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st Test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1초

사출성능 개선을 위한 사출용 가스발생기 연구 (Research on the Ejection Gas Generator to Improve Ejecting Performance)

  • 오석진;장승교;차홍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83-390
    • /
    • 2013
  • 유도탄의 사출성능 중 탄에 충격으로 작용하는 최대가속도의 감소는 유도탄의 비정상작동 방지와 내부 부품들의 크기 및 비용 감소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출용 가스발생기의 작동에 의해 탄에 가해지는 최대가속도가 사출초기에 발생됨을 착안하여 사출초기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인자를 조사하였다. 가스발생기 설계인자로 점화기 및 노즐마개를 선정하고, 설계인자 변경을 통해 가스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가속도를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최종적으로 최대가속도 감소효과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가스발생기 지상연소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계인자의 최적값들이 적용된 개선모델의 경우 기준모델에 비해 최대가속도를 약 68%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anoparticle Formation from a Commercial Air Freshener at Real-exposure Concentrations of Ozone

  • Vu, Thai Phuong;Kim, Sun-Hwa;Lee, Seung-Bok;Shim, Shang-Gyoo;Bae, Gwi-Nam;Sohn, Jong-Ryeul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5권1호
    • /
    • pp.21-28
    • /
    • 2011
  • Occupational nanomaterial exposure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manufacture of such products. People are also exposed to various nanoparticles in their living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nanoparticle formation during the reaction of ozon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from a commercial air freshener, one of many widely used consumer products, in a $1-m^3$ reaction chamber. The air freshener contained various VOCs, particularly terpenes. A petri dish containing 0.5 mL of the air freshener specimen was placed in the bottom of the chamber, and ozone was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center of the chamber at a flow rate of 4 L/min with an ozone concentration of either 50, 100 or 200 ppb. Each test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about 4 h. The higher ozone concentrations produced larger secondary nanoparticles at a faster rate. The amount of ozone reacted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aerosol formation. Ratios of reacted ozone concentration and of formed particle mass concentration for the three injected ozone concentrations of 50, 100 and 200 ppb were similar to one other; 4.6 : 1.9 : 1.0 and 4.7 : 2.2 : 1.0 for ozone and aerosol mass, respectively.

All-trans Retinoic Acid Release from Surfactant-free Nanoparticles of Poly(DL-lactide-co-glycolide)

  • Jeong, Young-Il;Kim, Don-Gon;Jang, Mi-Kyeong;Nah, Jae-Woon;Kim, Yong-Bae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8호
    • /
    • pp.717-724
    • /
    • 2008
  • In this study, we prepared all-trans retinoic acid (ATRA)-encapsulated, surfactant-free, PLGA nanoparticles. The nanoparticles were formed by nanoprecipitation process, after which the solvent was removed by solvent evaporation or dialysis method. When a nanoparticle was prepared by the nanoprecipitation - solvent evaporation method, the nanoparticles were bigger than the nanoparticles of the nanoprecipitation - dialysis method, despite the higher although loading efficiency. Nanoparticles from the nanoprecipitation - dialysis method were smaller than 200 nm in diameter, while the loading efficiency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Especially, nanoparticles prepared from DMAc, 1,4-dioxane, and DMF had a diameter of less than 100 nm. In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observations, all of the nanoparticles showed spherical shapes. The loading efficiency of ATRA was higher than 90% (w/w) at all formulations with exception of THF. The drug cont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rug-feeding amount while the loading efficiency was decreased. In the drug release study, an initial burst was observed for $2{\sim}6$ days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the formulation, after which the drug was continuously released over one month. Nanoparticles from the nanoprecipitation - dialysis method showed faster drug release than those from the nanoprecipitation - solvent evaporation method. The decreased drug release kinetics was observed at lower drug contents. In the tumor cell cytotoxicity test, ATRA-encapsulated, surfactant-free, PLGA nanoparticles exhibited similar cytotoxicity with that of ATRA itself.

디지털 뇌파 전송 프로토콜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Digital EEG Signal Transmission Protocol)

  • 김도훈;황규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7호
    • /
    • pp.623-62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뇌파 전송 프로토콜 설계하고 이를 검증할 테스트 플랫폼 제작 결과를 소개한다. 건식 전극에서 검출된 뇌파는 인접한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각 센서 노드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뇌파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프로토콜을 통해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플랫폼으로 전송된다. DSP 플랫폼에서는 뇌파 전처리 알고리즘 수행 및 뇌 특성 벡터 추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채널당 10비트 또는 12비트 ADC를 사용하여 최대 16채널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I^2C$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4바이트 데이터 버스트전송을 수행하면 통신오버헤드가 2.16배로 측정이 되어 10 비트 또는 12 비트 1 ksps ADC를 16채널로 사용시 총 데이터전송율이 각각 345.6 kbps, 414.72 kbps 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400 kbps 고속전송모드 $I^2C$를 사용할 경우 ADC 비트에 따라서 슬레이브와 마스터의 채널비가 각각 16:1, $(8:1){\times}2$ 로 되어야 한다.

유동층 코팅기를 이용한 염산알푸조신의 서방형 과립 설계 및 제조 (Formulation and Preparation of Sustained Release Pellet for Alfuzosin HCI Using Fluid-bed coater)

  • 나진상;윤양노;서희;정상영;박은석;황성주;신병철;김성훈;조선행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6호
    • /
    • pp.387-392
    • /
    • 2008
  • Alfuzosin, an Alphal-adrenoceptor antagonist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voiding and in a lesser extent storage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associated to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ormulate sustained release alfuzosin HCl granules and assess their formulation variables. The $Eudragit^{(R)}$ as a polymer, sustained release membrane, and dibutyl sebacate (DBS) as a plasticizer were used. Multi-coated alfuzosin HCl delivery systems composed of sugar sphere, various excipients, $Eudragit^{(R)}$ and HPMC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Cellulose Acetate were prepared by fluid-bed coater. Membrane layer were used $Eudragit^{(R)}$ RS PO and NE 30D. And the alfuzosin HCl coated beads were coated immediate release drug layer for initial burst. Its dissolution test was carried out compared to conventional products ($XATRAL^{(R)}$ XL). The release rate of drug from coated beads was higher than that from $XATRAL^{(R)}$ XL in pH 6.8.

압축천연가스 자동차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제언 (Suggestion for Safety Improvement of Compressed Natural Gas Vehicle)

  • 김영섭;박교식;김태옥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7
    • /
    • 2012
  • 지난 2010년 8월 9일 발생한 압축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 CNG) 버스의 내압용기 파열사고 이후 정부는 CNG자동차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 내용은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CNG자동차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관련 법령, 검사 인증기준 등 안전관리제도를 검토하였고, 더불어 CNG자동차 관련 종사자(검사원, 정비원)에 대한 교육훈련 등도 검토하였다. 주요 검토내용으로는 CNG자동차용 용기형태, CNG용기의 설치위치, 압력방출배관의 재질 및 설치형태, 배관접속 및 접합방법, 가스누출 경보시스템, 긴급차단밸브 및 작동 스위치, CNG용기 보호커버, CNG 자동차 충전사업자의 공급자 의무사항, CNG자동차의 정기검사제도, CNG자동차의 일상점검 제도, CNG자동차 종사자의 교육훈련제도, CNG버스 운송사업체의 안전관리자 선임제도 등이다. 위의 주요 항목들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여 CNG자동차의 안전성 향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starch and gum arabic-maltodextrin microparticles encapsulating acacia tannin extract and evaluation of their potential use in ruminant nutrition

  • Adejoro, Festus A.;Hassen, Abubeker;Thantsha, Mapitsi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7호
    • /
    • pp.977-987
    • /
    • 2019
  • Objective: The use of tannin extract and other phytochemicals as dietary additives in ruminants is becoming more popular due to their wide biological actions such as in methane mitigation, bypass of dietary protein, intestinal nematode control, among other uses. Unfortunately, some have strong astringency, low stability and bioavailability, and negatively affecting dry matter intake and digestibility. To circumvent these drawbacks, an effective delivery system may offer a promising approach to administer these extracts to the site where they are requir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ncapsulate acacia tannin extract (ATE) with native starch and maltodextrin-gum arabic and to test the effect of encapsulation parameters on encapsulation efficiency, yield and morphology of the microparticles obtained as well as the effect on rumen in vitro gas production. Methods: The ATE was encapsulated with the wall materials, and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freeze-dried microparticles were evalu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in vitro release pattern of microparticles in acetate buffer, simulating the rumen, and its effect on in vitro gas production was evaluated. Results: The morphological features revealed that maltodextrin/gum-arabic microparticles were irregular shaped, glossy and smaller, compared with those encapsulated with native starch, which were bigger, and more homogenous. Maltodextrin-gum arabic could be used up to 30% loading concentration compared with starch, which could not hold the core material beyond 15% loading capacity. Encapsulation efficiency ranged from $27.7%{\pm}6.4%$ to $48.8%{\pm}5.5%$ in starch and $56.1%{\pm}4.9%$ to $64.8%{\pm}2.8%$ in maltodextrin-gum arabic microparticles. Only a slight reduction in methane emission was recorded in encapsulated microparticles when compared with the samples containing only wall materials. Conclusion: Both encapsulated products exhibited the burst release pattern under the pH conditions and methane reduction associated with tannin was marginal. This is attributable to small loading percentages and therefore, other wall materials or encapsulation methods should be investigated.

염소 누출 사고사례연구를 통한 Flexible hose 설계 및 관리 방안 고찰 (Consideration on Design and Management of Flexible Hose through the Case Study of Chlorine Leak)

  • 박수율;임지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51-357
    • /
    • 2019
  • 2018년 울산에서 Flexible hose의 파단으로 발생한 염소 누출사고를 분석하여 국내 설계 및 관리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누출 사고가 발생한데는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직접적 원인인 Flexible hose의 파단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 결과, 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에서 염소 이송에 사용하는 Flexible hose 는 재질 및 사용 두께 측면에서 부적절 했고, 사용 전 압력 테스트도 운전압력 이하에서 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염소를 취급하는 울산지역의 다섯 곳의 사업장을 확인한 결과, 한 곳을 제외하고 염소 이송에 부적절한 Flexible hose를 사용하고 있었다. 현재 염소 이송용 Flexible hose의 설계에 대한 국내 기준이 없어 사용하는 Flexible hose의 적정성을 검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염소 이송용 Flexible hose의 설계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준을 설계 및 검토에 적용한다면 염소 이송 시 발생할 수 있는 Flexible hose 파단의 위험성을 경감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Visible light-cured glycol chitosan hydrogel dressing containing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accelerates wound healing in vivo

  • Yoo, Youngbum;Hyun, Hoon;Yoon, Sun-Jung;Kim, So Yeon;Lee, Deok-Won;Um, Sewook;Hong, Sung Ok;Yang, Dae Hyeok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7권
    • /
    • pp.365-372
    • /
    • 2018
  • Wounds that heal with excessive scar formation result in poor functional and aesthetic outcomes. To address this, in our study, visible light cured glycol chitosan (GCH) hydrogels containing endothelial growth factor (EGF)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were prepared (GCH-EGF, GCH-FGF and GCH-EGF/FGF) and evaluated their efficacies on the improvement of wound healing in vivo. In vitro release test showed that the growth factors were released in a sustained manner along with initial burst for 24 h. In vitro cell proliferation assay of L-929 mouse fibroblast cell line resulted in the superior ability of GCH-EGF/FGF on the rate. In vivo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growth factor loaded GCHs further enhanced wound healing compared with GCH. In particular, GCH-EGF/EFG showed the most remarkable wound healing effect among the samples.

대수용가 스마트미터와 수압 데이터를 이용한 소블록 내 관 파손사고 감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pipe burst detection model using large consumer's smart water meter and pressure data)

  • 김경필;유완식;강신욱;최두용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1-521
    • /
    • 2023
  • 지방상수도의 관 파손사고 감지 및 누수관리 방법에는 블록시스템 구축을 통한 소블록별 야간최소유량 감시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다. 야간최소유량은 새벽 2시와 4시 사이의 인구 활동 비율이 가장 낮은 새벽 시간대에 소블록에 공급된 유량을 의미하며, 대부분 유량 성분은 누수량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아파트 중심의 주거 형태를 보이는 도심지의 경우, 새벽 시간대에도 다량의 물수요가 비정기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관망의 이상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관리기준으로서 야간최소유량을 이용하기에는 높은 일간 변동성에 따른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야간최소유량은 관 파손사고 발생의 감시보다는 관로 연결 또는 급수전 분기 부위에서 발생하는 미량의 누수가 수개월에 걸쳐 누적되는 장기추세를 분석하여 누수탐사반의 투입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아직까지 관 파손사고의 발생은 자체적인 감지보다는 민원에 의해 인지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스마트관망 구축사업(SWM) 등을 통해 관 파손 및 누수 감지를 위한 청음식 누수감지센서가 소블록 내 도입되고 있으나, 초기 시설투자에 큰 비용이 수반되며 주변 소음과 배터리 전원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새벽 시간대에만 분석이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이 역시도 상시적인 관 파손사고의 감시기술이라 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소블록 유입점에서의 유량·압력과 소블록 내에 설치된 대수용가 스마트미터, 그리고 사고감지를 위한 수압계 사이의 평상시 수리적 균형을 학습한 DNN(Deep Neural Network) 모델을 이용하여 관 파손사고를 실시간 감지하는 모델 개발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델은 관 파손사고 감지를 위한 수압계의 최적 위치와 대수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과 관 파손사고 감지모듈로 구성되며, 1개 소블록 Test-Bed를 구축하여 모델을 생성하고 PDD 관망해석 모델을 통해 생성된 가상의 사고에 대한 감지 여부로서 개발 모델의 감지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