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ying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2초

조선왕실(朝鮮王室)의 태실석물(胎室石物)에 관한 일연구(一硏究) -서삼릉(西三陵) 이장(移藏)원 태실(胎室)을 중심(中心)으로- (A research on the stone ornaments of Taesils of Joseon royal family)

  • 윤석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3권
    • /
    • pp.94-135
    • /
    • 2000
  • Rituals for burying the tae(胎) is a unique royal tradition of Korea that lasted from Unified Shilla(統一新羅) Kingdom to Joseon(朝鮮) dynasty. However, all of the currently known taesil(胎室)s are of the royal descendants of Joseon dynasty. Therefore, Taesils made earlier than Joseon dynasty are only known by historical documents. Taesils of the royal descendants of Joseon Dynasty divide into two kinds. One is for those of princes and princesses and the other is for those of Kings. The structure of taesils of princes and princesses is a stone chest(石函) in a pit which dug on the apex of the Taebong(胎峰) containing a pair of Tae(胎)-urn(the inner urn and outer urn), a stone tablet called Jiseok(誌石) which the date of baby's birth and Tae burial is inscribed in. And a tombstone-shaped stone tablet which called Taesilbi(胎室碑) was built on the ground. And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aesils of Kings is identical with that of taesils of princes and princesses, but instead of just an stone tablet, this has a Budo(浮屠);means stupa of a monk in korean)-shaped stone structure on the top of the stone chest, and an octagon-shaped porch was built around it, and a Tapbi(塔碑) was built. This treatise is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 process of stone ornaments. The subject of this treatise is 54 Taesils which were transferred to Seosamnung(西三陵)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ae-urns and Jiseok(誌石)s from any other Taesil and its stone chest were not included in this treatise. Researches on Taesils can be great help to history by providing resources about genealogy of Jaseon royal family and social, economical status of that time. And researches on stone ornaments and tae-urns from Taesils can provide great help to stone art history and porcelain history of Joseon dynasty.

Deep-Trench 기술을 적용한 Super Junction MOSFET의 Charge Balance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ge Balance Characteristics of Super Junction MOSFET with Deep-Trench Technology)

  • 최종문;허윤영;정헌석;강이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56-361
    • /
    • 2021
  • 파워 소자의 트레이드오프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시된 구조가 Super Junction 구조이다. Super Junction은 기존의 많이 사용하던 기본 구조 대비 1/5 정도의 낮은 온 저항(Ron) 특성을 가질 수 있다. Super Junction 구조의 공정 방법으로 Multi-Epi 공정과 Deep-Trench 공정 방법이 있다. Deep-Trench 공정은 실리콘 기판 상면에 깊은 트렌치 공정을 통하여 그안에 불순물이 도핑 되어 있는 폴리실리콘을 매립하여 P-Pillar를 형성 시키는 공정 방법이라 매립하는 과정에서 결함이 형성되기 쉬워서 비교적 어려운 제조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교적 Deep-Trench 공정으로 만들어진 구조가 낮은 온저항과 높은 항복 전압을 형성하여 좋은 효율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공정상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Charge Balance 이론을 접목시킨 구조를 설계하였다.

Anxiolytic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through upregulation of serotonin and GABA transmission and BDNF expression in immobilized mice

  • Bui, Bich Phuong;Nguyen, Phuong Linh;Do, Ha Thi Thu;Cho, Jungsoo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6호
    • /
    • pp.819-829
    • /
    • 2022
  • Background: Anxiolytic properties of Korean Red Ginseng (KRG)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However, the exact mechanism(s) of action remains to be elucidate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KRG on immobilization-induced anxiety-like behaviors in mice and explored the involvement of the serotonin and GABA systems and BDNF in the anxiolytic action. Methods: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KRG (200 mg/kg/day) for 4 weeks and immobilized once daily for 2 h. p-Chlorophenylalanine (p-CPA)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on day 22-28, and flumazenil or bicuculline was injected on day 25-28. After behavioral evaluations, brains were dissected for biochemical analyses. Results: KRG improved immobilization-induced anxiety-like behaviors in mice, as assessed by the elevated plus maze (EPM) and marble burying tests (MBT). The anxiolytic effect of KRG was comparable to that of fluoxetine, a reference drug clinically used for anxiety disorders. A serotonin synthesis inhibitor, p-CPA, blocked the effect of KRG in the EPM and MBT, indicating the requirement of serotonin synthesis for anxiolytic action. In addition, the anxiolytic effect of KRG was inhibited by bicuculline (a GABAA antagonist) in MBT, implying the involvement of GABA transmission. Western blotting analyses revealed that KRG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tryptophan hydroxylase and GABAA receptor in the brain, which was blocked by p-CPA. Enhanced BDNF expression by KRG in the hippocampus was also indicated to mediate the anxiolytic action of KRG in immobilized mice. Conclusion: KRG exhibited the anxiolytic effect in immobilized mice by multiple mechanisms of action, involving enhanced serotonin and GABA transmissions and BDNF expression.

진흙버섯속(상품명: 상황버섯) 재배방법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Economic analysis of Phellinus spp. cultivation)

  • 장현유;이영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6-87
    • /
    • 2004
  • 상황버섯은 한번 접종하여 4년간 재배되는 버섯으로서, 원목의 일부를 땅에 묻어서 재배하는 지면재배 방식으로 상업적 재배가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보다 집약적인 재배방식으로 원목을 덕(균상)에 매달아서 재배하는 지상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지상재배는 덕(균상)을 만들어 많은 숫자의 골목을 매달아 재배하는 것을 제외하면 그 재배과정이나 작업요령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지상재배는 덕(균상)이라는 시설투자에 5,678,230원이 더 들고, 원목이 지면재배 5,200본의 2.8배인 14,400본이 소요되어 368만원의 원목비와 그에 따른 종균비 1,104,000원 등이 더 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재배사 100평을 기준으로 한 4년간의 생산비는, 지면재배가 20,180,971원 지상재배가 37,953,825원으로, 지상재배가 지면재배의 1.9배에 이르고, 경영비는 지면재배가 12,077,712원, 지상재배가 24,075,432원으로, 지상재배가 지면재배의 2.0배가 되었다. 순수익은 4년간 100평에서 지면재배가 5억 8,094만원, 지상재배가 16억 8,330만원으로, 지상재배가 2.9배 많았고, 소득은 지면재배가 5억 8,904만원, 지상재배가 16억 9,718만원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득도 지상재배가 지면재배의 2.9배가 되었다. 이는 재배 원목수의 차이 2.8배에 골목 1본당 수확량의 차이 1.03(541g : 523g)가 더해진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생산비 차이 1.9배나 경영비 차이 2.0배보다 훨씬 크다. 이상을 종합하면, 지면재배는 지상재배에 비하여 투자비는 적게 들지만, 소득도 그만큼 낮고, 재배 원목과 버섯 수확량이 지상재배에 비하여 적기 때문에 저투입-저수익 재배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고, 지상재배는 투자비와 노동력 투입이 많지만, 수익은 그보다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현금흐름 측면에서는, 지면재배의 경우는 첫해의 자금지출은 지상재배보다 적지만, 첫해에 수확이 전혀 없기 때문에 투자 후 2년 정도가 지나야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지만, 지상재배는 비록 첫해의 자금수요는 그보다 크지만, 첫해부터 수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부는 아니더라도 첫해부터 투자비 회수가 가능하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하겠다.

  • PDF

사체의 유기장소별 부패진행에 따른 발생 파리류 비교 (Dipteran Comparison on Carcasses by Decomposition at Different Abandoned Site)

  • 임채석;조태호;이동운;추영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1-205
    • /
    • 2012
  • 사체의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하는 곤충은 차이가 있다. 본 결과는 사체의 유기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절족동물의 종류를 법의학적으로 활용하고자 유기 가능성이 높은 여러 장소에서 수행한 일련의 연구 중 부패단계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었던 몇몇 장소에서 사체의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하였던 파리류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부패단계에 따라 발생한 파리류는 유기장소(야산, 들판, 하천, 온실, 옥상)와 유기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 및 사체의 매장 유무에 따라 부패의 진행에 차이가 있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사체의 부패는 여름에 가장 빨리 진행되었으며 겨울철 온실에서 유기한 사체는 다른 장소에 비하여 빨리 진행되었다. 그리고 매장한 사체에 비하여 노출되었던 사체의 부패가 빨리 진행되었다. 모든 유기장소에서 노출처리된 사체의 부패초기 단계인 신선기(fresh stage)에 발생한 파리류는 구리금파리(Phaenicia sericata)와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 Lucilia sp., 큰검정빰금파리(Chrysomyia pinguis), 검정빰금파리(C. megacephala) 등 검정파리과(Calliphoridae)로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였지만 대체로 2일 이내에 성충이 사체를 찾아 들었다. 반면 매장처리에서는 신선기에 사체를 찾아드는 파리가 없었다. 쉬파리과(Sarcophagidae) 파리들은 유기 장소와 시기에 관계없이 사체에 유인되었으나 매장처리에 비하여 노출처리에 빨리 유인되었다. 또한 쉬파리과 파리는 온실에 유기한 사체에 더 빨리 유인되었으며 발생하는 시간도 짧았다. 온실에서 봄과 여름에는 신선기(fresh)에서 부패활성기(active decay) 사이에 유인되었으나 가을에는 신선기에서 부패진전기(advanced decay) 사이에 유인되었고, 겨울에는 부패진전기(advanced decay)와 유지기(remains) 사이에 유인되어 계절에 따른 부패단계에서도 발생하는 시기에 차이가 있었다. 큰검정파리와 두꼬리검정파리, 털검정파리는 봄과 겨울에 유기한 사체에 발생하는 우점종으로 fresh~active decay 단계에 주로 발생하여 활동시기가 다른 종과는 차이를 보였다. 매장된 사체에서는 검정파리과 유충보다는 쉬파리과 유충들이 먼저 출현하였다.

고대 사카 쿠르간 매장의례의 초보적 검토 - 제티수지역 카타르토베 유적 사례를 중심으로 - (A rudimentary review of the ancient Saka Kurgan burial rituals - Focused on the case of Katartobe Ancient Tombs in the Zhetisu Region -)

  • 남상원;김영현;서강민;정종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63-84
    • /
    • 2022
  • 고대 유목문화 중 하나인 사카(Saka)문화는 유라시아 고대 문화 네트워크의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들에 의해 조영된 카타르토베(Katartobe) 고분군에 대해 대한민국 국립문화재연구원과 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 문화유산연구소가 3년간 공동 발굴하였던 내용을 재해석해 보았다. 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던 고고학적 자료들을 토대로 주변의 사카문화권에서 확인된 고분 조사 사례들과 비교·검토하여 카타르토베 고분군 축조 집단의 매장의례를 유추해 보고자 하였다. 그들은 매장의례 과정에서 동물을 함께 매장하기도 하고 제사를 지내기도 하며, 망자를 땅속에 묻고 불을 사용한 의식을 치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장의례는 사카문화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었음을 다른 유적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당시 하나의 봉분 아래 다수의 목곽이 설치될 경우 대부분 동시에 매장이 이루어졌으며, 망자의 죽음 시점이 다를 때는 2차장인 세골장이 이루어졌다는 것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묘도가 발견된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단지 매장을 위한 통로가 아닌 별도의 의식이 이루어지는 장소였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의 삶에 있어 중요한 동반자 역할을 하였던 동물들도 쿠르간 내 출토되는 위치와 종류, 뼈에 나타난 흔적들을 통해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매장 의례의 각 단계에서 서로 달리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물의 매장은 출토된 위치와 동물의 종, 뼈에 나타난 흔적을 통해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장토기들은 인근 사카문화계 고분군들과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비슷한 기종들이 공헌용기로 사용되었으며, 두향을 서쪽으로 하고 있는 피장자들의 두부(頭部)쪽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족부(足部)가 위치하는 목곽 모서리에 토기를 한 점씩 배치하는 것은 카타르토베 고분군 축조집단의 독특한 매장의례였다. 현재 중앙아시아 쿠르간에 대한 조사자료가 다량 축적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성급한 일반화를 논하기는 어려운 단계이다. 실제로 하나의 유적 내에서도 일부 정형성이 있는가 하면 그 안에서도 다양성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세한 관찰과 연구가 지속된다면 고대 유라시아 문화 네트워크 주역들의 문화를 복원하는 데 큰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축매몰지 및 인근 농경지의 축산용 잔류 항생제 모니터링 (Monitoring of Selected Veterinary Antibiotics in Animal Carcass Disposal Site and Adjacent Agricultural Soil)

  • 임정은;아누쉬카 라자팍샤;정세희;김성철;김계훈;이상수;옥용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3호
    • /
    • pp.189-196
    • /
    • 2014
  • 2010년 발생한 가축전염병인 구제역(FMD)으로 인해 전국에 약 4,700여개소에 가축 매몰지가 조성되었다. 매몰된 가축의 부패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출수는 항생제와 같은 다양한 오염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주변 토양 및 수계로 유입되는 경우 환경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경에 잔류하는 항생제는 내성박테리아 생성 등을 통해 인간건강 및 생태계 건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축 매몰에 의한 항생제 오염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가축 매몰지 및 인근 농경지 토양에서 항생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대상 항생제로는 축산용 항생제로 사용량이 가장 많은 tetracycline 계열의 tetracycline (TC), chlortetracycline (CTC), oxytetracycline (OTC)와 sulfonamide 계열의 sulfamethazine (SMZ), sulfamethoxazole (SMX)을 선정하였다. 항생제의 잔류농도는 매몰지 (TC: $144.26-350.73{\mu}g/kg$, SMZ: $17.72-44.94{\mu}g/kg$)가 인근 농경지 (TC: $134.16-320.73{\mu}g/kg$, SMZ: $6.48-8.85{\mu}g/kg$)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TC, OTC, SMX는 검출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단정할 수는 없으나 매몰된 가축사체에 함유된 항생제가 매몰지 및 인근 토양에 축적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농경지에 잔류하는 항생제는 농작물에 의해 흡수되어 인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하천합류부에서 갈대매트를 이용한 하천식생대 조성에 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Effect to Build up a Vegetation Strip at Stream Confluence by Using Reed Mat)

  • 정경진;김미경;안원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62-73
    • /
    • 2003
  • The study was to apply a mat style reed planting method at confluence to improve plants growth conditions by relaxing disturbed topographical base due to water flow and was intended to review the effect to build up a vegetation strip by monitoring process after the construction. First off, We've attempted to construct reed mats on selected sites as confluences of Tan and Gaehwa stream and then examin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soil and vegetation community. As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e soil texture was proven to be a mix of sand and loamy sand and be 6.3 ~ 7.0 soil pH. In addition, it contained 1.0 ~ 4.6% of organic matter, 0.04 ~ 0.22% of T-N and 27.8 ~ 41.2% of water content. For its vegetation structure, the Tan stream confluence was first actually a point bar without plants prior to the construction but 8 kinds of hygrophytes including Persicaria hydropiper and 9 kinds of terrestrial plants such as Potentilla supina, Artemisia annua, and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On the other hand, the Gaehwa stream confluence contained 6 kinds of hygrophytes such as Bidens frondosa and other 11 kinds of terrestrial plants prior to the construction while it produced 7 kinds of hygrophytes including Ranunculus ternatus as well as Phragmites australis and 9 kinds of terrestrial plants such as Potentilla supina after the construction. For the Phragmites australis, almost of them was weathered away in early days just after planting because of development period passed, but on May, six months later from planting, it was investigated that its length was approximated as 65 ~ 85cm with 75% coverage and that the number of it was 437 ~ 633/$m^2$. The study was shown that reed mats can improv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isturbed topographical base, enabling natural growth of various riparian vegetation including the introduced plant, reed. In the meantime, it was supposedly judged that to recover or build up a vegetarian strip, supplementary materials should be prepared to help produce and grow plants because it is not probable to expect river drift by water flow at confluence and that corrosion, burying or inundation owing to changes of water lever should be considered.

이중 랜드마크 인식 기반 AGV 이동 제어 (A Moving Control of an Automatic Guided Vehicl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ouble Landmarks)

  • 전혜경;홍윤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8C호
    • /
    • pp.721-73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화장장이란 특수한 실내 공간에서 시신을 최종 목적지인 화장로까지 안전하게 운구할 수 있는 무인이송차량(AGV)의 이동 제어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바닥에 유도라인을 매립하는 방식은 화장장 환경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적외선 센서 기반 AGV 이동 궤적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이 방식은 AGV가 근적외선을 방사하여 미리 부착된 랜드마크(landmark) 판독을 통해 해당 경로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이 갖는 문제점은 랜드마크 배열 과정에서 사각 지역(dead zone) 및 중첩 지역(overlap zone)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중 랜드마크 인식을 통해 센싱 과정에서의 오차 발생 과정을 최소화할 것이다. 또한, 화장로에 진입하기 위한 회전 구간에서는 회전 직후 화장로의 진입로와 일직선을 유지하도록 AGV 안쪽 바퀴와 바깥쪽 바퀴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모의 차량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실제 국내 화장장에 본 논문에서 개발한 AGV 시스템을 적용하여 오차 범위 내에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PCB내 1005 수동소자 내장을 이용한 Diplexer 구현 및 특성 평가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iplexer Substrate with buried 1005 Passive Component Chip in PCB)

  • 박세훈;윤제현;유찬세;김필상;강남기;박종철;이우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1-47
    • /
    • 2007
  • 현재 PCB기판내에 소재나 칩부품을 이용하여 커패시터나 저항을 구현하여 내장시키는 임베디드 패시브기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패시터 용량이나 인덕터의 특성이 검증된 칩부품을 기판내 내장시켜 다이플렉서 기판을 제작하였다. $880\;MHz{\sim}960\;MHz(GSM)$영역과 $1.71\;GHz{\sim}1.88\;GHz(DCS)$영역을 나누는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1005크기의 6개 칩을 표면실장 공정과 함몰공정으로 형성시켜 Network Analyzer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chip표면실장으로 구현된 Diplexer는 GSM에서 최대 0.86 dB의 loss, DCS에서 최대 0.68 dB의 loss가 나타났다. 표면실장과 비교하였을 때 함몰공정의 Diplexer는 GSM 대역에서 약 5 dB의 추가 loss가 나타났으며 목표대역에서 0.6 GHz정도 내려갔다. 칩 전극과 기판의 도금 연결부위는 $260^{\circ}C$, 80분의 고온공정 및 $280^{\circ}C$, 10초의 솔더딥핑의 열충격 고온공정에서도 이상이 없었으며 특성의 변화도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