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ding Register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나포 문화마을 주택의 평면적 특성 분석 - 도시 아파트 평면 특성의 문헌고찰 비교 - (An Analysis on Floor Planning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es in Na-po Munwha Village - A Comparison with Literature Review of Apartment Unit Plan -)

  • 유옥순;최병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23-32
    • /
    • 2007
  •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ntemporary planning characteristics of rural houses in Na-po Munhwa village by analyzing their floor plans. Thes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apartment housing trends. 240 houses were built in that village, but it was only possible to collect housing data, floor plans and general building records from 102 houses, using house registers. By analyzing those dat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Floor plan shapes of rural houses showed a tendency to words a 'ㅋ' shape, a 3bay or a transformed 3 bay and a "room-living-room" space arrangement of a centered living room. Public spaces (L.D.K) were separately planned DK from livingroom. Living space was very open and the DK space had created visual privacy from the entrance. The Anbang (master bedroom) and living space were set to the front of the floor plan and an interior toilet was planned in them. These floor-planning tendencies were similar to trend apartment houses in urban areas. 2) Utility and Balcony spaces as a support space of kitchen were not popular features of rural houses in the Munhwa village. Thes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urban apartment housing trends. 5) Storage space practically absent in those rural houses, and this was similar to urban the trends in urban apartment houses.

겨주시 단독주택지역의 주거유형 및 생활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Patterns and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Single-Family Residential Areas in Gyeongju)

  • 이종석;손철수;이윤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93-10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space structure in urban residential areas,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Gyeongju area. In order to clarify its residential and cultural properties, the residential patterns and living characteristics identifying its historical context were analys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data of the Hwango-dong area that has maintained its original form since the creation as a urban residential area during the 1960s and 1970s, the data of the Dongbang village area that was developed as one of residential area projects during the 1970s, and the data of the Seonggeon-dong area that was developed as a residential area during the 1970s and 1980s. The analyses on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data, referring to building administration registers, field survey and photographing of house types, and exploration of living characteristics by house types were used to perform this study. Four hundred and five sample houses were used in this study, having forty one sample houses which were used for living survey and actual plane measur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designing the house to meet Gyeongju citizens' desire for living environments, and to maintai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Lexical Bundles in Computer Science Research Articles: A Corpus-Based Study

  • Lee, Je-Young;Lee, Hye 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4호
    • /
    • pp.70-7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corpus-based study was to find 4-word lexical bundles in computer science research articles. As the demand for research articles (RAs) for international publication increases, the need for acquiring field-specific writing conventions for this academic genre has become a burning issue. Particularly, one area of burgeoning interest in the examination of rhetorical structures and linguistic features of RAs is the use of lexical bundles, the indispensable building blocks that make up an academic discourse. To illustrate, different academic discourses rely on distinctive repertoires of lexical bundles. Because lexical bundles are often acquired as a whole, the recurring multi-word sequences can be retrieved automatically to make written discourse more fluent and natural. Therefore, the proper use of rhetorical devices specific to a particular discipline can be a vital indicator of success within the discourse communities. Hence, to identify linguistic features that make up specific registers, this corpus-based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usage frequency of lexical bundles in the discipline of CS, one of the most in-demand fields world over. Given that lexical bundles are empirically-derived formulaic multi-word units, identifying core lexical bundles used in RAs, they may provide insights into the specificity of particular CS text types. This will in turn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register specificity and technicality within the academic discourse of computer science. As in th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의 근대건축물 유형분류 및 활용제안 (The Usage and Classification of Modern Architecture Types in the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of Yeongju)

  • 도현학;변경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5-34
    • /
    • 2023
  • In 2018,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introduced a new system that registers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 street and district units. Yeongju City's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 was selected as the first trial region. This grouping method breaks through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limitations of cultural heritage in individual building units. Thus, the issue is how will such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s be grouped, conserved and managed. Hence,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ituation of buildings in the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of Yeongju and conducts an experimental survey. Based on this, the types of modern architecture were classified, and the architectural group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to preserve and utilize the architecture. For these purposes, priority groups were determined by evaluating them based on five criteria: archetype, placeness, politicalness, typicality and originality. The modern architecture in the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of Yeongju have undergone many changes. The residential transform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during modern times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settlement and nativization.

Realistic Seeing Through Method and Device Through Adaptive Registration between Building Space and Telepresence Indoor Environment

  • Lee, 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01-107
    • /
    • 2020
  • 사용자가 건물 안과 같은 실내 환경에서 외부에 존재하는 목적 공간의 상황들을 확인하고 해당 공간의 정보들을 확인하고 이동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있는 공간과 목적지의 공간을 확인 하면서 길을 찾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원격 공간 정보를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 있는 공간과 적절하게 정합 되어 원격 공간을 보이는 혼합현실 기반의 실감 투시 가시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있는 방의 공간 어느 방향에서도 원격에 존재하는 공간과 자연스러운 연결을 하고 해당 공간으로 몰입하여 들어가서 원격 공간에 있는 사람들 및 객체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한 경우 실내의 위치를 찾을 때 기존 방법에 비해서 30% 더 빠르게 찾을 수 있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CO2 인벤토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Construction of CO2 Inventory Using GIS)

  • 오상학;김대욱;류지원;차재규;정응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0-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공간 특성에 따라 분포되고 있는 탄소 배출 규모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공간대응형 탄소배출 인벤토리를 구축함으로서 온실가스 저감형 도시 공간구조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친환경적인 녹색 도시로의 변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 입력되는 기초 Data 중 속성정보는 대구광역시 에너지 부문(전력, 도시가스)의 2009년 연간 사용량을 가지고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Tier 1에 대입하여 $CO_2$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공간정보는 대구광역시 건축물 대장과 지적도를 연계하여 지번에 따라 건축물 용도별로 토지이용 분류를 실시하여 구축하였다. 에너지 부문의 $CO_2$ 배출 인벤토리 구축에 지리정보시스템을 접목함으로서 공간별 $CO_2$ 배출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토지이용에 따라 $CO_2$ 배출 현황이 각기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 학과기록의 디지털 리포지터리 플랫폼 구축 (Building a Digital Repository Platform for Academic Department Records)

  • 조용훈;서은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9-233
    • /
    • 2016
  • 대학의 학과기록은 대학기록관 부재로 인하여 또는 대학기록관이 있다 할지라도 관리영역 밖으로 인지되어 체계적인 수집 및 보존이 안 되어왔다. 본 연구는 학과기록을 보다 용이하게 수집하고 보존하며 이러한 학과기록에 개방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으로 학과기록 리포지터리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에서의 학과기록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대학과 사립대학 소속 70명의 학과조교와 32개 대학의 대학기록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학과기록의 생산과 보유 현황, 학과기록의 기술요소, 학과기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과기록 관리를 위한 26개 기술항목을 선정하였고 OAK 리포지터리 환경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 및 기능설계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로그인 관리 기능, 파일등록 기능, 검색 기능, 브라우징 기능을 갖춘 학과기록 리포지터리 플랫폼인 'DRRU(Department Records Repository in the University)'를 구축하였다. 제안된 'DRRU'는 실험데이터 검증을 통하여 각 구성된 기능 및 인터페이스가 적합하게 구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자전거 관리 시스템 구축 (Building bicycle management system using Blockchain)

  • 안규황;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139-1145
    • /
    • 2018
  • 검찰청의 2014년 통계에 의하면 자전거 이용자의 53%가 도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우리나라의 자전거 도난 율이 높은 이유는 자전거 관리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다. 이는 자동차처럼 차대번호를 활용하여 자전거를 관리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전거에 차대번호가 있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구매자가 자전거 관리 블록체인 시스템에 자전거를 등록하게 된다면 누구나 체인에 등록 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 차대 번호만 기입하면 누구의 자전거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고가 발생하면 블록체인(Blockchain)은 자전거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자동차와 같이 어떤 장비가 교체되고 있는지를 기록한다. 이렇게 되면 중고 거래를 할 때 소비자는 사고 이력이 있던 제품인지 조회 할 수 있어 현명한 소비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전거 차대 번호를 활용하여 자전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제강점기 신축된 군청사의 설계주체와 평면구성의 특징 (The Designers and the Space-Compositions of the Goon Office Buildings which were newly construct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8-1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계획되거나 신축된 공통형 군청사 및 개별형 군청사의 설계주체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공통형 군청사의 평면구성을 기준으로 개별형 군청사의 평면구성 특징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국가기록원 소장 군청사 관련 도면, 그 해제, 조선총독부와 각 도가 주고받은 문서, 조선총독부관보 및 직원록, 신문과 잡지의 기사 도면 사진 등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방법이다. 공통형 군청사의 설계주체는 1910년대에는 조선총독부 직속 건축조직이었고, 늦어도 1926년 이후는 도 소속 건축조직이 가담했다. 개별형 군청사의 설계주체는 도 소속 건축조직이었다. 두 조직의 설계자 개인의 이름과 관등도 몇몇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도 소속 설계조직이 공통도면을 군의 사정에 맞게 변형하는 것도 당시에는 '설계'로 지칭되었다. 도 소속 설계조직은 군 업무에 필요한 실들을 사무공간-부속공간으로 분리 배치하는 방식을 유지하면서 건물 전체 규모를 일제히 축소하거나 확대하는 방식으로 공동도면을 활용하기도 했다. 개별형 군청사의 평면구성은 공통형과 공통점 및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는데, 차이점은 개별형 군청사 설계자인 도 소속 건축조직의 능력과 개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중국의 기술거래사 자격제도 비교를 통한 기술거래사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technology transfer agent system Through South Korea and China's technology transfer agent system comparison)

  • 김혜선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165-175
    • /
    • 2012
  • 최근 21세기 세계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요소로서 기술의 축적, 이전, 흡수, 상용화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정부는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된 기술이 민간부문으로 이전되어 사업화되는 것을 촉진하고 민간부문에서 개발된 기술이 원활히 거래되고 사업화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을 마련했다. 또한 동 법률 제14조에서는 기술거래사의 등록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사항으로 '기술거래사' 자격제도를 도입하여 국가에서 등록, 운영, 관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선진국은 기술거래중개 기관을 민간에 이양하여 기술중개기관 또는 기술브러커로 지칭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자격제도 도입과 시장 활성화 촉진을 위한 다양한 조직과 기술중개시스템을 구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술거래사 등록제도와 사후관리에 대한 법률적 근거와 체계가 미흡하여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일례로 최근 기술거래관련 실적면제로 기술거래사 등록 활성화는 달성하였으나, 실적 검증을 통한 일정수준 이상의 전문가 선별에는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경력증명서 기재 내용만으로 업무 경력 보유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심사의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또한 기술거래사 등록 시 의무적 교육이수제도가 2010년도에 법 개정 및 고시 개정으로 마련되었으나, 소양교육수준의 단기 교육과정 운영으로 신청자에게 다양한 전문지식 취득의 기회 제공이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기술거래사 제도 비교를 통해 기술거래사 제도개선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기술이전 사업화 시장 확대와 기술거래사 전문가의 업무영역 보장과 전문가로서의 입지확보 등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