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saphelenchus Xylophilus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52초

Cryopreservation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Park, Ju-Yong;Shin, Keum-Chul;Kim, Kyung-Hee;Lee, Seung Kyu;Lee, Jong Ky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334-337
    • /
    • 2005
  • Pine wood nematode isolates from Haman, Gyoungsangnam-do were cryopreserved with three different cryoprotectants (glycerol, ethylene glycol and dimethylsulfoxide), Nematode Growth medium (NGM) and M 9 buffer solution, respectively, and then survival rate, reproduction ability, and pathogenicity of stored nematodes were compared. Survival rates of juvenile was excellent in 15% glycerol solution as $72{\pm}5.3%$. The survival ability of nematodes at juvenile stage wa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nematodes at adult stage. Pre-incubation treatment at $4^{\circ}C$ before storing in liquid nitrogen didn't affect the survival ability of pine wood nematode. When the reproduction ability of nematodes was confirmed on Botrytis cinerea agar plates at $28^{\circ}C$ incubato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ryopreserved and non-cryopreserved. Pathogenic ability of cryopreserved nematodes was also evaluated and confirmed by artificially inoculating them on 2-year old red pine seedlings.

자연감염된 소나무와 잣나무 내 소나무재선충 분포 및 인공접종한 소나무 묘목 내에서의 소나무재선충 이동 (Distribution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Naturally Infected Pinus densiflora and P. koraiensis and Migration of B. xylophilus in Artificially Inoculated P. densiflora Seedlings)

  • 김재근;김병관;이승규;김진철;한상섭;차병진
    • 식물병연구
    • /
    • 제18권2호
    • /
    • pp.101-108
    • /
    • 2012
  • 소나무재선충에 자연 감염된 소나무와 잣나무로부터 소나무재선충을 분리하여 수종 간 분리율과 수종 내 부위별 밀도 등을 비교하고, 분리한 선충을 소나무 묘목에 접종하여 묘목 내에서의 이동을 알고자 하였다. 2006년,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말라죽었거나 죽어가고 있는 소나무와 잣나무로부터 소나무재선충을 분리한 결과, 소나무재선충은 두 수종 모두에서 높은 밀도로 분리되어 수종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수종의 변재부 위에서만 분리되었으며, 분리한 조직을 채취한 줄기의 높이에 따른 분리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즉, 말라죽은 나무의 주간은 모든 조직이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있었다. 소나무 묘목에의 접종실험을 통하여 감염목 내 이동을 조사한 결과, 감염초기에 소나무 조직 내로 침입한 소나무재선충은 증식에 앞서 감염목 내에서 빠르게 이동하여 퍼지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에 왕성한 증식활동을 하였으며, 이 시기가 바로 소나무 시들음병의 외부병징이 나타나는 시기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소나무재선충의 이동경로를 조사하기 위해 접종한 소나무 줄기횡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또 높이별로 선충을 분리하여 조직 내 선충의 분포를 관찰한 결과, 줄기의 피층에 있는 수지도를 통해 접종부위로부터 다른 부위로 빠르게 이동을 하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조직 내에서 증식한 소나무재선충은 피층의 수지도뿐만 아니라 목질부수지도나 가도관까지 분포하여 감염목내 전 부위에 걸쳐 고루 분포하였다. 그러나 수조직에서는 분리할 수 없었다. 소나무재선충 분리밀도가 높았던 묘목은 뿌리의 발달이 불량하거나, 목질부 변색균에 감염된 것들이었으며, 비교적 튼튼한 외양을 한 묘목에서는 선충의 분리밀도가 낮았다.

휴대용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 피해목의 식생지수 변화분석 (Analyzing Vegetation Index Change of Damaged Trees by Pine Wilt Disease Using Portable Near Infrared Camera)

  • 김유승;정성은;이우균;김준범;권태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561-564
    • /
    • 2008
  • 소나무 재선충병은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소나무 재선충병은 보통 5~6월에 감염되지만 10~11월에 비로소 피해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피해예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재선충에 의해 소나무가 고사되는 과정중에는 식생활력도가 크게 감소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분광스펙트럼상의 근적외선 영역에서 분광반사의 감소를 수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토대로 재선충 피해목의 식생활력도 변화를 식생지수 모니터링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휴대가 간편한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선충 피해지역의 소나무림을 5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촬영함으로써 녹색, 적색 및 근적외선 영역대의 분광반사값을 취득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분광반사값으로부터 피해목의 식생지수(Vegetation Index: VI)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피해목의 식생지수는 감염초기인 6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The Efficiency of RNA Interference in Bursaphelenchus xylophilus

  • Park, Jung-Eun;Lee, Kyong Yun;Lee, Se-Jin;Oh, Wan-Suk;Jeong, Pan-Young;Woo, Taeha;Kim, Chang-Bae;Paik, Young-Ki;Koo, Hyeon-S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1호
    • /
    • pp.81-86
    • /
    • 2008
  • RNA interference (RNAi) was performed on several essential genes in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which causes pine wilt disease. Double-stranded RNA (dsRNA) was delivered to larvae or adult worms by soaking, electroporation, or microinjection. Soaking and electroporation of L2-L3 stage worms in solutions containing dsRNA for essential genes induced over 25% lethality after 5 days, and gene-specific phenotypes were observed. This lethality agreed with significant reductions of the targeted transcripts, as assayed by reverse-transcription coupled with real time PCR. Microinjection was the most efficient route as measured by the hatching rate of F1 embryos, which was reduced by 46%. When adult worms were soaked in dsRNA, lethality was induced in the F1 larvae, revealing the persistence of knockdown phenotypes. The penetrance of the RNAi phenotypes for essential genes was relatively low but consistent, indicating that RNAi should be useful for studying the in vivo functions of B. xylophilus gene products.

Development of a Redox Dye-Based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Quantitation of Viability/Mortality of Pine Wilt Nematode

  • Han, Kyeongmin;Lee, Jaejoon;Shanmugam, Gnanendra;Lee, Sun Keun;Jeon, Jun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7호
    • /
    • pp.1117-1123
    • /
    • 2019
  •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which is caused by pine wilt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heavily dependent on the use of chemicals such as abamectin. Although such chemicals are highly effective, demands for alternatives that are derived preferentially from natural sources, are increasing out of environmental concerns. One of the challenges to discovery of alternative control agents is lack of fast and efficient screening method that can be used in a high-throughput manner. Here we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colorimetric assay for the rapid and accurate screening of candidate nematicidal compounds/biologics targeting B. xylophilus.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method, which relies on laborious visual inspection and counting of nematode population under microscope, our method utilizes a redox dye that changes its color in response to metabolic activity of nematode population in a given sample. In this work, we optimized parameters of our colorimetric assay including number of nematodes and amount of redox dye, and tested applicability of our assay for screening of chemicals and biologics. We demonstrated that our colorimetric assay can be applied to rapid and accurate quantification of nematode viability/mortality in a nematode population treated with candidate chemicals/biologics. Application of our method would facilitate high-throughput endeavors aiming at finding environment-friendly control agents for deadly disease of pine trees.

Nematocidal Screening of Essential Oils and Herbal Extracts again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 Elbadri, Gamal A.A.;Lee, Dong-Woon;Park, Jung-Chan;Yu, Hwang-Bin;Choo, Ho-Yul;Lee, Sang-Myeong;Lim, Tae-H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78-182
    • /
    • 2008
  • Five essential oils and 15 herbal extracts were evaluated to control Bursaphelenchus xylophillus in laboratory. The essential oils from clove plant (Syzygium aromaticum), mustard (Brassica integrefolia), thyme (Thymus vulgaris), and Pelargonium inquinans were found to be highly promising and gave excellent control of the nematodes at all the time of exposure. Among them, the least one gave 91.3% mean mortality rate at 24 hours of exposure time, which is highly significant from the control. While in the second study, most of the methanol (Desmodium caudatum, Paulownia coreana, Auckulandia lappa, Sophota flavescens, Aloe sp., Rheum palmatum, Zingiber officinale, Magnolia officinalis, and Eugenia caryophyllata), hexane (Torreya nucifera, Pharbitis nil, Prunus mume, Melia azedarach, and Xanthium strumarium), and hot water (Cinnamomum cassia) herbal extracts killed the nematodes, but in varying degrees compared to the control. Only one extract was found to be promising viz Magnolia officinalis which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and gave mean mortality of 72, 82.3, and 85.3 % for 24, 48, and 72 hours exposure, respectively. Further screening was conducted for M. officinalis with concentrations of 1,000, 100, and 10 ppm against the same species of nematode with the same time of exposure. However, it gave an excellent result for 1,000 ppm for all time of exposure, whereas for the 100 and 10 ppm it gave mean mortality of 39.5 and 25.8% for the time 72hrs, respectively that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우화 생태 (Emergence Ecolog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a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김동수;이상명;정영진;최광식;문일성;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7-313
    • /
    • 2003
  • 소나무재선충의 주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우화생태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임지에서 죽은 소나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양지에서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우화시기를 조사한 결과 4개년 평균 매년 5월 15일을 전후하여 우화하기 시작하였고, 50% 우화일은 6월 중순경이었다 우화 종료일은 7월 상순-하순으로 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수컷의 50% 우화일은 암컷보다 해에 따라 1-4일이 빨랐다. 그러나 음지에서의 50% 우화일은 양지에서보다 17일이 늦어졌다. 2001년 2월에서 4월까지 벌채한 공시목으로부터 우화한 성충 중에서 동년에 우화한 1년 1세대 충의 비율은 97.6%이었고, 이듬해인 2002년에 우화한 2년 1세대 충의 비율은 2.4%이었다. 솔수염하늘소 성충은 암수 구분 없이 24시간 내내 우화하였지만, 오전 8시부터 12시 사이에 우화하는 성충의 비율이 32.3%로 가장 높았으며, 새벽 2시부터 오전 8시까지는 우화율이 낮았다. 번데기방에서 성충이 우화한 후 나무 밖으로 탈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각은 68.0초이었다.

소나무재선충 접종목의 수분포텐셜 변화 (Changes in Water Potential of Pine Seedlings Inoculated with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이화용;구창덕;성주한;신준환;유종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37-343
    • /
    • 2010
  •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한 소나무묘목에서 잎의 수분포텐셜 변화를 식물수분시스템으로 측정하였다. 소나무재선충 접종 후 35일째 12시경에 소나무의 잎 수분포텐셜은 소나무소나무재선충 접종묘에서 -1.04 MPa, 비접종묘에서 -0.94 MPa로 소나무재선충 접종묘가 비접종묘보다 더 낮았다. 접종 후 56일째에는 해뜨기 직전 잎 수분포텐셜은 소나무재선충 접종묘가 -0.71 MPa, 비접종묘가 -0.26 MPa로 소나무재선충 접종묘가 더 낮았다. 접종 후 63일째에는 소나무소나무재선충 접종묘의 1년생 잎이 옅은 황색으로 되었다. 이때 접종묘의 근원부 단면에서는 수지가 나오지 않았다. 소나무재선충의 밀도는 접종 후 28일째에 최대가 되었다가 68일째에 급감하였다. 접종묘의 체관부와 수조직은 갈변되었으며 수지 유출은 접종 후 계속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나무재선충은 접종 1개월부터 소나무묘목에 수분 스트레스를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