획을 설정하였다.

중국 경제의 급부상에 따른 부산항의 발전전략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Port of Busan in the Midst of Rapidly Growing Chinese Economy)

  • 배병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9-133
    • /
    • 2002
  • The China entered World Trade Oganization(WTO) last year, thus opening its border to more - and freer - trade. With its foreign trade rapidly expanding and with economic growth continuing at a substantial -rate, China will be the largest container traffic generating country in the world. In the light of this potential trade bonanza, regional ports in North-East Asia strive to gain a competitive-edge. The Port of Busan, the world's third largest container port, wants to capture a significant share of the china's container cargoes. In this circumstance,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Port of Busa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o cope with increasing volumes, the New Busan Port on Gaduk island should be constructed without fail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add modernized high-performance gantry cranes and to train crane operators' skill. Third, it needs to apply Dwell Time- Sliding Scale System for transshipment cargoes. Fourth, it needs to develop the EDI network in terminal areas or adjacent hub ports to exchange trustworthy and satisfactory informations Fifth, port authority -needs to enlarge designated Free Trade Zone to facilitate the free flow of cargoes. Sixth, the restoration of rail link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s abundantly clear. Thus it needs to enlarge railroad facilities in advance. Seventh, it needs to establish the Port Authority of Busan immediately. Finally, it needs to strengthen port sales and to open events like 'Marine Week 2001' regularly to attract potential canters or big shippers.

  • PDF

부산신항 용원수로에서의 퇴적물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diment Release Characteristics in Yongwon Channel, Busan New Port)

  • 권재현;김영도;조영하;정태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03-512
    • /
    • 2012
  • In Yongwon channel, its natural flow of seawater is blocked by the construction of Busan New Port including the container berth. The channel was transformed into a narrow and long one, where it is possible that ships are only allowed to pass through the north-side channel of Gyeonmado located at the point of river mouth to Songjeongcheon. In addition, Yongwon channel is approximately 100 m wide on average and 3,600 m long, and has the highest slenderness ratio (length/width = 36).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s in the terrain characteristics of Yongwon channel is likely to alter the circulation of sea water, thereby changing its water quality. In this study, the bottom sediment were collected from the 48 points of the Yongwon channel and the long-term leach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us, changes in sediment and water quality were analyzed through the sediment release test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The sediment release from the inside region was higher than the outer region, which is due to the pollutant that comes form the downtow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the water quality in the future and prepare the economically optimized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Yongwon channel, Busan New Port.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항만설계 및 부산항 3단계 개발 계획에 대한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crocomputer Aided port Design Simulation and its Application to the Third Stage Busan Port Development Project.)

  • 김환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1년도 하계학술발표회 한국항해학회
    • /
    • pp.45-48
    • /
    • 1991
  • This work aim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microcomputer aided port design simulation methodology including the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models to be implemented and apply it to the Third Stage Busan Part Development Project. In the Busan case study the size of the proposed turning basin of the new terminal together with the operational stra-tegies of berthing and unberthing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safety of ships' entry and exit through the projection new breakwaters was as-certained. From the application of simulation to the Busan project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dredging area was not sufficiently wide enough for a modelled container ship to perform A type unberthing (in which the ship turns to port as she monoeuvres away from No.1 berth with the ass-istance of tuges) especially in a strong easterly wind.,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Busan pilots should be advised to use B type unberthing strategy in which the ship goes astern from No.1 berth to the turning area in front of No.2 berth(where the ship turns 180 degrees clockwise) especially when the wind is very strong. It is also recommended that a sea buoy be placed outside the new breakwaters as this was found to im-prove the safety of ship manoeuvres through the breakwaters significant-ly. Another recommendation is that the Korean Hydrodynamic Office carry out a detailed survey of the currents in the water area near the new breakwaters. once they have been constructed. In addition it is to be recommended that a current meter be placed at the recommended sea buoy pardised by erroneous current information

  • PDF

부산항 신항 북컨테이너 배후단지의 경쟁력 제고 - AHP 기법을 토대로 -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the North Container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 Based on AHP method -)

  • 박길영;하명신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5-91
    • /
    • 2015
  • 북컨배후단지의 실제적인 운영 주체인 30개 물류센터를 대상으로 배후단지의 활성화를 위한 경쟁력 향상요인에 대해 물류센터들의 관점에서 평가를 시도했다. 항만 배후단지의 활성화 방안과 경쟁력 강화 등의 선행연구에서 채택했던 주요 경쟁력 요인과 현장의 물류센터 전문가들의 제안을 반영하여 확정한 32개의 경쟁력 향상요인이 구성되었다. 이 요인들에 대해 1-2차에 걸친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 검증과 신뢰도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5개 요인과 15개 세부요인으로 경쟁력 향상요인을 도출하였다. 주요 방법은 북컨 배후단지 물류센터들의 주요 요인과 세부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AHP)에 의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는 북컨 배후단지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는 글로벌 기업과 전략적 파트너쉽 체결, 항만 물동량, 타 물류업체와의 전략적 제휴, 배후지역과의 연계 인프라와 같은 물동량 확보와 관련된 요인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주변상황 고려 센터의 출. 입구 배치, 항만면적 및 터미널 수, 항로 및 노선 수, 인력공급의 유연성 및 탄력성과 같은 항만배후단지의 기본적인 요인들은 그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도선 관점에서 본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부산신항 내 안전대책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easure for Mega Container Ships Calling at Busan New Port from the Perspective of Pilotage)

  • 김정환;박영수;김대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74-180
    • /
    • 2020
  • 최근 부산신항은 항계 내의 장해물 제거 공사와 함께 부두 부근 항내 수심을 17m까지 확보하여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지속해서 대응하고 있다. 한편, 2020년도에는 24,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입항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흐름에 맞추어 추후 항내 수심을 23m까지 확보하는 것을 계획 중이다. 이처럼 대형선박 입항 시 상황에 따라 주의하여야 할 요소에 대한 사전 점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 공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통항에 따른 해당 항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박 입·출항 통계자료 및 선박 운항 성능 자료를 바탕으로 통항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4,000 TEU선박 통항시와 비교하여 최대 8.4%높은 위험도가 발생하였다. 또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부산신항 내 안전한 통항을 위한 도선 관점에서의 운항 특성 의견을 취합하여 최소안전수심과 예선 운용 방안 등의 안전대책을 함께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부산신항 입·출항시 사고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