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Residential Patterns and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Single-Family Residential Areas in Gyeongju  

Lee, Jong-Such (계명대학교 대학원)
Son, Cheol-Soo (계명대학교 건축학부)
Lee, Youn-Jung (대구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v.18, no.5, 2007 , pp. 93-10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space structure in urban residential areas,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Gyeongju area. In order to clarify its residential and cultural properties, the residential patterns and living characteristics identifying its historical context were analys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data of the Hwango-dong area that has maintained its original form since the creation as a urban residential area during the 1960s and 1970s, the data of the Dongbang village area that was developed as one of residential area projects during the 1970s, and the data of the Seonggeon-dong area that was developed as a residential area during the 1970s and 1980s. The analyses on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al data, referring to building administration registers, field survey and photographing of house types, and exploration of living characteristics by house types were used to perform this study. Four hundred and five sample houses were used in this study, having forty one sample houses which were used for living survey and actual plane measur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designing the house to meet Gyeongju citizens' desire for living environments, and to maintain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Keywords
Gyeongju Area; Single-family Residence; Residential Patterns; Living Characteristic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경주시(2005), 경주 쪽샘지역 생활문화 조사연구(상)
2 김지민(2006), 지속 가능한 '한옥' 평면형 개발,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계획계, 22(3), 211-218
3 신재억.최일(1990), 전통주거건축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4), 135-147
4 이완건(2005), 서울의 역사성 표현을 위한 근대건축 보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조세환(1993), 경주의 역사성과 도시개발의 조화방향, 도시 문제, 28(301)
6 임창복(1988), 한국도시단독주택의 유형적 지속성과 변용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7 정준현(1993), 도시단독주택의 공간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정무웅, 고인룡(1994), 주거문화적 배경에서 본 주거의 특성 및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0), 73-87
9 김왕배(2000), 도시, 공간, 생활세계, 한울
10 박병식.이종렬(1999), 역사.문화.관광도시로서의 경주시 도시계획발전방안, 경주문화연구, 2
11 한필원(2006), 공주 도심주거지의 재래주택 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8), 179-190
12 Rossi, A. (1982), The Architecture of the city, MIT Press
13 최효승(1986), 도시대중주택에 나타난 유전적 건축공간언어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이주형.장석하(2006), 한국근대건축물 보존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3), 107-115
15 한필원(2004), 대전 구도심 주거지의 필지체계 및 주택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4)
16 신상화(1998), 慶州の都市形成と風水地理說の關係についての硏究, 日本建葉學會近畿支部硏究報告集
17 경주시(2004), 2020 경주 도시기본계획
18 김국선, 미래주거공간을 위한 전통주거공간의 정체성, 건축0406, 54-57
19 임창복.서기영(2000), 도시주거지내 주거유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6(11), 121-128
20 정준현.이중우(1993), 도시 대중주택 외관형태의 의장적 특성 및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9), 67-79
21 이왕기, 농촌 문화환경의 보전과 경관가치의 재생산 방안, 건축 0506, 43-48
22 최무현(2001), 경주 기성시가지내 새로운 주택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경주문화연구, 4
23 정성대(2002), 역사도시 경주의 경관선호 특성, 성균관대학 교박사학위 논문
24 최재영(1997), 경주의 문화.관광도시 활성화를 위한 도시 경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논문집, 9
25 김대익 , 중소도시의 도시.건축에 관하여, 건축9902, 17-20